森に冬がやって来ました。
森に冬がやって来ました。
雪が深く積もると、 森には人っ子一人いなくなります。
あれ? 山小屋から話し声が聞こえてきます。
ここには人っ子一人いないはずなのに・・・
人間ではありません。
雪だるま達のパーティーが開かれていたのです。
ようこそ! 雪だるまのパーティーへ!
「 おいしいよ」
「 おいしいね」
雪だるま達は一年に一度、 ここに集まってきます。
随分、 冷たそうなごちそうですね。
しばらくすると、 みんな退屈になってきました。
「 誰か何か楽しいことをしておくれ」
「 賛成! 」
「 いいね」
「 やろうやろう! 」
「 じゃあ、 初めに私が歌を歌おう」
「 え、 では冬の歌を歌います」
「 はい」
「 うわ、 何だか悲しい歌だな」
「 泣きたくなってきた」
「 では、 物真似をやります」
「 つららの真似、 ふん! 」
「 これはどこが面白いのかね? 」
「 何だか寒くなってきたよ」
「 私、 踊ります! 」
あーあ、 パーティーはますますつまらなくなってきました。
その時、 部屋の隅で小さな雪だるまが手を挙げました。
「 はいはいはい! 」
「 はい、 えそこのちっちゃい雪だるまさん、 どうぞ! 」
「 歌って、 踊ります! 」
雪だるまだるま真ん丸だ
雪だるまマンボ
森に冬がやって来ました。
森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冬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雪が深く積もると、 森には人っ子一人いなくなります。
森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積もる
(높이) 쌓이다. 모이다; (감정 등 형태가 없는 것이) 쌓이다. 밀리다. 늘다; 세월이 지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림잡다. 셈치다. 예상하다. 짐작하다. 〔동의어〕見積もる; 추측하다. 헤아리다. 〔동의어〕おしはか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っ子
《動詞連用形에 붙어 名詞를 만듦》 같은 동작을 서로 겨루는 뜻을 나타냄. 〔동의어〕こ; 특정한 환경이나 상태에 있는 사람임을 나타냄. 〔동의어〕っ児; 아녀자임을 나타냄. 애. 녀석
あれ? 山小屋から話し声が聞こえてきます。
聞こえ
들림. 들리는 정도; 소문. 평판; 남이 들었을 때의 느낌
話し声
말소리
山小屋
등산자의 휴게·숙박·피난을 위해 산속에 지어 놓은 산막. 〔동의어〕ヒュッテ
ここには人っ子一人いないはずなのに・・・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っ子
《動詞連用形에 붙어 名詞를 만듦》 같은 동작을 서로 겨루는 뜻을 나타냄. 〔동의어〕こ; 특정한 환경이나 상태에 있는 사람임을 나타냄. 〔동의어〕っ児; 아녀자임을 나타냄. 애. 녀석
人間ではありません。
人間
인환. 사람이 살고 있는 곳. 인간 세계. 세상; 『문어』 세상. 세간
雪だるま達のパーティーが開かれていたのです。
パーティー
파티; 서양식 연회·회합; 단체. 정당; (등산 등의) 일행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ようこそ! 雪だるまのパーティーへ!
パーティー
파티; 서양식 연회·회합; 단체. 정당; (등산 등의) 일행
ようこそ
《「よくこそ」의 변한말》 상대의 방문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나타내는 말
「 おいしいよ」
おいしい
《文語의 形容詞 「いし(맛있다)」에 接頭語 「お」가 붙은 꼴》 (음식이) 맛있다. 맛좋다. 〔동의어〕うまい. 〔반의어〕 まずい. 〔참고〕 「うまい」보다 점잖은 느낌이 있어 여성들이 즐겨 씀. おい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いし·さ 【명사】
「 おいしいね」
おいしい
《文語의 形容詞 「いし(맛있다)」에 接頭語 「お」가 붙은 꼴》 (음식이) 맛있다. 맛좋다. 〔동의어〕うまい. 〔반의어〕 まずい. 〔참고〕 「うまい」보다 점잖은 느낌이 있어 여성들이 즐겨 씀. おい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いし·さ 【명사】
雪だるま達は一年に一度、 ここに集まってきます。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随分、 冷たそうなごちそうですね。
ごちそう
맛있는 음식. 호화로운 식사; 음식을 대접함. 한턱냄. 〔동의어〕もてなし
随分
《「~と」의 꼴로도 씀》; 분에 어울리게; 보통 정도가 넘는 모양. 몹시. 아주. 대단히; 가능한 한. 부디. 아무쪼록. 〔참고〕 예스러운 표현. 작별 인사 때 씀; 《속어》 《「ずいぶんひどい」의 「ひどい」가 빠진 것》 매우 심함. 너무함
しばらくすると、 みんな退屈になってきました。
しばらく
잠깐. 잠시. 〔동의어〕しばし; 얼마 동안. 당분간; 〈「~です」의 꼴로〉 오래간만. 오랜만
退屈
지루함. 따분함. 무료함. 심심함; 싫증이 남. 또는 그 모양. {문어·ナリ 활용 }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 誰か何か楽しいことをしておくれ」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楽しい
즐겁다. 재미있다. 유쾌하다. 〔참고〕 「うれしい」는 감격적, 일시적. 「たのしい」는 정적(靜的), 계속적. たの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たのし·げ 【형용동사】 たのし·さ 【명사】 たのし·み 【명사·형용동사】 【문어형】 たの·し {シク 활용}
「 賛成! 」
賛成
삼세; 부모·자식·손자의 3대. 〔동의어〕さんぜ2.; 『문어』 삼성. 세 번[여러 번] 반성함; 삼성; 『문어』 산세. 산의 모습·모양; 참정. 정치 참여; 처참함. 〔동의어〕凄惨. {문어·ナリ 활용 }; 《「産児制限」의 준말》 산아 제한; 『화학』 산성. 〔반의어〕 アルカリ性; 찬성. 〔반의어〕 反対
「 いいね」
「 やろうやろう! 」
「 じゃあ、 初めに私が歌を歌おう」
じゃあ
《「では」의 변한말》;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그렇다면. 〔동의어〕それならば. 1.2.〔동의어〕じゃ
歌
노래. ((동요·가요·민요·속요 등의 총칭)) 〔참고〕 「唄」라고도 씀; 短歌. 和歌. ((넓은 뜻으로는 시))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初め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名詞를 만듦》 처음으로 함. 특히 새해 들어 첫 번째임을 뜻함. 〔참고〕 말에 따라서는 청음(淸音)인 경우도 있음. 「なれそめ」 등
「 え、 では冬の歌を歌います」
歌
노래. ((동요·가요·민요·속요 등의 총칭)) 〔참고〕 「唄」라고도 씀; 短歌. 和歌. ((넓은 뜻으로는 시))
冬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 はい」
「 うわ、 何だか悲しい歌だな」
悲しい
슬프다; 애처롭다. 딱하다. 구슬프다. かな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かなし·げ 【형용동사】 かなし·さ 【명사】 かなし·み 【명사】 【문어형】 かな·し {シク 활용}; ⇒ 愛し
歌
노래. ((동요·가요·민요·속요 등의 총칭)) 〔참고〕 「唄」라고도 씀; 短歌. 和歌. ((넓은 뜻으로는 시))
何だか
무엇인지. 무언지; 어쩐지. 웬일인지
「 泣きたくなってきた」
泣き
울음. 한탄함; 울 만큼 괴로움. 눈물 남; 《文語의 形容詞 「なし」의 連体形에서》 죽은. 돌아가신; 《文語의 形容詞 「なし」의 連体形의 名詞화》 없음
「 では、 物真似をやります」
物真似
흉내.
「 つららの真似、 ふん! 」
真似
흉내. 모방; 동작. 행동. 몸짓. 시늉; 〈形式名詞적으로 써서〉 (바보 같은 달갑지 않은) 행동. 짓
「 これはどこが面白いのかね? 」
面白い
우습다; 재미있다. 흥겹다. 즐겁다; 흥미 있다. 마음이 끌리다; (예상대로 잘되어) 바람직스럽다. 좋다. ((否定形이 따를 때가 많음)) おもしろ·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もしろ·げ 【형용동사】 おもしろ·さ 【명사】 おもしろ·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ろ·し {ク 활용}
「 何だか寒くなってきたよ」
何だか
무엇인지. 무언지; 어쩐지. 웬일인지
「 私、 踊ります! 」
踊り
춤. 무용. 〔동의어〕舞踊·舞踏·ダンス; 江戸 시대에, 고리 대금을 기한이 되어도 갚지 않을 때, 대여를 계속하면서 그 날짜의 이자를 이중으로 계산함. 또는 그 이자. 〔동의어〕踊り歩; (초밥집에서) 살아 있는 새우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あーあ、 パーティーはますますつまらなくなってきました。
ますます
《「増す増す」의 뜻에서》 더욱더. 점점 더. 〔동의어〕いよいよ
パーティー
파티; 서양식 연회·회합; 단체. 정당; (등산 등의) 일행
その時、 部屋の隅で小さな雪だるまが手を挙げました。
隅
《지명 등에 붙어》 ‘궁’ ‘신사(神社)’ 등의 뜻을 나타냄; (가위바위보의) 바위. 주먹. 〔동의어〕石. 〔반의어〕 ちょき·ぱあ; 『문어』 배우자; 『문어』 주거. 임시 주거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小さな
작은. 〔반의어〕 大きな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部屋
방; 광. 곳간; 궁중에서 궁녀들이 거처하는 방. 〔동의어〕局; 하급 직책의 여성으로서 귀인의 첩이 되어 방을 차지한 여자; 은퇴한 씨름꾼이 제자를 양성하는 곳. ((연습용 씨름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씨름꾼은 어느 곳에든 소속되어 있어야 함))
「 はいはいはい! 」
「 はい、 えそこのちっちゃい雪だるまさん、 どうぞ! 」
どうぞ
상대편에게 무엇을 허락하거나 권하거나 할 때 쓰는 말. ((공손한 표현)); 부탁이나 희망의 뜻을 나타내는 말. 아무쪼록. 제발. 부디. 〔동의어〕なにとぞ·どうか; 어떻게든. 〔동의어〕なんとか·どうにか
ちっちゃい
《「ちいさい」의 변한말》 작다. 조그마하다. 〔동의어〕小さい
「 歌って、 踊ります! 」
踊り
춤. 무용. 〔동의어〕舞踊·舞踏·ダンス; 江戸 시대에, 고리 대금을 기한이 되어도 갚지 않을 때, 대여를 계속하면서 그 날짜의 이자를 이중으로 계산함. 또는 그 이자. 〔동의어〕踊り歩; (초밥집에서) 살아 있는 새우
雪だるまだるま真ん丸だ
真ん丸
완전히 둥근 것. {문어·ナリ 활용 }
雪だるまマンボ
マンボ
『음악』 맘보. ((라틴 음악의 댄스곡))
大丈夫、僕ら
陸自ヘリ事故 引き揚げられた機体の積み替え完了 分屯地へ(2023年5月7日)
アフリカの子どもたちに靴を 下取りで500円割引券(2020年9月30日)
定期航空協会 航空機内でのマスク着用は個人の判断で(2023年2月21日)
「糖質カット」炊飯器 表示のカット率に遠く及ばず 国民生活センターが注意呼びかけ(2023年3月15日)
彼の後ろ
冷凍食品も値上げへ 原材料、原油高騰が家計直撃(2021年11月27日)
Japanese Word - Physical Appearance
7月の平均気温 東京など25地点で過去最高に 気象庁(2023年8月1日)
愛してるのに、愛せない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