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海道小樽市では、昨日午前1時までの24時間で68センチと観測史上最も多い雪が降り、住民は朝から雪かきに追われました。
Record heavy snowfall in Hokkaido The car is stuck for 15 km [Want to know] [Good!Morning] (2023/01/09)
292 view北海道小樽市では、昨日午前1時までの24時間で68センチと観測史上最も多い雪が降り、住民は朝から雪かきに追われました。
「雪のない国に行きたいです。こたえますね。ちょっとずつならまだ楽なんですけど、何十センチも一気に降られると」
雪はその後も容赦なく降り続け、今日午前0時までの48時間降雪量は81センチに達しました。
豊浦町の国道では、函館方向へ走っていた大型トレーラーが上り坂で動けなくなり、両方向の車線をふさぎました。
「パトカーが来て、通行止めになりましたと言われて。どうしようもない。高速も止まっているし」
車の立ち往生は最大で15キロに及びましたが、現在は解消しています。
北海道小樽市では、昨日午前1時までの24時間で68センチと観測史上最も多い雪が降り、住民は朝から雪かきに追われました。
市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最も
《副詞 「いと」+강조의 係助詞 「も」》 매우. 아주. 대단히. 지극히
住民
주민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観測
관측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多い
덮개. 씌우개. 피복. 커버; 《고어》 《「大飯」의 변한말》 천황의 수라. 또는 그 음식의 조리;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 지르는 소리. 어이. 〔참고〕 「おうい」 「おい」로도 씀; (수량·횟수·물건 등이) 많다. 〔반의어〕 少ない. 〔참고〕 「多い人が来る」라고는 하지 않고 「多くの人が来る(많은 사람이 오다)」로 하며, 또한 「多い本がある」도 「多くの本がある(많은 책이 있다)」라고 함. 【문어형】 おほ·し {ク 활용}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センチ
센티; 「センチメートル」의 준말; 《흔히, 「お~」의 꼴로 여성이 씀. 「センチメンタル」의 준말》 센티멘털. 센티. 감상적
降り
휘두름. 흔듦; 사람이 겉으로 나타내는 모습. 꼴. 외양; 그럴듯하게 꾸미는 시늉; (연극·무용에서) 몸짓. 동작. 연기. 〔동의어〕しぐさ; 단골이 아님. 뜨내기; 임시; 변통. 주변; 칼을 세는 말. 자루; 비·눈 등이 내림. 또는 그 정도. 〔반의어〕 照り; 불리. 〔반의어〕 有利. {문어·ナリ 활용 }; 불리. 떨어지지 않음. 뗄 수가 없음
史上
시승; (잡지의) 기사면(記事面). 지면(誌面); 『문어』 치성. (불길처럼) 몹시 성함. 〔동의어〕しせい. {문어·ナリ 활용 }; 사상. 역사상; 『문어』 사승. 사기(史記); 『문어』 시정. 시중. 〔동의어〕市中; 시장. 〔동의어〕マーケット; 『경제』 수요와 공급 사이의 교환 관계. 매매 당사자간의 거래 관계의 총체; 물건을 팔고 사는 곳. 〔동의어〕市場; 지상. 최상; 『문어』; 지정. 지극한 충정; 지극히 자연스러운 인정. 인지상정(人之常情); 사상. 실처럼 가늘고 긴 모양; 사정; 이기적인 생각. 사심(私心); (특히 신문의) 지상. 〔참고〕 잡지의 경우는 「誌上」; 시정
北海道
『지리·지학·지명』 홋카이도. 일본 열도의 북단에 있는 큰 섬 및 그 주변의 속도(屬島)를 포함하는 지역.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이며, 도청 소재지는 札愰
「雪のない国に行きたいです。こたえますね。ちょっとずつならまだ楽なんですけど、何十センチも一気に降られると」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行き
⇒ ゆき; 숨. 호흡; (두 사람 이상이 일할 때의) 호흡. 기분; 김. 증기; 목숨; (기질·태도·옷차림 등이) 때 벗음. 세련됨. 멋있음. 멋들어짐; 인정의 기미(機微) 또는 풍류를 이해함; 화류계의 사정에 밝음. 또는 화류계. 〔반의어〕 野暮; 『역사』 律令制에서, 서위(敍位)할 때 그 이유를 기록하여 본인에게 주는 문서. 〔동의어〕くらいがき·告身; 위기; 『법률』 (권리의) 포기; 지역; 범위. 정도. 단계. 경지; 계획하는 일. 의도(意圖). 기도(企圖); 의기. 기세. 기개; 유기. 버리고 돌보지 아니함; 문지방. 〔동의어〕しきい·しきみ; 『심리학』 역. 의식역(意識閾); 생. 삶; 싱싱함. 생기. 신선함; (교정에서) 생(生). 지운 것을 되살림. 부호는 「イキ」;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 日本海에 있는 섬으로 현재의 長崎현의 일부. ((현제도 같은 지명임)) 〔동의어〕壱州
楽
『문어』; 학문; 학식. 식자(識字); 배움; 음악; 能楽에서, 무악(舞樂)의 기법을 도입한 춤; 『식물·식물학』 악. 꽃받침. 〔동의어〕うてな; 액. 액수. 금액; (사진·그림 등의) 틀. 액자. 또는 편액(扁額). 현판(懸板)
十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センチ
센티; 「センチメートル」의 준말; 《흔히, 「お~」의 꼴로 여성이 씀. 「センチメンタル」의 준말》 센티멘털. 센티. 감상적
雪はその後も容赦なく降り続け、今日午前0時までの48時間降雪量は81センチに達しました。
量
량. 기차·전차 등 차량의 수효를 세는 말; 『문어』 끝. 필(畢). 완료. 〔동의어〕終わり; 『역사』 奈良·平安 시대에, 律와 함께 나라의 기본이 된 법전. ((현재의 공무원법·행정법·민법·상법 등에 해당)) 〔참조어〕 りつりょう; 양. 양쪽. 한 쌍이 되는 것의 쌍방; 이. 둘. 〔동의어〕二·二つ; 옛날의 중량의 단위. 냥. ((銖의 24배, 斤의 16분의 1)); 옛날의 화폐의 단위. 냥. ((江戸 시대에는 작은 금화인 小判한 닢. 약 17.8g)); 양; 양호. 좋음. 또는 좋은 것; 4단계의 성적 평가에서, 두 번째;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료; 재료; 대금. 요금. 보수; ⇒ りゅう1.; (목조 건물의) 들보. 〔동의어〕はり; 시원함. 서늘함. 또는 시원한 바람; 수렵. 사냥. 또는 사냥한 것. 〔동의어〕狩り·狩猟; 능. 천황·황태후·태황태후의 무덤. 〔동의어〕みささぎ; 양. 부피; 양. 무게; 양. 수량; 분량; 많고 적음의 정도; 마음의 넓이. 도량(度量). 기량(器量); 능; 『수학』 다면체의 두 면이 접하는 선; 고기잡이. 어로. 또는 어획물; 『문어』 영토. 영지. 영역; 〈藩·국명에 붙어〉 그 藩·국가의 영토임을 나타냄. 령; 大宝令 제도에서, 지방 장관의 관명. ((「大領」와 「少領」가 있음)); 의관(衣冠)·갑옷 등을 세는 단위. 벌; (학생·종업원 등을 위한) 기숙사; 다도(茶道)에서, 다실(茶室)로 만든 작은 건물. 〔동의어〕数寄屋; 「大宝令」에서, 「省」에 딸린 관아. ((「大学」 「陰陽」 「図書 등의 각 「寮」)); 《「~とする」의 꼴로》 납득하다. 이해하다. 양해하다; 영혼. 사람에게 지벌을 내리는 생령(生靈)이나 사령(死靈); (여행이나 행군할 때 가지고 가는) 식량. 양식. 병량(兵糧)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センチ
센티; 「センチメートル」의 준말; 《흔히, 「お~」의 꼴로 여성이 씀. 「センチメンタル」의 준말》 센티멘털. 센티. 감상적
降り
휘두름. 흔듦; 사람이 겉으로 나타내는 모습. 꼴. 외양; 그럴듯하게 꾸미는 시늉; (연극·무용에서) 몸짓. 동작. 연기. 〔동의어〕しぐさ; 단골이 아님. 뜨내기; 임시; 변통. 주변; 칼을 세는 말. 자루; 비·눈 등이 내림. 또는 그 정도. 〔반의어〕 照り; 불리. 〔반의어〕 有利. {문어·ナリ 활용 }; 불리. 떨어지지 않음. 뗄 수가 없음
容赦
『문어』 유자. 어린아이. 연소자; 쓸 것은 쓰고 버릴 것은 버림. 취사(取捨); 용서; 형편을 참작함. 사정을 보아줌; 『문어』 인력거. 〔참고〕 중국어 「ヤンチョ」에서
達し
관청에서 보내는 통지. 시달(示達). 〔참고〕 「達示」라고도 씀; 『문어』 달사. 사물의 이치에 통달한 사람
降雪
공설. 〔반의어〕 私設.; 교졸. 능란함과 서투름.; 교접. 교미. 성교(性交). 〔동의어〕交合.; 『문어』 항설. 풍문. 세상의 소문.; (문장·시구 등을 전후로 나누었을 때의) 후절. 〔반의어〕 前節. 〔참고〕 프로 야구나 경륜(競輪) 등의 경기 기간을 전후기로 나누었을 때의 후기.; 강설.; 『문어』 고절. 높은 절개.; 고설.; 뛰어난 학설.; 『문어』 〈「御~」의 꼴로〉 남의 학설에 대한 높임말. 〔동의어〕御説.; 강설. 교의(敎義) 등을 설명함.
豊浦町の国道では、函館方向へ走っていた大型トレーラーが上り坂で動けなくなり、両方向の車線をふさぎました。
坂
술. ((술과 관계 있음을 나타내는 말)); 비탈(길). 경사지. 고갯길. 고개; 인생의 한 고비; 거꾸로임. 역. 반대(쪽). 〔동의어〕ぎゃく·さかさま; 《名詞·動詞 앞에 붙어서》 역. 거꾸로 됨. 반대로 됨; 다과. 차와 과자. 〔동의어〕ちゃか
方向
방향; 방위. 〔동의어〕むき·方角; 목표. 방침; 『문어』 방황; 『문어』 방향. 〔반의어〕 悪臭; 『문어』 포효; 맹수가 짖어댐. 또는 그 소리; (비유적으로) 파도가 사나운 모양. 또는 그 소리; 봉공. 나라·조정을 위하여 일함; (남의 집에서) 고용살이함; 방광; 『불교』 부처의 백호(白毫)에서 빛이 남; 교칙(校則)을 위반한 학생을 학교에서 추방함. 퇴학; 『문어』 방광. 마음이 느긋하며 거리낌이 없음. {문어·ナリ 활용 }; 『역사』 제후(諸侯)에 봉함. 봉토(封土)를 받고 제후가 됨; 포구. 포문(砲門); 『문어』 공을 세워 은혜에 보답함.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힘을 다함
上り
오름. 올라감; 「のぼり坂」의 준말; 「上り列車」의 준말; 상경(上京). 1.~4. 〔반의어〕 くだり; 《「のぼりばた」의 준말》; ⇒ こいのぼり
町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国道
국도
大型
(규모·무늬 등이) 대형. 〔반의어〕 小形; 대형. 〔반의어〕 小型; 큰 형(型); 비슷한 것 중에서 큰 것
トレーラー
트레일러. (엔진이 있는 차에 끌려다니는) 부속차
車線
차선. (자동차의) 주행로; 차선. 주행선의 노폭; 민간 회사가 경영하는 철도·버스의 노선. 〔동의어〕会社線; 사선. 빗금
「パトカーが来て、通行止めになりましたと言われて。どうしようもない。高速も止まっているし」
来
《고어》 《活用語에 붙어 名詞화함》 …하는 일. ((현재는 복합어로서 약간 남아 있을 뿐이며, 副詞적으로 쓰임. 「いわ~」 「おもわ~」 「願わ~は」 「安け~」 등)) 〔참고〕 動詞에서는 連体形의 끝 음이 「ア」열(列)의 음으로 변한 꼴에, 形容詞에서는 끝 음이 「け」로 변한 꼴에 붙음; 구.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きゅう; 『불교』 입. 말; 인원수·기구(器具) 등을 세는 말. 개; 구; 법령 집행을 위하여 마련된 구획. ((선거구·학구 등)); 대도시에서 행정상의 구획의 하나; 구. 지역; 『언어학』 구. (문장의) 구절; 『언어학』 시가·문장의 한 문절; 『언어학』 관용구; 『언어학』 和歌·俳句·한시(漢詩) 등의 구. 구절; ⇒ 俳句; 連歌의 구절 및 俳句 등을 세는 말. 구절; 괴로움. 고통. 〔반의어〕 楽; 노고(勞苦). 고생. 곤란; 근심. 걱정. 고민; 『문어』 몸. 몸뚱이. 〔동의어〕身; 불상(佛像)을 세는 말. 좌(座). 〔동의어〕体; 『문어』 두려워함. 두려움; 『문어』 《「来る」의 文語》; 가다. 〔참고〕 옛날에는 命令形에 「よ」가 딸리지 않고 「こ」라고만 썼음
高速
구속. 얽맴; 교칙. 학교 규칙; 『문어』; ⇒ たかあし; 「高速道路」의 준말; 『문어』 경색. 막혀서 통하지 않음; 항칙. 항만을 단속하기 위한 규칙
パトカー
「パトロールカー」의 준말
車の立ち往生は最大で15キロに及びましたが、現在は解消しています。
現在
『기독교』 원죄; 현재; 〈副詞的으로도 씀〉 지금. 〔동의어〕今. 〔반의어〕 過去·未来; 『언어학』 현재형
及び
〈「呼ぶこと」의 높임말〉 부르심; 초대. 〔동의어〕おまねき; 《「~もつかない」 「~もない」의 꼴로》 도저히 미치지 못하다. 도저히 당해낼 수 없다
車
바퀴. 차바퀴; 짐수레·전차·자동차·인력거 등 탈것의 총칭. 차. ((좁은 뜻으로는 자동차를 이름)); 바퀴 모양
最大
세대. 잔 것과 큰 것. 크고 작은 일; 최대. 〔반의어〕 最小
解消
일을 하려는 다기진 기력. 생활 능력; 『문어』 회상. 회합하여 의논함. 협상. ((주로 외교 관계에 쓰임)); 『문어』; 답장. 회서(回書). 1.2.〔동의어〕回書; 쾌승. 압승; 『문어』 시원스레 낢; 개칭; 『문어』 해군 대신[장관]; 일본 해상 자위대 계급의 하나. ((최고위. 海将補의 위)) 〔반의어〕 空将·陸将; 해상(海上)의 상행위. ((해상 운송업·해상 보험업 등)); 『지리·지학·지명』; 해명(海鳴); 해소
立ち往生
선 채로 죽음.; 앞뒤가 막혀서 오도가도 못함. 선 채로 꼼짝 못함.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태에 빠짐.
“大雨”北陸など120ミリ予想も 梅雨前線が北上(2021年7月4日)
東京都 酒提供は停止、百貨店など時短要請継続へ(2021年7月8日)
雪女 - ゆきおんな
2040年に月面で食事? JAXAがディナーを公開
上野動物園の双子パンダ “固形物”リンゴ食べ始める(2022年6月28日)
小ガラスと大ガラス
小型ロボが“ガイド” 緊急時は電話として使用も(19/11/06)
Japanese Words - Computer Words
【独自】「こども庁」政府の基本方針原案判明(2021年11月29日)
“味が違う”・・・「生茶デカフェ」430万本を自主回収(19/11/18)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