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んばんはインリビングです。
こんばんはインリビングです。
えと、今は..真夜中というか、
もう朝になるんですけど
全然 眠れなかったので
ポテトサラダでも作ろうかなと思います
はい、じゃあ、おじいちゃんに貰った
お芋を洗っていきます
洗ったお芋を剥いていきます
芽を取ります
ハイ、じゃあ切っていきます
このジャガイモが
何の種類のジャガイモなのか
全くわからないんですけど
なにで見分けるんですかね?
あぁ、多かったかもしれない
はい、お塩を入れて煮ていきます
ハイじゃあ、ジャガイモを茹でている間に 他の具材を準備していきたいとおもいます
このぐらいにしよう
ハイ、残ったキュウリはパプリカと一緒に
ぬか漬けにしちゃおうと思います
ハイ、ぬか床完成です
眠ってもらいます(-_-)
ハムを切っておきます
ハイ、今は卵の茹で上がりと
お芋が冷めるのを待っているところです
えっと
質問箱のほうに、
「料理は誰かに教わったんですか?」
というような質問が来てたとおもうんですけど
私は誰かに料理を教えてもらったことがなくて
ゼロから…
ほぼゼロから独学で
独学といっても
食べるために作るみたいな感じで作っていたら
とりあえずは作り方を見れば、一通りは作れるかな?
ぐらいの感じになりました。
作って、作って、失敗して、
出来るようになるみたいな感じです
これから一人暮らしとかをする方からの
質問だったのかもしれないですけど
食材はそのままでも食べられるし、
煮るか、
焼くかしたら、
絶対に食べれるって思って
料理をするようになったら、
すごく気持ちが楽になりました
このままでも食べれるって思ってれば
料理できなくても食べれるから大丈夫って
自分を励ましていたのを覚えています
そんな感じです
できたかな?
ハイ、卵が茹で上がりました
軽く潰しておきます
じゃあ冷めるのを待ちます
ハイ、じゃあ冷めたので混ぜていきます
ハイ、出来ました。
ちょっとだけ、今食べちゃおうとおもいます
こっちはこのまま冷やします
ハイ、ちょっとだけ味見です
いただきます
あのボウルごと平らげられるくらい美味しいです
なんで眠れない時に、深夜から作るご飯って
こんなに美味しいんですかね?
ハイ、ということで
食べ終わりました
おかわりは、やめておきます。
はじめての深夜料理動画でした。
いつもよりちょっと
静かかな?と思うんですけど
見ていただいて、ありがとう御座いました。
また、眠れない時には料理をして
動画を撮ろうかなと思います
よかったら高評価とチャンネル登録もよろしくおねがいします。
それでは。
こんばんはインリビングです。
こんばんは
저녁·밤의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リビング
《「リビングルーム」의 준말》 리빙 룸
えと、今は..真夜中というか、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真夜中
한밤중. 심야(深夜)
もう朝になるんですけど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全然 眠れなかったので
全然
전전; 〈否定의 말이 따르며〉 전연. 전혀. 조금도; 완전히. 전적으로; 《속어》 〈속된 용법으로 긍정적으로도 씀〉 아주. 굉장히. 썩. 대단히; 『문어』 염염. 사물이 진행되어가는[변해가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문어』; 〈副詞는 「~に」의 꼴로도 씀〉 점점. 차츰; 눈물이 한없이 흐르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ポテトサラダでも作ろうかなと思います
ポテト
포테이토. 감자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サラダ
샐러드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はい、じゃあ、おじいちゃんに貰った
貰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じゃあ
《「では」의 변한말》;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그렇다면. 〔동의어〕それならば. 1.2.〔동의어〕じゃ
お芋を洗っていきます
洗う
(물·세제 등으로) 씻다. 빨다. 때를 빼다. 닦다; (물·파도 등이) 밀려왔다 밀려갔다 하다; (숨은 것을) 들추어내다. 조사하다. 밝혀 내다. 【가능동사】 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芋
감자·고구마·토란·마 등의 총칭; 뿌리나 지하경(地下莖)이 감자 모양으로 굵어진 것; 《속어》 〈흔히 接頭語적으로 씀〉 빈약함. 하찮음. 또는 그런 사람이나 물건. 촌스러움. 또는 그런 사람; 《고어》; 누이동생. 〔동의어〕いもうと; 《고어》 「いもがさ」의 준말
洗ったお芋を剥いていきます
洗う
(물·세제 등으로) 씻다. 빨다. 때를 빼다. 닦다; (물·파도 등이) 밀려왔다 밀려갔다 하다; (숨은 것을) 들추어내다. 조사하다. 밝혀 내다. 【가능동사】 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芋
감자·고구마·토란·마 등의 총칭; 뿌리나 지하경(地下莖)이 감자 모양으로 굵어진 것; 《속어》 〈흔히 接頭語적으로 씀〉 빈약함. 하찮음. 또는 그런 사람이나 물건. 촌스러움. 또는 그런 사람; 《고어》; 누이동생. 〔동의어〕いもうと; 《고어》 「いもがさ」의 준말
芽を取ります
芽
화. 그림; 나. 자아; 아집. 자기 본위의 생각; [범 atoman]『철학』 내아(內我). 〔동의어〕アートマン; 『문어』 축하함; 『곤충』 나방;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한 가지; 『문어』 탈것. 말이 끄는 수레나 가마. 〔참고〕 옛날에는 「か」라고 했음; 《역접 관계를 나타냄》 그러나.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だが·しかし; 〈体言 및 体言에 해당하는 말에 붙어 주격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주체나 성질·상태의 주체를 나타냄. …이[가]; 가능·희망·호오(好惡) 등의 대상을 나타냄. …이[가]. …을[를]; 〈体言에 붙어 連体修飾格을 나타냄〉 소유·소속을 나타냄. …의; 〈連体修飾句와 「ため」 「故」 「ごとし」 등의 形式名詞적인 말 사이에 낀 꼴로 連体修飾格을 나타냄〉; 《用言의 終止形(文語에서는 連体形) 에 붙음》; 전제나 보충적 설명을 다음에 오는 서술에 연결시킴을 나타냄. …인데. …는데. …만; 관련이 있는 앞뒤의 사실을 연결시킴. …이지만; 서로 반대되는 사실을 연결시킴. …인데도. …이기는 하나. …(이)지만; 〈推量의 助動詞 「う」 「よう」 「まい」에 붙어〉 그에 구속되지 않는 뜻을 나타냄; 어떤 일이 실현될 것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련만. …겠건만. …텐데; 분명하게 말하는 것을 주저하는 뜻을 나타냄. …만. …데; 〈「め~」의 꼴로〉 끝을 맺지 않는 형태로 경멸이나 욕설의 뜻을 나타냄
取る
손에 가지다. 집다. 들다. 쥐다. 잡다; 취하다; (작은 동물 등을) 잡다. (열매 등을) 따다; 받다; 벗다; 훔치다. 빼앗다; (사무 등을) 보다; (무엇을) 하다; (숙소 등을) 잡다; (공간을) 차지하다. (시간이) 걸리다; 예약하다. 잡아 두다; 채용하다. 쓰다. 두다; 맡다. (책임을) 지다; 〈「…に~·って」의 꼴로〉 …로서는. …에 있어서는; 해석하다. 이해하다. 받아들이다; 맞추다; (신문 등을) 구독하다. 보다; 맞다. 얻다. 두다; 죽이다; 주문하다; (자격 등을) 따다. 얻다; 뽑다. 없애다. 제거하다; 집어 옮기다. 나누어 담다; 공제하다. 빼다; 징수하다; 사사(師事)하다. 배우다; (기생·매춘부 등이) 손님을 받다; …를 만들다; (간격을) 두다. 유지하다; 간직하여 두다. 보존하다; 찍다. 뜨다; 지배하다. 차지하다; 몰수하다; 짚다. 재다. 세다; 뒤집어쓰다. 어떤 결과를 초래하다; (보기 등을) 들다; (이부자리 등을) 깔다. 펴다; 끌어들이다; 주장하다; 수확하다; 비유하다; 〈「~·り…」의 꼴로 다른 動詞에 연결되어〉 ‘손수 …하다’의 뜻을 곁들여 어조(語調)를 고르거나 강조하거나 하는 데 씀. 〔참고〕 1. 및 7.에서 ‘집필·집무’의 경우는 「執る」, 2.에서 ‘식사·영양’의 경우는 「摂る」, 3.에서 ‘포획’의 경우는 「捕る·獲る」, 6.은 「盗る」, 12. 및 38.에서 ‘채용·채취·채광’ 등의 경우 「採る」, 31.의 ‘사진’의 경우는 「撮る」로 씀. 14.는 흔히, かな로 씀. 【가능동사】 と·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ハイ、じゃあ切っていきます
じゃあ
《「では」의 변한말》;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그렇다면. 〔동의어〕それならば. 1.2.〔동의어〕じゃ
切る
베다. 자르다; (관계를) 끊다. 단절하다; 중단하다. 멈추다; 한정하다; 개시하다; 작성하다. 만들다; 무너뜨리다. 파괴하다; 끄다; 긋다; 가로지르다; 세차게 헤치고 나아가다; (핸들이나 키 등을) 틀다. 꺾다; (테니스·탁구 등에서) 깎아치다. 〔동의어〕カットする; (카드 놀이에서) 섞다. 치다; (카드 놀이에서) 으뜸패를 내다; (셔터를) 누르다; (물기 등을) 없애다. 빼다; 수치가 어떤 기준이나 한도보다도 작아지다. 밑돌다. 〔동의어〕割る; 두드러진 행동을 하다. 〔참고〕 피륙·종이 등에는 「截る」, 목재 등에는 「伐る」, 사람을 베는 것은 「斬る」, 식물을 가위 등으로 자르는 것은 「剪る」로도 씀. 【가능동사】 き·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 …해내다. 끝까지 …하다; 완전히 …하다. 충분히 …하다; 몹시 …하다; 분명하게 …하다; 도중에 …하기를 그만두다. 【가능동사】 き·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부시를 치다. 나무와 나무를 비벼 불을 일으키다; (옷을) 입다. 〔반의어〕 脱ぐ; (죄 등을) 뒤집어쓰다. (은혜 등을) 입다. 지다. {문어·상1단 활용}
このジャガイモが
何の種類のジャガイモなのか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種類
주류; 종류
全くわからないんですけど
全く
《「まったし」의 連用形에서》; 〈否定語와 함께 쓰이어〉 전혀; 완전히. 아주. 전적으로; 정말로. 참으로
なにで見分けるんですかね?
見分ける
분별하다. 분간하다. 판별하다. 【문어형】 みわ·く {하2단 활용}
あぁ、多かったかもしれない
多い
덮개. 씌우개. 피복. 커버; 《고어》 《「大飯」의 변한말》 천황의 수라. 또는 그 음식의 조리;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 지르는 소리. 어이. 〔참고〕 「おうい」 「おい」로도 씀; (수량·횟수·물건 등이) 많다. 〔반의어〕 少ない. 〔참고〕 「多い人が来る」라고는 하지 않고 「多くの人が来る(많은 사람이 오다)」로 하며, 또한 「多い本がある」도 「多くの本がある(많은 책이 있다)」라고 함. 【문어형】 おほ·し {ク 활용}
はい、お塩を入れて煮ていきます
煮る
닮다. 비슷하다; 〈「…に似ず」의 꼴로〉 …와는 달리. {문어·상1단 활용}; 삶다. 끓이다. 조리다. {문어·상1단 활용}
塩
염; 『화학』 불꽃. 〔참고〕 「焰」으로도 씀; 『의학』 염증; 원; 사람이 들어가 관상하거나 즐기는 정원이나 장소; (아동을 위한) 보호 및 교육 시설; 밭. 〔참고〕 1.~3.은 「苑」으로도 씀; 원. 동그라미; 『수학』 원; 일본의 화폐 단위. 엔. ((銭의 100배)); 『문어』 원. 원죄(寃罪). 억울한 죄. 〔동의어〕冤罪·ぬれぎぬ; 『문어』 연회. 잔치. 주연(酒宴). 〔동의어〕うたげ; 『화학』 염. 산(酸)과 염기(塩基)의 중화 작용으로 생기는 이온 화합물; 연; 『불교』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원인·조건; 운명. 인연. 〔동의어〕めぐり合わせ; (부부·육친 간의) 인연. 연분; 계기. 기회; (일본 건축에서) 마루. 툇마루. 〔동의어〕縁側·ぬれ縁; 『문어』; 성적(性的) 감각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이 있음.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ハイじゃあ、ジャガイモを茹でている間に 他の具材を準備していきたいとおもいます
このぐらいにしよう
ぐらい
⇒ くらい
ハイ、残ったキュウリはパプリカと一緒に
残る
남다; (일부가) 떠나지 않다[사라지지 않다]; 나중까지 이어지다; 여분이 있다; (훗날에) 전해지다; (일본 씨름에서) 씨름판 가까지 아직 여유가 있다. 아직 승부가 나지 않다. 버티다. 견디다. 〔참고〕 5.는 반드시 「残る」로 씀. 【가능동사】 のこ·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一緒
같은 곳; 일서; 한 통의 편지; 어떤 책. 한 책; 《「一所」의 변한말》; 하나로 모임[모음·됨]. 같이 섞임. 함께 어울림; 같음. 구별이 없음; 같이함. 함께함; 〈「ご~する」의 꼴로 같이 가다의 겸사말〉 동행하다; 동시에 함; 일서. 이름만 남고 내용·실물이 전해지지 않은 책
パプリカ
파프리카. 고추의 일종. 또는 그것으로 만든 향신료
ぬか漬けにしちゃおう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漬け
〈名詞에 붙여서〉 붙임; 〈날짜에 붙여서〉 …의 일부(日附). …의 날짜; 《초밥집의 은어》 다랑어의 살을 얹은 초밥. 또는 초밥에 얹는 기름기 없는 다랑어의 붉은 살. ((보존을 위하여 간장에 담가 두는 데서)); 절임. 담금. 절인[담근] 것
ハイ、ぬか床完成です
床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完成
완성; 『법률』 관제. 〔참고〕 신헌법에서는 이 말을 쓰지 않음; 관제. 정부 기관에서 만듦. 또는 그것. 〔반의어〕 私製; 함정; 허방다리. 〔동의어〕落とし穴; 남을 속여 어려움에 빠뜨리는 책략; 건성. 〔반의어〕 湿性; 함성. 여럿이 함께 지르는 고함소리; 환성. 크게 외치는 소리; 『문어』; (비유적으로) 개똥벌레의 빛; 『철학』 감성; 『물리』 관성. 타성. 〔동의어〕惰性; 관제; (비상시 등에) 국가가 강제적으로 자유로운 활동·사용을 관리·제한하는 일; 항공기의 항행 관리·규제; 환성. 환호성; 『문어』 코고는 소리; 『문어』 함정. 우리와 허방다리; 『문어』 조용하고 단정함. 음전함. {문어·ナリ 활용 }; 한정. 한가하고 고요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감제. 감독하여 만듦
眠ってもらいます(-_-)
眠る
《속어》 협박하거나 해서 단물을 빨아 먹다. 〔동의어〕しゃぶ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 ねむる
もら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ハムを切っておきます
切る
베다. 자르다; (관계를) 끊다. 단절하다; 중단하다. 멈추다; 한정하다; 개시하다; 작성하다. 만들다; 무너뜨리다. 파괴하다; 끄다; 긋다; 가로지르다; 세차게 헤치고 나아가다; (핸들이나 키 등을) 틀다. 꺾다; (테니스·탁구 등에서) 깎아치다. 〔동의어〕カットする; (카드 놀이에서) 섞다. 치다; (카드 놀이에서) 으뜸패를 내다; (셔터를) 누르다; (물기 등을) 없애다. 빼다; 수치가 어떤 기준이나 한도보다도 작아지다. 밑돌다. 〔동의어〕割る; 두드러진 행동을 하다. 〔참고〕 피륙·종이 등에는 「截る」, 목재 등에는 「伐る」, 사람을 베는 것은 「斬る」, 식물을 가위 등으로 자르는 것은 「剪る」로도 씀. 【가능동사】 き·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 …해내다. 끝까지 …하다; 완전히 …하다. 충분히 …하다; 몹시 …하다; 분명하게 …하다; 도중에 …하기를 그만두다. 【가능동사】 き·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부시를 치다. 나무와 나무를 비벼 불을 일으키다; (옷을) 입다. 〔반의어〕 脱ぐ; (죄 등을) 뒤집어쓰다. (은혜 등을) 입다. 지다. {문어·상1단 활용}
ハイ、今は卵の茹で上がりと
上がり
(위치·정도·가치·가격 등이) 오름. 올라감. 상승. 〔반의어〕 下がり; (쌍륙에서) 말이 날밭에 들어 경기에 이김. 또는 그 밭; (근무·작업 등이) 끝남. 마침. 종료; 완성. 다 됨. 또는 그 결과; 이익. 수입. 수확. 매출. 매상; (학문·기예 등의) 진보. 숙달; (누에의) 오름. 상족(上蔟); 「上がり花」의 준말; 이전에 그 직업이나 신분이었음을 나타냄; 어떤 상태가 끝났음을 나타내는 말; (초등학교에) 입학함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茹でる
데치다. 물에 삶다. 〔동의어〕ゆでる. 〔참고〕 「ゆでる」의 변한말
お芋が冷めるのを待っているところです
冷める
식다.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잠이 깨다. 눈이 뜨이다. 〔반의어〕 眠る; 깨닫다. 정신을 차리다; 술이 깨다. 제정신이 들다.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바래다. 퇴색하다. 〔동의어〕あせる.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待つ
가루. 분말. 〔동의어〕粉; 어떤 기간의 끝. 말; 『식물·식물학』 소나무; 『러시아어』 「松明」의 준말; 〈「門松」의 준말〉 또는 이것을 세워서 새해를 기뻐하는 기간; 기다리다; 〈「…に~」 「…を~」의 꼴로〉 기대하다; 〈「…を~·たない」의 꼴로〉 그럴 필요가 없다. 〔참고〕 2.3.은 「俊つ」로도 씀. 【가능동사】 ま·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芋
감자·고구마·토란·마 등의 총칭; 뿌리나 지하경(地下莖)이 감자 모양으로 굵어진 것; 《속어》 〈흔히 接頭語적으로 씀〉 빈약함. 하찮음. 또는 그런 사람이나 물건. 촌스러움. 또는 그런 사람; 《고어》; 누이동생. 〔동의어〕いもうと; 《고어》 「いもがさ」의 준말
えっと
質問箱のほうに、
質問
질문
箱
《体言에 붙음》 총. 모든. 전체의; 장. ((여관·별장·아파트 등에 붙는 말)); 장. 장례식. 장의; 작은 배를 세는 말. 척; 쌍. 둘씩 짝을 이룬 것; 필적(匹敵)하는 것; 쌍으로 된 물건을 헤아리는 말. 쌍; 『문어』; 장함. 혈기 왕성함. 용감함. {문어·ナリ 활용 }; 한창 젊은 때. 장년; 근원. 근본; 조상·선조. 또는, 조상 중에서 뛰어난 이; 연주; 상; 형체. 모습. 양상; (인상·수상·골상 등의) 상. 길흉(吉凶)의 인상(人相); 초; 초서. 초체. 〔반의어〕 楷·行; 초잡은 글. 초고. 초안. 기초(起草); 치장; 외관(外觀); 〈接尾語적으로 쓰여〉 ‘장정(裝幀)’의 뜻을 나타냄; 『불교』 중. 승려. 〔반의어〕 尼; 상; 구상; 생각. 사상; 『불교』 상온(想蘊). 오온(五蘊)의 한 가지. 외계의 대상을 마음에 떠올리는 정신 작용; 층. 겹; 층; 지층; 계급. 계층; 포개진 물체를 세는 말; 『음악』 쟁. ((13줄의 거문고와 비슷한 현악기)) 〔참고〕 옛날에는 「箏の琴」라 하였으나 지금은 단순히 「琴」라고 함; 그렇게. 그리; (상대편의 말에) 긍정·놀라움·반신반의 ·감동 등을 나타내는 말. 그래. 정말; 연(沿)하다. 따르다; 좇다. 따르다. 【가능동사】 そ·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따르다. 붙어다니다; 부부가 되다. 부부가 되어 함께 살다; 「そえる」의 문어
「料理は誰かに教わったんですか?」
教わる
배우다. 가르침을 받다. 〔반의어〕 教え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料理
『문어』 양리. 좋은[훌륭한] 관리. 〔동의어〕能吏; 요리;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 일을 잘 처리함. (상대를) 잘 다스림
というような質問が来てたとおもうんですけど
来る
《動詞 「来る」의 連体形에서》(날짜 등의 앞에 붙어) 오는. 다가오는. 〔반의어〕 去る; 『문어』; 오다. 〔동의어〕来る. 〔반의어〕 去る; 〈接尾語적으로〉 …하여 오다
質問
질문
私は誰かに料理を教えてもらったことがなくて
もら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教える
가르치다; (학문·기예 등을) 배워 익히게 하다. 〔반의어〕 おそわる·まなぶ; (자기가 지니고 있는 지식·정보 등을) 일러주다. 알리다; 타일러 인도하다. 훈계하다. 【문어형】 をし·ふ {하2단 활용}
料理
『문어』 양리. 좋은[훌륭한] 관리. 〔동의어〕能吏; 요리;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 일을 잘 처리함. (상대를) 잘 다스림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ゼロから…
ほぼゼロから独学で
独学
독학
独学といっても
独学
독학
食べるために作るみたいな感じで作っていたら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とりあえずは作り方を見れば、一通りは作れるかな?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通り
길. 한길. 도로; 통행. 내왕. 왕래; (액체·기체 등의) 흐름. 통함; 소리가 멀리까지 들리는 정도; 평판. 신용; 통함. 통용; 이해; 〈形式名詞적으로, 그와 같은 상태임을 나타냄〉 …대로임. …같음. …처럼. 〔참고〕 8.은 「かな」로 쓰는 일이 많음;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방법·수단·종류 등을 세는 데 씀》 …가지
とりあえず
다른 일은 제쳐놓고 먼저. 곧바로. 지체없이. 부랴부랴; 우선. 일단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作り方
만드는 방법; 만듦새. 구조
ぐらいの感じになりました。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ぐらい
⇒ くらい
作って、作って、失敗して、
失敗
실패. 〔반의어〕 成功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出来るようになるみたいな感じです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出来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これから一人暮らしとかをする方からの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方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一人暮らし
독신 생활
質問だったのかもしれないですけど
質問
질문
食材はそのままでも食べられるし、
そのまま
본래대로의 상태. 이제까지와 같은 상태. 〔동의어〕そのまんま; (지금) 그대로. 본디대로; (…하는) 즉시. …하자마자; 〈接尾語적으로 씀〉 거의 그대로. 아주 비슷하게. 1.~3.〔동의어〕そのまんま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食材
요리 재료. 식품 재료; 식재. 재산 증식; 속죄
煮るか、
煮る
닮다. 비슷하다; 〈「…に似ず」의 꼴로〉 …와는 달리. {문어·상1단 활용}; 삶다. 끓이다. 조리다. {문어·상1단 활용}
焼くかしたら、
焼く
약; 〈「厄年」의 준말〉 액년; 소임(所任). 직무. 임무; (연극 등에서) 역. 배역; 역할. 구실; (화투·마작·트럼프 등에서) 약속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득점을 얻기 위한 조건. 약(約); 『문어』; 약속; 줄임. 생략; 『언어학』 「約音」의 준말; 대략. 약; 『문어』 효과. 효용; 《接尾語적으로도 씀》 역; 번역; 어려운 말이나 문장을 알기 쉽게 해석하여 옮긴 것; 『식물·식물학』 약. 꽃밥; 《속어》 약. 마약; 태우다; 굽다; 그을리다. 지지다; 애태우다; (사진을) 인화하다. 복사하다; 달구다; 마음을 쓰다. 돌봐 주다. 애먹다; 「焼ける」의 문어
絶対に食べれるって思って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絶対
『의학』 설태. 혀의 표면에 생기는 이끼 모양의 물질. ((특히, 위장병이나 열이 많이 나는 경우에 생김)); 절대. 〔반의어〕 相対; 《「~に」의 꼴로도 씀》 절대로; 단연코. 꼭. 무슨 일이 있어도; 〈否定의 말이 따르며〉 결코. 도저히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料理をするようになったら、
料理
『문어』 양리. 좋은[훌륭한] 관리. 〔동의어〕能吏; 요리;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 일을 잘 처리함. (상대를) 잘 다스림
すごく気持ちが楽になりました
気持ち
기분. 감정. 심정. 마음. 의사; 몸의 상태. 느낌; 마음의 표현; 〈副詞적으로〉 조금. 약간만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楽
『문어』; 학문; 학식. 식자(識字); 배움; 음악; 能楽에서, 무악(舞樂)의 기법을 도입한 춤; 『식물·식물학』 악. 꽃받침. 〔동의어〕うてな; 액. 액수. 금액; (사진·그림 등의) 틀. 액자. 또는 편액(扁額). 현판(懸板)
このままでも食べれるって思ってれば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料理できなくても食べれるから大丈夫って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大丈夫
『문어』 대장부. 〔동의어〕益荒男. 〔참고〕 「だいじょうぶ」로도 읽음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料理
『문어』 양리. 좋은[훌륭한] 관리. 〔동의어〕能吏; 요리;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 일을 잘 처리함. (상대를) 잘 다스림
自分を励ましていたのを覚えています
覚える
느끼다; 기억하다. 〔참고〕 「憶える」로도 씀; 터득하다. 익히다; 생각되다. 〔동의어〕思われる. 【문어형】 おぼ·ゆ {하2단 활용}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励ます
격려하다. 힘을 돋우어 주다; 목소리를 높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んな感じです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できたかな?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ハイ、卵が茹で上がりました
上がる
(위로) 오르다. 올라가다. 올라오다. 〔반의어〕 おりる; (욕탕에서) 나오다. 〔반의어〕 入る; (방에) 들어가다. 들어오다; (지위·정도 등이) 오르다; (어떤 상태가) 좋아지다. 〔반의어〕 下がる; 입학하다. 진학[진급]하다; (신불에게) 바쳐지다; (수입·이익·효과 등이) 거두어지다; 흥분하다. 상기하다; 「行く」 「訪ねる」의 겸사말; (가격 등이) 오르다. 비싸지다. 〔반의어〕 下がる; (겉보기가) 좋아지다; 끝나다. 마치다; (돈이) 들다. 먹히다; (물고기·초목이) 죽다. 말라 죽다; (쌍륙 등에서) 말이 날밭에 들어서다; 몰수당하다; (京都 시내에서) 북쪽으로 가다. ((황궁(皇宮)이 시내 북쪽에 있었기 때문임)) 〔반의어〕 下がる; (몸의 일부가) 위로 올라가다. 〔참고〕 「挙がる」로도 씀; 높이 솟아오르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일다. 왕성해지다; (배에서 뭍으로) 오르다. 상륙(上陸)하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이 끝남을 나타냄. 다 …하다. 끝나다; 동작·상태가 극도에 달함을 나타냄. 아주 …하다. 완전히 …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飲む」 「吸う」의 높임말》 드시다. 잡수시다. 〔동의어〕召しあがる.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범인이) 잡히다. 검거되다; (증거가) 드러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튀겨지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茹でる
데치다. 물에 삶다. 〔동의어〕ゆでる. 〔참고〕 「ゆでる」의 변한말
軽く潰しておきます
潰す
찌그러뜨리다. 부수다. 으깨다; (다른 용도에 쓰기 위해) 변형하다; 탕진하다. 파산(破産)시키다; 손상하다. 망치다; 잡다; 시간을 보내다. 낭비하다; 놀라다; 눈멀게 하다; 엉망이 되게 하다; (구멍 등을) 메우다; 온통 칠하다. 【가능동사】 つぶ·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軽い
가볍다. 〔동의어〕かろい; 무게가 적다; 경쾌하다. 홀가분하다; (언행 등이) 경솔하다; 대단하지 않다. 대수롭지 않다; 수월하다. 손쉽다. 간단하다; 맛이 담백하다. 1.~4. 〔반의어〕 重い. かる·げ 【형용동사】 かる·さ 【명사】 かる·み 【명사】 【문어형】 かる·し {ク 활용}
じゃあ冷めるのを待ちます
じゃあ
《「では」의 변한말》;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그렇다면. 〔동의어〕それならば. 1.2.〔동의어〕じゃ
冷める
식다.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잠이 깨다. 눈이 뜨이다. 〔반의어〕 眠る; 깨닫다. 정신을 차리다; 술이 깨다. 제정신이 들다.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바래다. 퇴색하다. 〔동의어〕あせる.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待つ
가루. 분말. 〔동의어〕粉; 어떤 기간의 끝. 말; 『식물·식물학』 소나무; 『러시아어』 「松明」의 준말; 〈「門松」의 준말〉 또는 이것을 세워서 새해를 기뻐하는 기간; 기다리다; 〈「…に~」 「…を~」의 꼴로〉 기대하다; 〈「…を~·たない」의 꼴로〉 그럴 필요가 없다. 〔참고〕 2.3.은 「俊つ」로도 씀. 【가능동사】 ま·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ハイ、じゃあ冷めたので混ぜていきます
じゃあ
《「では」의 변한말》;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그렇다면. 〔동의어〕それならば. 1.2.〔동의어〕じゃ
冷める
식다.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잠이 깨다. 눈이 뜨이다. 〔반의어〕 眠る; 깨닫다. 정신을 차리다; 술이 깨다. 제정신이 들다.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바래다. 퇴색하다. 〔동의어〕あせる.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混ぜる
섞다. 혼합하다; (휘저어) 뒤섞다; 축에 끼워 주다. 【문어형】 ま·ず {하2단 활용}
ハイ、出来ました。
出来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ちょっとだけ、今食べちゃおうとおもいます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こっちはこのまま冷やします
冷やす
식히다. 차게 하다. 〔반의어〕あたためる; 기분을 가라앉히다. 진정시키다. 냉정해지다. 침착해지다; (간담이) 서늘해지다[오싹해지다]. 【가능동사】 ひや·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こっち
《「こち」의 변한말》; 이쪽. 이리; 여기. 이곳; 나. 우리; 이래. 이후
ハイ、ちょっとだけ味見です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味見
맛을 봄. 간을 봄
いただきます
いただく
머리에 얹다. 이다. 쓰다; 받들어 들다. 높이 쳐들다; 받들다. 모시다. 우러러 섬기다; 〈「もらう」의 겸사말〉 얻다. 〔동의어〕ちょうだいする; 〈「飲む」 「食べる」의 겸사말〉 마시다. 먹다. 들다. 【가능동사】 いただ·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もらう」의 겸사말〉 고마운 일을 남에게서 받는 뜻을 나타냄; 〈상대에게 부탁해서 자기가 무엇인가를 하도록 허가를 받는 뜻을 나타냄. 「させて~」의 꼴로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あのボウルごと平らげられるくらい美味しいです
ボウル
볼. 주발. 반구형의 요리용 그릇. 〔동의어〕ボール
くらい
《「座居」의 뜻》; 국왕의 지위; 지위. 계급; 예술 작품 등의 품위. 품격. 관록; (사물의) 등급. 우열(優劣); 『수학』 (십진법의) 자릿수; 《名詞 「位」에서 변한말. 「ぐらい」로도 씀》 만큼. 정도. 가량. 쯤; 어떤 사물을 예시하고 대강 그 정도임을 나타냄; 정도가 낮은 한도를 나타냄; 비교의 기준을 나타냄;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대강의 수량을 나타냄; 어둡다. 〔반의어〕 あかるい; 밝지 않다. 캄캄하다. 침침하다; (색깔 등이) 칙칙하다; (사람됨이나 행실 등이) 떳떳하지 못하다; (전망 등이) 암담하다. 희망이 없다; (마음이나 표정 등이) 우울하다. 침울하다. 음침하다; (세상 물정 등에) 밝지 못하다. 캄캄하다. くら·さ 【명사】 【문어형】 くら·し {ク 활용}
美味しい
《文語의 形容詞 「いし(맛있다)」에 接頭語 「お」가 붙은 꼴》 (음식이) 맛있다. 맛좋다. 〔동의어〕うまい. 〔반의어〕 まずい. 〔참고〕 「うまい」보다 점잖은 느낌이 있어 여성들이 즐겨 씀. おい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いし·さ 【명사】
平らげる
평정(平定)하다. 진압하다. 퇴치하다; 다 먹어 치우다. 【문어형】 たひら·ぐ {하2단 활용}
なんで眠れない時に、深夜から作るご飯って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深夜
심야. 깊은 밤. 〔동의어〕よふけ·深更·真夜中; 『문어』 신가. 〔동의어〕新宅; 분가(分家)한 집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こんなに美味しいんですかね?
美味しい
《文語의 形容詞 「いし(맛있다)」에 接頭語 「お」가 붙은 꼴》 (음식이) 맛있다. 맛좋다. 〔동의어〕うまい. 〔반의어〕 まずい. 〔참고〕 「うまい」보다 점잖은 느낌이 있어 여성들이 즐겨 씀. おい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いし·さ 【명사】
ハイ、ということで
食べ終わりました
終わる
끝나다; 종료되다. 〔반의어〕 始まる; 〈名詞+「で」의 꼴에 붙어〉 (더욱 발전하지 못하고) …으로 끝나다; 〈名詞+「に」의 꼴에 붙어〉 …으로 끝나다. …의 결과로 되다; (어떤 상태에 이르기 전에) 끝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능동사】 お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작용이) 완결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おかわりは、やめておきます。
はじめての深夜料理動画でした。
深夜
심야. 깊은 밤. 〔동의어〕よふけ·深更·真夜中; 『문어』 신가. 〔동의어〕新宅; 분가(分家)한 집
料理
『문어』 양리. 좋은[훌륭한] 관리. 〔동의어〕能吏; 요리;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 일을 잘 처리함. (상대를) 잘 다스림
動画
동화. 〔동의어〕アニメーション; 동화; 아동이 그린 그림. 〔동의어〕児童画
いつもよりちょっと
いつも
언제나. 항상. 늘. 〔동의어〕常に; 평소. 평상시. 여느 때. 〔동의어〕平生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静かかな?と思うんですけど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静か
고요함; 떠들썩하지 않음. 잠잠함; 평온함; 차분함. しず-か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見ていただいて、ありがとう御座いました。
いただく
머리에 얹다. 이다. 쓰다; 받들어 들다. 높이 쳐들다; 받들다. 모시다. 우러러 섬기다; 〈「もらう」의 겸사말〉 얻다. 〔동의어〕ちょうだいする; 〈「飲む」 「食べる」의 겸사말〉 마시다. 먹다. 들다. 【가능동사】 いただ·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もらう」의 겸사말〉 고마운 일을 남에게서 받는 뜻을 나타냄; 〈상대에게 부탁해서 자기가 무엇인가를 하도록 허가를 받는 뜻을 나타냄. 「させて~」의 꼴로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御座る
《「御座ある」가 줄어든 말. 「居る」 「行く」 「来る」의 높임말》; 계시다. 가시다. 오시다. 〔동의어〕いらっしゃる; 〈「ある」의 공손한 표현〉 있습니다. 〔동의어〕ございます; 《속어》 상하다. 부패하다; 《속어》 반하다. 연정을 품다; 《속어》 배가 고프다. 시장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て[で]~」 「…に~」의 꼴, 또는 形容詞 連用形의 ウ音便의 꼴을 받음. 補助動詞 「ある」 「いる」의 공손한 표현》 있습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また、眠れない時には料理をして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料理
『문어』 양리. 좋은[훌륭한] 관리. 〔동의어〕能吏; 요리;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 일을 잘 처리함. (상대를) 잘 다스림
動画を撮ろうかな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画
동화. 〔동의어〕アニメーション; 동화; 아동이 그린 그림. 〔동의어〕児童画
よかったら高評価とチャンネル登録もよろしくおねがいします。
評価
빙과. 〔동의어〕氷菓子; 평가; 『문어』 비평가
登録
『문어』 동쪽 기슭; 등록
高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チャンネル
채널; (라디오·텔레비전 등에서) 각 국(局)에 할당된 전파의 주파수대(周波數帶); (텔레비전 수상기의 방송을 바꾸는) 손잡이. 〔동의어〕チャネル
それでは。
それでは
(앞의 말을 받아) 그런 상태로서는. 그래서는. 〔동의어〕それじゃ; 그럼. 그렇다면. 그러면. 〔동의어〕それじゃ
All my love is for you
All my love is for youしまじろうの おてつだいたい
あれば便利な2つが合体「新モバイルカイロ」(2021年11月15日)
「バンクシー」新作一挙公開 テーマは英の夏休み(2021年8月17日)
初めて青空見た! チンパンジー“驚きの表情”(2023年6月30日)
ハワイ州 渡航者に接種・陰性証明を義務付けへ(2021年11月6日)
強盗犯の足跡たどり自宅特定 警察犬のお手柄で犯人逮捕 ご褒美はジャーキー100日分(2023年7月25日)
みやぞん 「イッテQ」海外ロケで左足首を骨折
技能五輪 職種紹介ビデオ 家具
桜田前大臣 少子化めぐり「子ども最低3人産んで」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