あすの父の日を前に実施されたアンケートで、家事や育児への関わりとプレゼントの有無に関連性が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
Gifts on "Father's Day" Changes due to participation in childcare and housework (2021/06/19)
305 viewあすの父の日を前に実施されたアンケートで、家事や育児への関わりとプレゼントの有無に関連性が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
日本生命は父の日に関する1万人規模のアンケートを行いました。
「父の日にプレゼントを贈る」と回答した人は64%で、「母の日」と比べると10.2ポイント低くなりました。
また、妻や母、子どもの立場で「コロナ禍で夫や父親が家事・育児を積極的に行うようになった」と答えた人のうち82.9%が「父の日にプレゼントを贈る」と答えました。
一方で、「消極的になった」と答えた人のうち「贈る」と回答した人は38.2%にとどまりました。
プレゼントの内容は「食事・グルメ」が40.6%と最も多く、「ワクチン接種後に会食などの自粛が緩和されることを見越した期待感の高まり」と分析されています。
あすの父の日を前に実施されたアンケートで、家事や育児への関わりとプレゼントの有無に関連性が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プレゼント
프레젠트. 선사. 선물
明らか
분명함. 명백함. 뚜렷함. 명료함. 빤함; 밝음. 환함. {문어·ナリ 활용 }
家事
『식물·식물학』 ⇒ かじのき; 《고어》 (배의) 노; 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선미(船尾)에 장착한 기구. 키; (비행기의) 조종간. 방향타(方向舵); (수레의) 채. 〔참고〕1.은 「楫」, 2.3.은 「舵」, 4.는 「梶」로 씀; 대장일. 대장장이; 화재. 불; 『불교』 가지; 부처가 중생을 가호함; 밀교(密敎)에서, 부처의 자비가 사람의 마음에 전해져, 사람이 그 자비를 깨닫는 일. 또는 그러기 위한 수행상(修行上)의 계율; 주문을 외며 신불에게 가호를 빌어 재앙을 면함; 가사. 집안일; 『문어』 화자. 한자(漢字)
関連
관련. 연관. 〔동의어〕連関
実施
살아날 가망이 거의 없음. 매우 위태로움. 죽음을 면할 수 없는 상태. 〔동의어〕じゅっし; 십지; 열 손가락; (변하여) 여러 사람의 손가락; 실자. 친자식(親子息). 〔동의어〕生みの子. 〔반의어〕 養子·義子·継子; 실자. 친언니. 또는 친누님. 〔반의어〕 義姉; 실시. 〔동의어〕実行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育児
《「いきじ」의 변한말》 패기. 의지. 의기. 기개; 육아. 유유아(乳幼兒)를 기르는 일
有無
유무. (사물이) 있음과 없음. 〔동의어〕あるなし; 승낙과 거부. 좋고 싫음. 가부(可否). 〔동의어〕いやおう; 『문어』; 질리다. 물리다. 싫증나다; 지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낳다; 분만[출산]하다. 〔참고〕 흔히 「産む」로 씀; (없던 것을) 만들어 내다. 생기게 하다. 【가능동사】 う·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과일이) 익다. 〔동의어〕熟れ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곪다. 화농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실을) 잣다. 〔동의어〕紡ぐ. 【문어 4단 활용 동사】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父
아버지. 〔반의어〕 母; 부친. 〔참고〕 「継父」 「義父」 「養父」도 「父」라고 부름; 『기독교』 조물주. 하느님. 성부(聖父); 젖. 유즙(乳汁). 〔동의어〕ちしる; 젖퉁이. 유방(乳房). 〔동의어〕ちぶさ; 치지; (양명학에서) 본연의 양지(良知)를 밝혀 완전하게 함. 양지의 기능을 예민하게 함; 『문어』 지지; 느리고 더딤; (하루가) 길고 한가로움. {문어·タリ 활용}
関わり
관계. 연관
アンケート
앙케트. 질문. 의견 조사
日本生命は父の日に関する1万人規模のアンケートを行い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行い
행동. 행위. 실행. 〔동의어〕振舞; 『불교』 불도 수행. 근행(勤行)
規模
규모; 귀적(鬼籍)
万
판. 종이·책·필름 등의 크기. 〔참고〕 「はん」이라고도 함; 판; 출판(물); …에 있어서의. …풍으로 개작한; (신문에서) 지방판; 순서. 순번. 차례; 망을 봄. 또는 그 사람; (여러 개를 비치하여 번호를 붙여 두는 데서) 평소에 쓰는 질이 낮은 물건; 번. 순위. 번호; 승부·대진(對陣)·짝짓기 등의 횟수. 판;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문어』 접시; (바둑·장기 등의) 판; 레코드판. 음반;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물건을 장치하는 판자 모양의 대. 반; 『조류』 쇠물닭; 널. 판자. 금속판; 저녁; 밤; 『불교』 번. 부처·보살의 권위나 힘을 나타내는 장식으로서 절의 경내나 법당 안에 올리는 기;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만에 하나라도. 전혀. 결코; 아무리 해도. 어떻게 해도. 도저히
父
아버지. 〔반의어〕 母; 부친. 〔참고〕 「継父」 「義父」 「養父」도 「父」라고 부름; 『기독교』 조물주. 하느님. 성부(聖父); 젖. 유즙(乳汁). 〔동의어〕ちしる; 젖퉁이. 유방(乳房). 〔동의어〕ちぶさ; 치지; (양명학에서) 본연의 양지(良知)를 밝혀 완전하게 함. 양지의 기능을 예민하게 함; 『문어』 지지; 느리고 더딤; (하루가) 길고 한가로움. {문어·タリ 활용}
アンケート
앙케트. 질문. 의견 조사
「父の日にプレゼントを贈る」と回答した人は64%で、「母の日」と比べると10.2ポイント低くなりました。
比べる
비교하다. 비하다. 견주다. 겨누다; (우열을) 겨루다. 경쟁하다. 【문어형】 くら·ぶ {하2단 활용}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プレゼント
프레젠트. 선사. 선물
贈る
(물건을) 부치다. 보내다. ((추상적인 것에도 씀)); (사람을) 보내다. 파견하다; 안내하다. 배웅하다. 데려다 주다; (석별의 정으로) 전송하다. 떠나 보내다; (죽은 이를) 장송하다; (세월을) 보내다. 지내다; (차례차례) 옮기다. 차례로 넘기다; 좁히다. 이동하다; 「送りがな」를 달다[붙이다]; 갚다. 보답하다; 졸업생을 내보내다[배출하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인에게 관위나 칭호를) 내리다. 추서(追敍)하다. 추증(追贈)하다; (감사·축복의 뜻으로) 선사하다. 보내다. 주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回答
회장. 큰 조직의 대표자; 회답. 〔동의어〕返答; 『문어』 쾌도. 썩 잘 드는 칼; (야구에서) 쾌투. 멋지게 공을 던짐; 괴도; 해당. 정당 등을 해산함. 〔반의어〕 結党; 해동. 냉동된 것을 녹임. 〔동의어〕解氷. 〔반의어〕 冷凍; 해답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母
엄마. ((예스러운 말)) 〔반의어〕 とと; 『문어』 가화. 이삭이 많이 달린 좋은 벼; ⇒ かかあ; 『문어』 《「~と」의 꼴로도 씀》 가가. 크게 웃는 모양
父
아버지. 〔반의어〕 母; 부친. 〔참고〕 「継父」 「義父」 「養父」도 「父」라고 부름; 『기독교』 조물주. 하느님. 성부(聖父); 젖. 유즙(乳汁). 〔동의어〕ちしる; 젖퉁이. 유방(乳房). 〔동의어〕ちぶさ; 치지; (양명학에서) 본연의 양지(良知)를 밝혀 완전하게 함. 양지의 기능을 예민하게 함; 『문어』 지지; 느리고 더딤; (하루가) 길고 한가로움. {문어·タリ 활용}
ポイント
포인트; 점. 지점; (경기 등의) 득점. 점수; 『수학』 소수점; 요점. 핵심; 시기. 적기; (철로의) 레일 전철기(轉轍機); 활자 크기의 단위. 〔동의어〕ポ; (트럼프에서) 1의 패. 에이스. 〔동의어〕エース
また、妻や母、子どもの立場で「コロナ禍で夫や父親が家事・育児を積極的に行うようになった」と答えた人のうち82.9%が「父の日にプレゼントを贈る」と答えました。
行う
(행위를) 하다. 행동하다; 실시하다. 실행하다; 거행하다; 처리하다. 취급하다; 《고어》 법으로 처리하다. おこな·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夫
《「男人」의 변한말》 남편. 〔동의어〕亭主. 〔반의어〕 妻; 깜짝 놀랐을 때, 문득 생각났을 때, 급히 제지시킬 때에 내는 소리. 이크. 아이쿠. 아차. 가만
妻
《주로 한자어에 붙어》 재…. 재차. 다시 한 번; …제. 축제. 잔치; …재. ((방의 이름이나 아호(雅號) 등에 붙이는 말. 一刀~, 六無~ 등; 세. 나이; 재주. 재능; 처. 아내. 〔동의어〕つま·家内; 주사위. 〔동의어〕賽子; 채색(彩色). 배색(配色); (옛날, 대장이 싸움을 지휘할 때 쓰던) 采配. ((대가 짧은 총채 비슷한 도구)); 차이; 『문어』 미세함. 자세함; 채소; 『동물·동물학』 무소. 코뿔소; 채; 채권(債券); 때. 즈음. 기회. 〔동의어〕おり; 『문어』 으뜸감. 최상. 제일. {문어·タリ 활용}; 가장. 더할 나위 없는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プレゼント
프레젠트. 선사. 선물
贈る
(물건을) 부치다. 보내다. ((추상적인 것에도 씀)); (사람을) 보내다. 파견하다; 안내하다. 배웅하다. 데려다 주다; (석별의 정으로) 전송하다. 떠나 보내다; (죽은 이를) 장송하다; (세월을) 보내다. 지내다; (차례차례) 옮기다. 차례로 넘기다; 좁히다. 이동하다; 「送りがな」를 달다[붙이다]; 갚다. 보답하다; 졸업생을 내보내다[배출하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인에게 관위나 칭호를) 내리다. 추서(追敍)하다. 추증(追贈)하다; (감사·축복의 뜻으로) 선사하다. 보내다. 주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家事
『식물·식물학』 ⇒ かじのき; 《고어》 (배의) 노; 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선미(船尾)에 장착한 기구. 키; (비행기의) 조종간. 방향타(方向舵); (수레의) 채. 〔참고〕1.은 「楫」, 2.3.은 「舵」, 4.는 「梶」로 씀; 대장일. 대장장이; 화재. 불; 『불교』 가지; 부처가 중생을 가호함; 밀교(密敎)에서, 부처의 자비가 사람의 마음에 전해져, 사람이 그 자비를 깨닫는 일. 또는 그러기 위한 수행상(修行上)의 계율; 주문을 외며 신불에게 가호를 빌어 재앙을 면함; 가사. 집안일; 『문어』 화자. 한자(漢字)
立場
입장; 설 자리; 처지. 형편; 견지(見地). 관점
父親
부친. 아버지. 〔동의어〕男親. 〔반의어〕母親. 〔참고〕 「父」를 객관적으로 표현한 말로서 호칭으로는 쓰지 않음
育児
《「いきじ」의 변한말》 패기. 의지. 의기. 기개; 육아. 유유아(乳幼兒)를 기르는 일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答え
『문어』 대답. 〔동의어〕答え
母
엄마. ((예스러운 말)) 〔반의어〕 とと; 『문어』 가화. 이삭이 많이 달린 좋은 벼; ⇒ かかあ; 『문어』 《「~と」의 꼴로도 씀》 가가. 크게 웃는 모양
父
아버지. 〔반의어〕 母; 부친. 〔참고〕 「継父」 「義父」 「養父」도 「父」라고 부름; 『기독교』 조물주. 하느님. 성부(聖父); 젖. 유즙(乳汁). 〔동의어〕ちしる; 젖퉁이. 유방(乳房). 〔동의어〕ちぶさ; 치지; (양명학에서) 본연의 양지(良知)를 밝혀 완전하게 함. 양지의 기능을 예민하게 함; 『문어』 지지; 느리고 더딤; (하루가) 길고 한가로움. {문어·タリ 활용}
積極
적극. 〔반의어〕 消極
コロナ
『천문』 코로나.; (햇무리·달무리의) 무리. 광관. 〔동의어〕光冠.
禍
『문어』 화. 재앙. 불길. 〔동의어〕わざわい.
一方で、「消極的になった」と答えた人のうち「贈る」と回答した人は38.2%にとどまりました。
一方
일방. 한 방향[방면]. 어떤 방면; 한쪽. 〔동의어〕片方; 사물의 한 면[쪽]. 또는 어떤 상태의 반면; 〈副助詞적으로 쓰이어〉 주로 한 방향으로만 치우쳐 있음. 오로지 …뿐임. …만 함; 〈接続助詞적으로 쓰이어〉 …하는 한편; 한편. 다른 한편에서는; 한 방법. 한 수단; 한 번 알림. 간단히 알림. 또는 그 기별
贈る
(물건을) 부치다. 보내다. ((추상적인 것에도 씀)); (사람을) 보내다. 파견하다; 안내하다. 배웅하다. 데려다 주다; (석별의 정으로) 전송하다. 떠나 보내다; (죽은 이를) 장송하다; (세월을) 보내다. 지내다; (차례차례) 옮기다. 차례로 넘기다; 좁히다. 이동하다; 「送りがな」를 달다[붙이다]; 갚다. 보답하다; 졸업생을 내보내다[배출하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인에게 관위나 칭호를) 내리다. 추서(追敍)하다. 추증(追贈)하다; (감사·축복의 뜻으로) 선사하다. 보내다. 주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回答
회장. 큰 조직의 대표자; 회답. 〔동의어〕返答; 『문어』 쾌도. 썩 잘 드는 칼; (야구에서) 쾌투. 멋지게 공을 던짐; 괴도; 해당. 정당 등을 해산함. 〔반의어〕 結党; 해동. 냉동된 것을 녹임. 〔동의어〕解氷. 〔반의어〕 冷凍; 해답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答え
『문어』 대답. 〔동의어〕答え
消極
소곡. 짧은 악곡(樂曲). 〔반의어〕 大曲; 소극. ((보통 단독으로는 쓰지 않음)) 〔반의어〕 積極
プレゼントの内容は「食事・グルメ」が40.6%と最も多く、「ワクチン接種後に会食などの自粛が緩和されることを見越した期待感の高まり」と分析されています。
食事
식사; 『의학』 식이. 먹을 것; 『인쇄』 식자. 조판(組版). 〔참고〕 인쇄 관계자는 「食事」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ちょくじ」로도 씀
プレゼント
프레젠트. 선사. 선물
内容
집안일. 내부의[내밀한] 용건·비용; 『의학』 내용. 내복. 〔동의어〕内服. 〔반의어〕 外用; 내양. 내해. 〔동의어〕内海. 〔반의어〕 外洋; 내용; 사물의 안[속]. 또는 그 알맹이. 〔동의어〕中身; 『철학』 사물이나 현상을 성립시키고 있는 실질(實質)·의미. 〔반의어〕 形式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分析
분석; 『화학』 물질의 성분을 검출(檢出)함; 『철학』 복잡한 개념 등을 단순한 요소로 나눔. 2.3. 〔반의어〕 総合; 『법률』 분적. 분가; 『문어』 문책. 쓴 글에 대한 책임
最も
《副詞 「いと」+강조의 係助詞 「も」》 매우. 아주. 대단히. 지극히
期待
『문어』 위태. 위험; 『물리』 기체. 〔동의어〕ガス. 〔반의어〕 固体·液体; 『철학』 기체. 여러 가지 작용·성질·변화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되는 것; 귀태; 『의학』 포도상 귀태. 태반의 일부가 되는 융모막(絨毛膜)의 조직이 포도송이 모양으로 이상 발육을 하는 임신 이상. ((태아는 사망하여 유산이 됨)) 〔동의어〕ぶどう状鬼胎·胞状鬼胎. 〔참고〕 「奇胎」로도 씀; 근심. 걱정. 두려움. 〔동의어〕おそれ; 기대; 기체. 비행기(의 동체); 『문어』; 희대. 세상에 드묾. 희세(稀世); 아주 이상함. 〔참고〕 「きだい」라고도 함. {문어·ナリ 활용 }; 기태. 별남. 기이함. 괴상함. {문어·ナリ 활용 }
緩和
『언어학』 관화. 전날, 중국의 관계(官界)·상류 사회에서 씌었던 표준적 언어. 〔참고〕 관부(官府)에서 쓰는 말이라는 뜻임; 한화. 한담. 〔동의어〕閑語·閑談; 중국과 일본. 〔동의어〕和漢; 「漢和辞典」의 준말; 완화
多く
많음. 다수. 대부분; 대체로. 대개는. 흔히. 자주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ワクチン
『의학』 왁친. 백신
高まり
높아짐. 오름. 고조
接種
졸수. (야구 등에서) 서투르게 수비함. 또는 그 수비. 〔반의어〕 好守; 절취; 『의학』 접종; 섭취; 『불교』 부처가 자비의 빛으로 중생을 제도함; 절주. 술을 알맞게 줄여 마심; 절취. 잘라 냄
自粛
자숙.
会食
회식.; 회색. 〔동의어〕はいいろ.; 쾌식. 맛있게 식사함.; ⇒ かいちょく.; 식물을 다시 심음.; 『지리·지학·지명』 해식. 바닷물에 의한 침식 작용.; 『문어』 해직. 면직. 〔동의어〕免職.
見越し
(제례 때) 신체(神體)나 신위(神位)를 실은 가마. 신여(神輿). 〔동의어〕おみこし.; 담·병풍 등의 너머로 봄.; (앞을) 내다봄. 예측함.
グルメ
음식맛에 정통함. 또는 그런 사람. 식통(食通). 미식가(美食家).
アメリカ軍 ICBM発射実験を発表(2022年8月17日)
夏恋慕
「コドモ」も「オトナ」も 世界最先端のアンドロイドが登場
モデル森絵梨佳、ほのぼのカップルの週末を演じる Antenna新CM「Antennaのある週末」
史上初 ブラックホール撮影に成功 画像を公開
井の頭自然文化園のニホンリス31匹死ぬ 寄生虫駆除の薬で中毒か 東京・武蔵野市(2023年12月12日)
線状降水帯による非常に激しい雨 鹿児島県薩摩地方(2021年7月10日)
クレーンに乗って・・・サンタ登場!病院の窓から贈り物(2021年12月15日)
GReeeeN 「SAKAMOTO」
富士山2年ぶり山開き 山小屋は予約制など感染対策(2021年7月1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