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きな希望と夢をもって
大きな希望と夢をもって
ふるさと離れ ネオンの中
ときめいた心 今も忘れない
見たことない世界はまるで
真夜中の眠った遊園地
不安と期待が入り混じる
ありがとう ずっとこの想い胸に溢れ続ける
不安や悲しみ大きな壁も
きっと乗り越えられる
奇跡のようなあの瞬間に
出逢えたあなたに伝えたい
ありがとう これからもよろしくね
同じ時間(とき)を過ごしたくて Forever
まだ子供と大人の狭間
出会いと別れの交差点で
時々自分さえも怖くなる
ありがとう ずっとこの想い胸に溢れ続ける
不安や悲しみ大きな壁も
きっと乗り越えられる
奇跡のようなあの瞬間に
出逢えたあなたに伝えたい
ありがとう これからもよろしくね
同じ時間を過ごしたくて Forever
一秒一秒が 大切な一度の人生だから
時につまずいたっていい
思いきり泣いたっていい
ゆっくり 顔あげて
何があったって立ち上がり
ふたりで乗り越えていこうよ
一ページずつ物語がほら 生まれていくよ
奇跡のようなあの瞬間に
出逢えたあなたに伝えたい
ありがとう これからもよろしくね
同じ時間を過ごしたくて
この想いを届けたくて Forever
大きな希望と夢をもって
希望
『문어』 기망. 일을 계획하여 이루어지기를 바람; 희망; 『문어』 귀모. 보통 사람이 생각 못할 뛰어난 계책; 『문어』 기망. 음력 16일 밤. 또는 그 밤의 달. 〔동의어〕十六夜. 〔참고〕 이미 「望(만월)」가 끝났다는 뜻; 『문어』 궤모. 남을 속이는 계책. 궤계(詭計)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ふるさと離れ ネオンの中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ネオン
네온; 「ネオンサイン」의 준말
離れ
별당(別堂). 별채. 〔동의어〕離れ座敷·離れ家; 〈「…ばなれ」의 꼴로 接尾語적으로 쓰여〉 아주 동떨어져 있음. 떨어져 나감
ときめいた心 今も忘れない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忘れる
잊다; 잊어버리다. 망각하다; (열중하여) 깨닫지 못하다; (물건을) 잊고 두고 오다[가다]; 해야 할 것을 하지 않고 있다; (품은 생각 등을) 버리다. 〔참고〕 옛날에는 문어에 4段活用이 있었음. 【문어형】 わす·る {하2단 활용}
ときめく
(기쁨·기대 등으로) 가슴이 설레다. 가슴이 두근거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시류를 타고 위세를 떨치다. 한창 들날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見たことない世界はまるで
世界
지구상의 모든 나라. 만국(萬國); (지구를 중심으로 해서 본) 우주. 〔동의어〕天地; 세상. 인간 사회; 『불교』 중생(衆生)이 살고 있는 곳; 어느 특정한 것의 한정되는 범위
まるで
〈否定語가 따름〉 전혀. 전연. 〔동의어〕全く·全然; 마치. 꼭. 흡사. 〔동의어〕ちょうど·さながら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真夜中の眠った遊園地
眠る
《속어》 협박하거나 해서 단물을 빨아 먹다. 〔동의어〕しゃぶ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 ねむる
地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真夜中
한밤중. 심야(深夜)
遊園
『문어』 유원. 으늑하고 아득함. 그윽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그윽하고 아름다움. {문어·ナリ 활용 }; 유원. 아득히 멂. {문어·ナリ 활용 }; 『문어』 유연. 술잔치를 베풀며 즐김. 또는 그 술잔치; 놀이터, 휴게 시설이 갖추어져 있는 정원; 『문어』 얌전하고 아름다움. 상냥하고 부드러움. {문어·ナリ 활용 }
不安と期待が入り混じる
不安
불안. {문어·ナリ 활용 }
期待
『문어』 위태. 위험; 『물리』 기체. 〔동의어〕ガス. 〔반의어〕 固体·液体; 『철학』 기체. 여러 가지 작용·성질·변화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되는 것; 귀태; 『의학』 포도상 귀태. 태반의 일부가 되는 융모막(絨毛膜)의 조직이 포도송이 모양으로 이상 발육을 하는 임신 이상. ((태아는 사망하여 유산이 됨)) 〔동의어〕ぶどう状鬼胎·胞状鬼胎. 〔참고〕 「奇胎」로도 씀; 근심. 걱정. 두려움. 〔동의어〕おそれ; 기대; 기체. 비행기(의 동체); 『문어』; 희대. 세상에 드묾. 희세(稀世); 아주 이상함. 〔참고〕 「きだい」라고도 함. {문어·ナリ 활용 }; 기태. 별남. 기이함. 괴상함. {문어·ナリ 활용 }
混じる
⇒ こんずる
入る
들어가다. 들다. 〔동의어〕はいる. 〔반의어〕 出る; (어떤 경지에) 이르다; (해·별·달이) 지다; (어떤 환경에) 몸두다; (차차 변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다. 〔참고〕 현재는 보통 단독으로는 「はいる」가 쓰이고 「いる」는 「気に入る」「堂に入る」등 관용적인 표현에 쓰이는 것이 보통임; 「入れる」의 문어; 필요하다. 들다. 소용되다. 〔참고〕 「入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볶다; (달걀·두부 등을) 지지다. 【가능동사】 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 존재하다. 〔참고〕 옛날에는 물건에 대해서도 썼음; 근무하다; 앉다; 《고어》 (안개·구름 등이) 가만히 있다. 머물러 있다. {문어·하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동작·상태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반복을 나타냄; 현재의 상태를 나타냄; 과거에 있었던 동작·경험 등을 나타냄. 〔참고〕 「…ている」 「…ています」 「…ていた」는 상용어(常用語)에서 흔히 「…てる」 「…てます」 「…てた」의 꼴로 씀.{문어·하1단 활용}; 쏘다; (쏘아서) 맞히다; 쏘아보다; (자기 것을 만들려고) 노리다. 노려서 차지하다; (빛이 강렬하게) 비추다. 〔참고〕 근세 후기 부터 「矢を射った」와 같이 5[4]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볼 수 있음. {문어·상1단 활용}; 주조하다. (거푸집에) 부어 만들다. 지어 붓다. {문어·상1단 활용}
ありがとう ずっとこの想い胸に溢れ続ける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胸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溢れる
가득 차서 넘치다. 흘러 넘치다; (넘칠 만큼) 많다. 【문어형】 あふ·る {하2단 활용}
不安や悲しみ大きな壁も
壁
벽. 바람벽; (비유적으로) 장애. 난관; (등산에서) 깎아지른 듯한 암벽(岩壁)
不安
불안. {문어·ナリ 활용 }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悲しみ
슬픔. 비애
きっと乗り越えられる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乗り越える
타고 넘다; 뚫고[헤쳐] 나가다. 극복하다. 뛰어넘다; 앞지르다. 능가하다. 【문어형】 のりこ·ゆ {하2단 활용}
奇跡のようなあの瞬間に
瞬間
춘한. 봄추위. 꽃샘 추위. 〔동의어〕はるさむ. 〔참고〕 주로 편지·俳句 등에서 씀; 순간
奇跡
기묘하게 생긴 돌. 괴석; 기적; 궤적; 『수학』 자취; 바퀴 자국; 어떤 사물이 거쳐 온 자취; 『문어』 복적. 〔동의어〕復籍; 『불교』 귀적. 과거장(過去帳). 귀부(鬼簿); 『광물』 휘석
出逢えたあなたに伝えたい
伝える
전하다; (소식을) 알리다. 전언하다. 전달하다. 〔동의어〕伝達する; 물려주다. 뒤에 남기다; 전파하다. 전해주다; 전수(傳授)하다; 전도(傳導)하다. 옮겨 보내다. (작용을) 미치다. 【문어형】 つた·ふ {하2단 활용}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出る
나가다. 나오다; 안에서 밖으로 나가다. 〔반의어〕 はいる; 팔리다; 출석하다. 출근하다. 참가하다. 출장(出場)·출연하다; 떠나다. 출발하다; 졸업하다; 다다르다. 이르다; 나서다; 나아가다; 출판되다. (출판물에) 실리다. 나다; 솟다. 솟아나오다; 일다. 일어나다; 태도를 보이다; 넘쳐 흐르다; 벗어나다. 초과하다. 넘다; 나타나다; 생기다. 비롯되다; 산출되다. 나다; 받다. 얻다; 우러나다. 〔참고〕 고형(古形)은 「いづ」. 【문어형】 づ {하2단 활용}
ありがとう これからもよろしくね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同じ時間(とき)を過ごしたくて Forever
過ごす
(시간을) 보내다. (변하여) 지내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정도에 지나치다. 넘치다; 어떤 시기를 넘기다; 부양하다. 살아가게 하다. 【가능동사】 すご·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하는 대로 내버려 두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まだ子供と大人の狭間
大人
『문어』; 귀인·부자 등의 높임말. 대인; 스승·학자 또는 선인(先人)의 높임말. 선생. 〔참고〕 鈴屋는 江戸 중기의 국학자 本居宣長의 아호; 『동물·동물학』 소; 축; 십이지(十二支)의 둘째; 방위로는 북북동(北北東); 《속어》 소; 『의학』 우치. 충치. 〔동의어〕虫歯. 〔참고〕 「くし」의 관용음
子供
(어버이에 대하여) 자식. 아이. 〔반의어〕 親; (어른에 대하여) 아이. 〔반의어〕 大人; 언어·행동이 아직 유치함. 어린애; (짐승 등의) 새끼; 고용하고 있는 기녀·창녀
狭間
(어떤 사물·사람의) 상태. 모양. 모습. 몰골; 방법. 수단; 이유. 사정; 《江戸 시대에 흔히 창녀가 쓰던 말》; (2인칭) 당신. 님; (3인칭) 저분. 그분; 〈名詞에 붙어〉 그 방향·방면의 뜻을 첨가함. 방향. 쪽. 향. 〔참고〕 ㉠「ざま」라고도 함. ㉡「方」로도 씀; 〈인명 또는 사람을 나타내는 名詞 등에 붙어〉 그 사람에 대한 존경을 나타냄. 님. 씨; 〈接頭語 「ご」 「お」가 붙은 名詞·形容動詞에 붙어〉 어떤 사실을 공손히 하는 말;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려 할 때. …과 동시에. …하자마자;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상태. …하는 방식[모양]. …하는 꼴. 〔참고〕 흔히, 「ざま」라고도 함; 성벽 등에 설치하여 밖을 보거나 활·총을 쏘는 창
出会いと別れの交差点で
別れ
헤어짐. 이별; 고별. 결별. 하직. 〔동의어〕いとまごい·訣別; 갈래. 분파. 방계(傍系). 〔참고〕 3.은 「分かれ」로도 씀
出会い
해후. 마주침. 만남. 〔동의어〕巡りあい; (남녀의) 밀회. 〔동의어〕あいびき; (강 등의) 합류점; 채색(彩色)의 배합. 〔동의어〕色取り; 공동 작업; 『경제』 팔 사람과 살 사람이 값이 맞아서 거래가 이루어짐
時々自分さえも怖くなる
怖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ありがとう ずっとこの想い胸に溢れ続ける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胸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溢れる
가득 차서 넘치다. 흘러 넘치다; (넘칠 만큼) 많다. 【문어형】 あふ·る {하2단 활용}
不安や悲しみ大きな壁も
壁
벽. 바람벽; (비유적으로) 장애. 난관; (등산에서) 깎아지른 듯한 암벽(岩壁)
不安
불안. {문어·ナリ 활용 }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悲しみ
슬픔. 비애
きっと乗り越えられる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乗り越える
타고 넘다; 뚫고[헤쳐] 나가다. 극복하다. 뛰어넘다; 앞지르다. 능가하다. 【문어형】 のりこ·ゆ {하2단 활용}
奇跡のようなあの瞬間に
瞬間
춘한. 봄추위. 꽃샘 추위. 〔동의어〕はるさむ. 〔참고〕 주로 편지·俳句 등에서 씀; 순간
奇跡
기묘하게 생긴 돌. 괴석; 기적; 궤적; 『수학』 자취; 바퀴 자국; 어떤 사물이 거쳐 온 자취; 『문어』 복적. 〔동의어〕復籍; 『불교』 귀적. 과거장(過去帳). 귀부(鬼簿); 『광물』 휘석
出逢えたあなたに伝えたい
伝える
전하다; (소식을) 알리다. 전언하다. 전달하다. 〔동의어〕伝達する; 물려주다. 뒤에 남기다; 전파하다. 전해주다; 전수(傳授)하다; 전도(傳導)하다. 옮겨 보내다. (작용을) 미치다. 【문어형】 つた·ふ {하2단 활용}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出る
나가다. 나오다; 안에서 밖으로 나가다. 〔반의어〕 はいる; 팔리다; 출석하다. 출근하다. 참가하다. 출장(出場)·출연하다; 떠나다. 출발하다; 졸업하다; 다다르다. 이르다; 나서다; 나아가다; 출판되다. (출판물에) 실리다. 나다; 솟다. 솟아나오다; 일다. 일어나다; 태도를 보이다; 넘쳐 흐르다; 벗어나다. 초과하다. 넘다; 나타나다; 생기다. 비롯되다; 산출되다. 나다; 받다. 얻다; 우러나다. 〔참고〕 고형(古形)은 「いづ」. 【문어형】 づ {하2단 활용}
ありがとう これからもよろしくね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同じ時間を過ごしたくて Forever
過ごす
(시간을) 보내다. (변하여) 지내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정도에 지나치다. 넘치다; 어떤 시기를 넘기다; 부양하다. 살아가게 하다. 【가능동사】 すご·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하는 대로 내버려 두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一秒一秒が 大切な一度の人生だから
秒
병; 초; 각도·경도·위도의 단위; 묘; 사당. 영묘. 〔동의어〕おたまや; 조정. 묘당(廟堂); 압정(押釘). 대갈못. 〔동의어〕押しピン; 리벳. 〔동의어〕リベット; 극히 작음. 사소함. 하찮음. {문어·タリ 활용}; (수면·평원 등이) 끝없이 넓고 아득함. 멀리 퍼진 모양. {문어·タリ 활용}
人生
『문어』 인세. 인간 세상. 속세; 인생; 인간이 살고 있는 기간. 일생; 인간의 생활·생존 방법; 『문어』 인성. 인간 본연의 성질; 인정. 어진 정치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大切
대설; 24절기의 하나. ((12월 8일경)); 『문어』 대절; 중대한 사건. 〔동의어〕大事·; 『동물·동물학』 체절. 몸마디; 중요함. 귀중함. 소중함; 소중하게 다루는 모양. 물건을 아끼는 모양. 1.2.〔동의어〕大事. たい-せ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내설. 강설이나 적설에도 잘 견디는 성질
時につまずいたっていい
つまずく
발이 걸려 넘어질 뻔하다. 채여서 비틀거리다. 곱드러지다. 〔동의어〕けつまずく; 차질이 생기다. 중도에서 실패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時に
때때로. 때로는. 가끔. 어쩌다가; 그때가 바로. 때마침; 말머리를 바꿀 때 쓰는 말. 그런데. 〔동의어〕ところで
思いきり泣いたっていい
泣く
울다; 괴로운 꼴을 당하다. 시달리다; 할 수 없이 받아들이다[손해를 보다]; 명실상부하지 않다. 【가능동사】 な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새·벌레·짐승 등이) 울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否定의 助動詞 「ず」의 옛 未然形 「な」+接尾語 「く」의 꼴》 …이 아님. …않음
ゆっくり 顔あげて
あげる
(높은 곳으로) 올리다. 〔반의어〕 おろす·さげる; (몸의 일부 또는 손에 든 것을) 위쪽으로 움직이다. 들다. 쳐들다. 들어올리다. 〔반의어〕 さげる·おろす; (지위 등을) 높이다. 올리다. 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수입·이익·효과 등을) 올리다. 거두다; (기세·속도 등을) 올리다. 더하다. 〔반의어〕 さげる; (사물의 상태를) 좋게 하다. 〔반의어〕 さげる; (온도·습도 등의 수치를) 크게 하다.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뭍으로 옮기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연기·기·연 등을) 하늘 높이 올리다. 공중에 띄우다; (값을) 올리다. (가치를)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신불 앞에) 바치다. 차려 놓다. 〔반의어〕 さげる;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보내다. 넣다. 진학[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걷다. 치우다; 맞아들이다; (기생 등을) 불러서 놀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소리를) 지르다. 〔반의어〕 さげる; 게우다. 토하다; 마치다. 끝내다; (얼마의 비용으로) 끝내다; (작품 등을) 완성시키다; (과제 등을) 다 배우다. 떼다; 〈「やる」 「与える」의 공손한 표현〉 드리다. 주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やる」의 뜻》 …해 주다. …해 드리다.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てやる」보다 다소 깍듯한 표현임. 손윗사람에게는 「さしあげる」를 쓰는 것이 일반적임.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겸양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손 등을) 들다; (예 등을) 들다; 골라서 내놓다. 천거하여 세우다; 다하다. 다 모으다; (자식을) 얻다. 낳다. 〔동의어〕もうける; 잡다. 체포[검거]하다. 적발하다; (식을) 거행하다. 올리다; (전쟁·반란을) 일으키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튀기다; (뭍으로) 옮기다. 〔동의어〕上げる8..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ゆっく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천천히. 느긋하게; 충분히. 넉넉히. 여유있게. 〔동의어〕たっぷり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何があったって立ち上がり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立ち上がり
일어섬; (변하여) 일이나 동작의 시작. 초동. 시동; (옷감·종이 등의) 재단을 끝냄. 또는 그 상태. 마름질한 것
ふたりで乗り越えていこうよ
乗り越える
타고 넘다; 뚫고[헤쳐] 나가다. 극복하다. 뛰어넘다; 앞지르다. 능가하다. 【문어형】 のりこ·ゆ {하2단 활용}
一ページずつ物語がほら 生まれていくよ
物語
(서로) 이야기함. 또는 그 내용; 전설. 설화; (平安 시대 이후의) 산문 형식의 문학 작품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生まれる
태어나다. 출생[탄생]하다. 〔반의어〕 死ぬ; 만들어지다. 새로 생기다; (어떤 감정·효과 등이) 생기다. 발생하다. 【문어형】 うま·る {하2단 활용}
ページ
책·노트 등의 면수를 세는 말. 면. 쪽. 페이지. ((약호는 p. 또는 pp)) 〔참고〕 흔히, 「頁」라고 차자를 쓰기도 함
奇跡のようなあの瞬間に
瞬間
춘한. 봄추위. 꽃샘 추위. 〔동의어〕はるさむ. 〔참고〕 주로 편지·俳句 등에서 씀; 순간
奇跡
기묘하게 생긴 돌. 괴석; 기적; 궤적; 『수학』 자취; 바퀴 자국; 어떤 사물이 거쳐 온 자취; 『문어』 복적. 〔동의어〕復籍; 『불교』 귀적. 과거장(過去帳). 귀부(鬼簿); 『광물』 휘석
出逢えたあなたに伝えたい
伝える
전하다; (소식을) 알리다. 전언하다. 전달하다. 〔동의어〕伝達する; 물려주다. 뒤에 남기다; 전파하다. 전해주다; 전수(傳授)하다; 전도(傳導)하다. 옮겨 보내다. (작용을) 미치다. 【문어형】 つた·ふ {하2단 활용}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出る
나가다. 나오다; 안에서 밖으로 나가다. 〔반의어〕 はいる; 팔리다; 출석하다. 출근하다. 참가하다. 출장(出場)·출연하다; 떠나다. 출발하다; 졸업하다; 다다르다. 이르다; 나서다; 나아가다; 출판되다. (출판물에) 실리다. 나다; 솟다. 솟아나오다; 일다. 일어나다; 태도를 보이다; 넘쳐 흐르다; 벗어나다. 초과하다. 넘다; 나타나다; 생기다. 비롯되다; 산출되다. 나다; 받다. 얻다; 우러나다. 〔참고〕 고형(古形)은 「いづ」. 【문어형】 づ {하2단 활용}
ありがとう これからもよろしくね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同じ時間を過ごしたくて
過ごす
(시간을) 보내다. (변하여) 지내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정도에 지나치다. 넘치다; 어떤 시기를 넘기다; 부양하다. 살아가게 하다. 【가능동사】 すご·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하는 대로 내버려 두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この想いを届けたくて Forever
届ける
보내다. 전하다. 닿게 하다; 신고하다. 【문어형】 とど·く {하2단 활용}
輸入小麦の売り渡し価格 3年ぶりに値下げへ(2023年9月12日)
「道路に飛び出してはだメェ~」やぎの1日署長 子どもの交通安全呼びかけ 東京・板橋(2023年7月23日)
300円のお手軽クリスマスツリー
ボタン一つでSOS!「あおり運転」対策の新型車
【速報】新型コロナ 東京の新規感染者2万4780人 重症者38人 死亡29人(2022年8月21日)
パラ関係者 選手2人含む30人が新規感染・・・過去最多(2021年8月22日)
東京都 酒提供は停止、百貨店など時短要請継続へ(2021年7月8日)
“ホテルのロビー” 東京駅に高級シェアオフィス(2021年7月12日)
きょうも各地で真夏日 マスク着用時の熱中症に警戒(20/06/16)
米バイデン氏 撤退改めて否定 会見で言い間違える場面も(2024年7月12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