尻尾の釣り
尻尾の釣り
むかしむかしの、ある冬の事です。
森には木の実がなくなってしまい、
サルはお腹がペコペコでした。
ところが
川に住むカワウソは、毎日おいしそうな魚をお腹一杯食べています。
そこでサルは、カワウソに聞きました。
「カワウソくん。どうしたら、そんなに魚が捕れるんだい?」
するとカワウソは、こう言いました。
「そんなの簡単さ。
川の氷に穴を開けて、尻尾を入れるだろう。
それから動かずに、じっと待つんだ。
すると魚が、尻尾をえさと間違えて食らいつく。
それをぐいっと、釣り上げるんだ」
「へぇー。
ぼくもやってみよう」
サルはさっそく川へ出かけると、カチカチにこおった氷に穴を開けて尻尾をたらしました。
「うひゃあー、
冷たーい!」
尻尾がとっても冷たかったけれど、サルは動かずにじっとがまんをしました。
「待つんだ、
待つんだ。もうすぐ、魚が食べられるぞー」
しかし魚は、なかなか尻尾に食いつきません。
そのうちサルは、
ウトウトといねむりをしてしまいました。
サルがふと気がつくと尻尾がこおりついてしまい、少しも動かす事が出来ません。
しかしサルは、
それを大きな魚が釣れたと勘違いをして、
大喜びで尻尾を引っ張りました。
「うーん、
重たいな。こいつは、
よほど大きな魚に違いないぞ」
サルは顔を真っ赤にして、力まかせに尻尾を引っ張りました。
「うーん、うーん、うーん」
そうして
ブチン!!
あまりにも尻尾を力一杯引っ張った為に、サルの尻尾は途中でちぎれてしまいました。
サルの顔が赤くて尻尾が短いのは、
こういうわけだそうです。
おしまい
尻尾の釣り
釣り
(씨름에서) 상대의 샅바를 잡고 들어올려 밖으로 내보내기; 「釣銭」의 준말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むかしむかしの、ある冬の事です。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冬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森には木の実がなくなってしまい、
なくなる
작고하다. 돌아가시다. 죽다. ((「死ぬ」보다 완곡한 표현)) 【문어 4단 활용 동사】; 없어지다. 분실되다; 다 떨어지다. 다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森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木の実
나무 열매. 〔동의어〕このみ
サルはお腹がペコペコでした。
ところが
ところが
그런데. 그러나; 『문어』 《完了의 助動詞 「た」의 終止形에 붙음》; …했으나. …했던 바. 〔참고〕 흔히, 「が」가 생략된 「ところ」의 꼴로도 씀; …했더니; …했댔자. …해 보았자. 〔동의어〕ところで; 〈動詞의 終止形에 붙음〉 …할 터인데
川に住むカワウソは、毎日おいしそうな魚をお腹一杯食べています。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川
강. 내. 시내. 하천. 〔참고〕 「川」가 널리 쓰이며, 「河」는 본디 황하(黃河)의 일컬음으로 큰 강에 씀; 가죽. 껍질; 털가죽. 모피; 표면. 겉면; (이불 등의) 껍데기; (무두질한) 가죽. 피혁. 〔동의어〕なめしがわ; ⇒ がわ; 『문어』 가화. 미담; 『문어』 和歌에 관한 이야기
おいしい
《文語의 形容詞 「いし(맛있다)」에 接頭語 「お」가 붙은 꼴》 (음식이) 맛있다. 맛좋다. 〔동의어〕うまい. 〔반의어〕 まずい. 〔참고〕 「うまい」보다 점잖은 느낌이 있어 여성들이 즐겨 씀. おい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いし·さ 【명사】
杯
술잔; ⇒ さかずきごと1.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住む
살다. 거주하다. 〔동의어〕居住する; 서식하다. 깃들이다. 〔참고〕 2.는 「棲む」로 씀. 【가능동사】 す·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나다. 완료되다; 해결되다. 결말이 나다. 〔동의어〕かたがつく; 만족하다. (마음이) 풀리다; 이럭저럭 해결되다. 족하다. 〔동의어〕間に合う; 〈흔히, 否定語·反語가 따르며〉 도리를 다하다. 체면이 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맑다. 맑아지다. 〔반의어〕 濁る; 탁한 것이 없어지고 깨끗해지다; 소리가 잘 울리다; 잡념 등이 없어지다; 청음(淸音)이다. 청음으로 발음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毎日
매일. 날마다. 그날그날. 〔동의어〕ひごと·日々
そこでサルは、カワウソに聞きました。
そこで
(앞의 말을 받아서) 그래서. 그런 까닭으로; (화제를 바꾸거나 되돌려 놓을 때) 그런데. 그러면
聞く
『문어』 ⇒ 危惧; 기구. 〔반의어〕 結句; 문장의 첫구; 『식물·식물학』 국화. 〔동의어〕長月花; 국화문(菊花紋); 『문어』 규구; 규준. 모범. 규칙; 효력이 있다. 듣다; 가능하다. 통하다; 능력[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다. 잘 움직이다. 〔참고〕 1.은 「効く」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口を~」의 꼴로》; 말을 하다; 주선해 주다. 거들어 주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말이나 소리를) 듣다. 〔참고〕 1.은 「聴く」로도 씀; (남의 말을) 받아들이다;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問う. 〔참고〕 3.은 「訊く」 「尋く」로도 씀; (냄새를) 맡다; (술 등의 맛을) 맛보다. 【가능동사】 き·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기구; (변하여) 인생 행로가 평탄치 못하고 고생이 많음. {문어·タリ 활용}
「カワウソくん。どうしたら、そんなに魚が捕れるんだい?」
そんなに
그렇게. 그토록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するとカワウソは、こう言いました。
すると
《動詞 「する」+接続詞 「と」》; 그랬더니. 그러자; 그러면. 그렇다면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んなの簡単さ。
簡単
『문어』 간담. 간과 쓸개. (변하여) 속마음. 진정; 『곤충』 긴꼬리; 한단. 중국, 전국 시대의 조(趙)나라의 서울; 감탄; 간단. 〔반의어〕 複雑. 〔참고〕 「簡短」이라고도 씀. {문어·ナリ 활용 }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川の氷に穴を開けて、尻尾を入れるだろう。
穴
(뚫린) 구멍. 〔참고〕 흔히 「孔」로 씀; 구덩이. 움푹 들어간 곳; 굴. 동굴. (짐승의) 집; 빈자리. 공백; 결함. 허점. 약점; (금전상의) 결손. 손실. 구멍; (일반에게 알려지지 않은) 이익·소득이 생기는 일 또는 장소. 노다지. 노른자위; (경마·경륜 등에서) 뜻밖의 결과. 예상 외의 승부. 요행수; 《속어》 (여자의) 음부; 《고어》 기뻐하거나 놀라거나 슬퍼하거나 할 때 내는 소리. 아아. 오오
川
강. 내. 시내. 하천. 〔참고〕 「川」가 널리 쓰이며, 「河」는 본디 황하(黃河)의 일컬음으로 큰 강에 씀; 가죽. 껍질; 털가죽. 모피; 표면. 겉면; (이불 등의) 껍데기; (무두질한) 가죽. 피혁. 〔동의어〕なめしがわ; ⇒ がわ; 『문어』 가화. 미담; 『문어』 和歌에 관한 이야기
氷
얼음; 〈「氷水」의 준말〉 빙수; 「氷襲」의 준말; 군. ((지금의 郡에 해당하는 옛 행정 구역의 하나))
開ける
(날이) 밝다. (날이) 새다. 〔반의어〕 暮れる; 새해가 되다; (어느 기간이) 끝나다. 【문어형】 あ·く {하2단 활용}; (문·막·뚜껑·책 등 닫힌 것을) 열다. 펴다. 〔반의어〕 閉める·閉じる; (눈을) 뜨다. 〔반의어〕 つぶる; 뚫다. 〔반의어〕 ふさぐ; (공간·여백·틈새기 등을) 만들다. 내다. 〔반의어〕 ふさぐ; 트다. 〔반의어〕 ふさぐ; 비우다; (집을) 비우다; 시간을 비워 두다; 떼어 놓다. 간격을 두다; (다른 것에) 옮기다. 버리다. 〔참고〕 1.2.는 「開ける」, 3.~9.는 「明ける」 「空ける」로 씀. 【문어형】 あ·く {하2단 활용}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それから動かずに、じっと待つんだ。
動く
《「動く」의 변한말》 움직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じっと
(몸이나 시선 등을) 움직이지 않고 있는 모양. 꼼짝않고. 가만히; 참고 견디는 모양. 꾹. 지그시
それから
그리고. 그 다음에. 그리고 나서; 게다가. 또; 그 이후
待つ
가루. 분말. 〔동의어〕粉; 어떤 기간의 끝. 말; 『식물·식물학』 소나무; 『러시아어』 「松明」의 준말; 〈「門松」의 준말〉 또는 이것을 세워서 새해를 기뻐하는 기간; 기다리다; 〈「…に~」 「…を~」의 꼴로〉 기대하다; 〈「…を~·たない」의 꼴로〉 그럴 필요가 없다. 〔참고〕 2.3.은 「俊つ」로도 씀. 【가능동사】 ま·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すると魚が、尻尾をえさと間違えて食らいつく。
すると
《動詞 「する」+接続詞 「と」》; 그랬더니. 그러자; 그러면. 그렇다면
間違える
잘못하다. 틀리게 하다. 〔동의어〕あやまつ; 잘못 알다. 착각을 하다. 〔동의어〕とりちがえる. 【문어형】 まちが·ふ {하2단 활용}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それをぐいっと、釣り上げるんだ」
釣り上げる
(물고기 등을) 낚아 올리다. 〔참고〕 「釣り上げる」로 씀; 〈「目を~」 「眉を~」의 꼴로〉 치켜 올리다; 매달아 올리다; (시세·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리다. 【문어형】 つりあ·ぐ {하2단 활용}
「へぇー。
ぼくもやってみよう」
サルはさっそく川へ出かけると、カチカチにこおった氷に穴を開けて尻尾をたらしました。
穴
(뚫린) 구멍. 〔참고〕 흔히 「孔」로 씀; 구덩이. 움푹 들어간 곳; 굴. 동굴. (짐승의) 집; 빈자리. 공백; 결함. 허점. 약점; (금전상의) 결손. 손실. 구멍; (일반에게 알려지지 않은) 이익·소득이 생기는 일 또는 장소. 노다지. 노른자위; (경마·경륜 등에서) 뜻밖의 결과. 예상 외의 승부. 요행수; 《속어》 (여자의) 음부; 《고어》 기뻐하거나 놀라거나 슬퍼하거나 할 때 내는 소리. 아아. 오오
川
강. 내. 시내. 하천. 〔참고〕 「川」가 널리 쓰이며, 「河」는 본디 황하(黃河)의 일컬음으로 큰 강에 씀; 가죽. 껍질; 털가죽. 모피; 표면. 겉면; (이불 등의) 껍데기; (무두질한) 가죽. 피혁. 〔동의어〕なめしがわ; ⇒ がわ; 『문어』 가화. 미담; 『문어』 和歌에 관한 이야기
氷
얼음; 〈「氷水」의 준말〉 빙수; 「氷襲」의 준말; 군. ((지금의 郡에 해당하는 옛 행정 구역의 하나))
開ける
(날이) 밝다. (날이) 새다. 〔반의어〕 暮れる; 새해가 되다; (어느 기간이) 끝나다. 【문어형】 あ·く {하2단 활용}; (문·막·뚜껑·책 등 닫힌 것을) 열다. 펴다. 〔반의어〕 閉める·閉じる; (눈을) 뜨다. 〔반의어〕 つぶる; 뚫다. 〔반의어〕 ふさぐ; (공간·여백·틈새기 등을) 만들다. 내다. 〔반의어〕 ふさぐ; 트다. 〔반의어〕 ふさぐ; 비우다; (집을) 비우다; 시간을 비워 두다; 떼어 놓다. 간격을 두다; (다른 것에) 옮기다. 버리다. 〔참고〕 1.2.는 「開ける」, 3.~9.는 「明ける」 「空ける」로 씀. 【문어형】 あ·く {하2단 활용}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うひゃあー、
冷たーい!」
冷たい
《속어》 차다. 차갑다. 〔동의어〕つめたい. 【문어형】 つべた·し {ク 활용}
尻尾がとっても冷たかったけれど、サルは動かずにじっとがまんをしました。
動く
《「動く」의 변한말》 움직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じっと
(몸이나 시선 등을) 움직이지 않고 있는 모양. 꼼짝않고. 가만히; 참고 견디는 모양. 꾹. 지그시
けれど
⇒ けれども; ⇒ けれども
冷たい
《속어》 차다. 차갑다. 〔동의어〕つめたい. 【문어형】 つべた·し {ク 활용}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待つんだ、
待つ
가루. 분말. 〔동의어〕粉; 어떤 기간의 끝. 말; 『식물·식물학』 소나무; 『러시아어』 「松明」의 준말; 〈「門松」의 준말〉 또는 이것을 세워서 새해를 기뻐하는 기간; 기다리다; 〈「…に~」 「…を~」의 꼴로〉 기대하다; 〈「…を~·たない」의 꼴로〉 그럴 필요가 없다. 〔참고〕 2.3.은 「俊つ」로도 씀. 【가능동사】 ま·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待つんだ。もうすぐ、魚が食べられるぞー」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待つ
가루. 분말. 〔동의어〕粉; 어떤 기간의 끝. 말; 『식물·식물학』 소나무; 『러시아어』 「松明」의 준말; 〈「門松」의 준말〉 또는 이것을 세워서 새해를 기뻐하는 기간; 기다리다; 〈「…に~」 「…を~」의 꼴로〉 기대하다; 〈「…を~·たない」의 꼴로〉 그럴 필요가 없다. 〔참고〕 2.3.은 「俊つ」로도 씀. 【가능동사】 ま·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しかし魚は、なかなか尻尾に食いつきません。
なかなか
꽤. 상당히. 매우. 〔동의어〕かなり·ずいぶん; 〈흔히, 否定語가 따르며〉 그렇게 간단하게는. 쉽사리. 좀처럼; 《고어》 상대의 말에 맞장구를 칠 때 하는 말. 그렇소. 맞았소. 그렇고말고. 〔참고〕 狂言 등에서 자주 씀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しかし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동의어〕だが·そうではあるが·けれども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そのうちサルは、
そのうち
《「~に」의 꼴로도 씀》 일간. 멀지 않아. 가까운 시일 안에. 불원간
ウトウトといねむりをしてしまいました。
サルがふと気がつくと尻尾がこおりついてしまい、少しも動かす事が出来ません。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動かす
움직이다; (위치를) 옮기다; 흔들다; (사물의) 상태를 바꾸다; 마음을 움직이다. 감동시키다; 행동하게 하다. 활동시키다; 작동시키다. 돌리다; 운용하다. 활용하다. 【가능동사】 うごか·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出来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こおりつく
얼어붙다. 꽁꽁 얼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しかしサルは、
しかし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동의어〕だが·そうではあるが·けれども
それを大きな魚が釣れたと勘違いをして、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勘違い
착각. 오해. 〔동의어〕考え違い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大喜びで尻尾を引っ張りました。
喜び
기뻐함. 기쁨. 〔반의어〕 悲しみ; 경사스러운 일. 경사. 〔동의어〕おめでた; 축하의 말. 축사
引っ張る
당겨서 팽팽한 상태가 되게 하다; 길게 끌다. 미루다. 연기하다; 끌다. 끌어당기다. 잡아 끌다; 억지로 끌고 가다. 데려가다. 연행하다; 권유하다. 끌어 오다. 끌어들이다; 착용하다. 입다. 몸에 걸치다; 인용하다. 예로 들다. 끌어대다. 【가능동사】 ひっぱ·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大
‘큰’ ‘넓은’ ‘많은’의 뜻; ‘정도가 심한’ ‘큰’의 뜻; ‘서열에서 상위’의 뜻; ‘대략’ ‘대체로’ ‘대충의’의 뜻; ‘극한의’ ‘제일의’의 뜻; 『문어』 찬미·존경의 뜻을 나타냄; 응답·승낙의 뜻을 나타냄. 암. 그래; 감탄·놀람을 나타냄. 야. 어. 아이고; 갑자기 생각났을 때 내는 소리. 아. 어. 〔참고〕 「おう」로도 씀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うーん、
重たいな。こいつは、
重たい
무겁다. 묵직하다. 〔동의어〕重い; 우울하다. 답답하다. 〔동의어〕うっとうしい; (동작 등이) 둔하다. 굼뜨다. おもた·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もた·げ 【형용동사】 おもた·さ 【명사】 【문어형】 おもた·し {ク 활용}
こいつ
《속어》; 이놈. 이 자식. 이 녀석; 이것. 요것. 〔참고〕 「こやつ」의 변한말. 증오·경멸감 또는 친밀감 등 어느 경우에나 두루 씀
よほど大きな魚に違いないぞ」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違い
서로. 쌍방. 상호; 다름. 틀림. 차이. ((예스러운 말)) 〔동의어〕ちがい·相違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サルは顔を真っ赤にして、力まかせに尻尾を引っ張りました。
真っ赤
새빨감; 진홍; 순전히 그러함. 영락없음. {문어·ナリ 활용 }
引っ張る
당겨서 팽팽한 상태가 되게 하다; 길게 끌다. 미루다. 연기하다; 끌다. 끌어당기다. 잡아 끌다; 억지로 끌고 가다. 데려가다. 연행하다; 권유하다. 끌어 오다. 끌어들이다; 착용하다. 입다. 몸에 걸치다; 인용하다. 예로 들다. 끌어대다. 【가능동사】 ひっぱ·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うーん、うーん、うーん」
そうして
そうして
그렇게 하여. 그런 식으로; 그리고. 그리고 나서. 그 다음에. 〔동의어〕そして·それから
ブチン!!
あまりにも尻尾を力一杯引っ張った為に、サルの尻尾は途中でちぎれてしまいました。
為
서로 다른 의견. 서로 다른 견해; 이상함. 보통과 다름. 야릇함. 색다름. 기이함. 〔참고〕 현재는 「異な」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문어·ナリ 활용 }; 생각. 마음. 뜻. 기분. 관심; 의사. 의지; 말이나 행위가 나타내고 있는 내용. 의미. 뜻; 위. 〔반의어〕 経; 위도(緯度);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 疑問 또는 質問의 終助詞 「か」, 禁止의 終助詞 「な」, 다짐하는 終助詞 「ぞ」, 詠嘆 또는 感動의 終助詞 「わ」, 命令形의 活用語尾 「ろ」 등에 붙어》 친밀감을 담아 표현을 부드럽게 하는 말. ((남성이 동료·손아랫사람에 대해 허물없는 대화에서 씀. 단, 「だ」 「か」 「た」에 붙는 꼴은 노년의 여성도 씀)); 크고 훌륭함. 뛰어남. 위대함. {문어·ナリ 활용 }; 위; 지위. 자리; 등급·순번·위계 등을 나타냄; 자릿수; 망인(亡人)의 혼령을 세는 높임말; 『문어』 우물. 〔참고〕 옛날에는 샘이나 여울에서 물을 푸는 곳을 말했음; 해; 십이지(十二支)의 열두 번째. 〔동의어〕いのしし; 해시(亥時). 오후 10시. 또는 9시부터 11시까지의 2시간 동안. 〔동의어〕いのとき; 《속어》 돼지; 『문어』 담. 담낭. 쓸개. 〔동의어〕きも; 《고어》 멧돼지. 〔동의어〕いのしし; 《고어》 잠. 잠을 잠; 『문어』 거미줄. 거미집; 『식물·식물학』 골풀. 등심초. 〔동의어〕いぐさ·とうしんそう; 이. 「伊太利」의 준말. 〔참고〕 보통,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문어』 이. 특히, 동쪽 오랑캐. 〔동의어〕えびす; 『문어』 의. 옷. 의복. 의류. 〔동의어〕衣服; 『문어』 의; 병을 고침. 또는 의술; 의사. 〔동의어〕医師; ‘의사’의 뜻; 《「委員」 「委員会」의 준말. 接尾語적으로 씀》 위; 『문어』; 쉬움. 간단함. 용이함. 〔반의어〕 難; 안이함. 소홀함; 『문어』 위. 위력. 위광. 〔동의어〕威力·威光; 쟁(箏)의 열두째 현(絃) 이름; 위;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 서쪽에 위치함
途中
도중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引っ張る
당겨서 팽팽한 상태가 되게 하다; 길게 끌다. 미루다. 연기하다; 끌다. 끌어당기다. 잡아 끌다; 억지로 끌고 가다. 데려가다. 연행하다; 권유하다. 끌어 오다. 끌어들이다; 착용하다. 입다. 몸에 걸치다; 인용하다. 예로 들다. 끌어대다. 【가능동사】 ひっぱ·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力一杯
힘껏
サルの顔が赤くて尻尾が短いのは、
赤い
『불교』 부처에 올리는 물을 긷는 우물; 붉다. 빨갛다; (사상이) 공산주의적이다. 빨갱이다. あか·さ 【명사】 【문어형】 あか·し {ク 활용}
短い
(길이가) 짧다; (시간이) 짧다; 생각이 얕다. 1.~3. 〔반의어〕 長い. みじか·げ 【형용동사】 みじか·さ 【명사】 【문어형】 みじか·し {ク 활용}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尻尾
《속어》 《「しりお」의 변한말》; 꼬리. 짐승의 꼬리; 물고기의 뒷지느러미; 가늘고 긴 것의 끝; 순위의 맨 끝; 숨긴 일이나 속인 것이 드러나는 단서(端緖)
こういうわけだそうです。
こういう
이러한. 이런
おしまい
流れ星「ひじ祭り」振り付け教則映像
札幌市が断念の2030年冬の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にフランスが正式に名乗り(2023年11月9日)
1万個に1つの激レア “左巻き”ツブ貝(2020年12月14日)
新型コロナのPCR検査 東京都が陽性率を初公表(20/05/09)
デパート売上高20%減 コロナと猛暑で苦境続く(20/08/21)
企業の採用 動画編集のスキル「重視」の傾向(2023年2月27日)
Rio to Tokyo アスリート・メッセージ③:川中香緖里選手
“王室御用達チョコ”とコラボ ミスドが発売(2021年1月8日)
東京で若い世代の感染者顕著 経路不明は約半数(20/07/11)
番号表示なしクレジットカード“安心感”で人気(2021年8月17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