ではちょっとお聞きしたいのは、 震災の影響で、 あの防波堤がえーと崩れてしまって、
Fukushima Restoration Project Interview - Part 3 of 3
263 viewではちょっとお聞きしたいのは、 震災の影響で、 あの防波堤がえーと崩れてしまって、
外洋が入ってきたり、 まあ先程のあの津波によるこうどらが、
泥が流れてしまったっていう影響で。
生態系にどんないい影響なのか、 これからどういうことが起きていくかっていうことを、
ちょっと予測としてお聞きしたいんですけど。
えーとまあまず、 外側の堤防が壊れたことでですね、 新しく多分砂が入ってきたのと、
流れが速くなって、 あのまあ津波で泥も飛びましたけど、 流れが多分速くなったことで、
後からこう入ってきた泥も飛んだんだと思うんです。
で砂の表面ってこう意外に綺麗で、 意外っていうかかなり綺麗でですね、
あの砂の上に浮泥、 あのふわふわした泥が積もってないとですね、
あの色んな生き物の幼生が着底して、 生き残りやすくなります。
ですから多分今年の春以降ですね、 あの冬幼生、 色んな種類、 砂地にこう入植して来る生物、
あのアサリとか他のヒトデとか、 色んな生き物を含めて多分急激に密度が高くなってくると思います。
でただし、 あの水深が深くなったことで、 泥が多分堆積しやすい環境になっているんで、
今から一年、 二年、 三年はもしかしたらアサリがたくさん増えて採れるとか、
いうことがあると思うんですけど。
その後はもしかしたら泥が以前より積もるようになって、
漁場の環境が悪くなる可能性もあります。
そういう意味で継続してこういう調査をしていくことが大事?
そうですね。 継続的に調査をして、
例えばあのたまたま津波の影響で環境がよくなってアサリが増えたのであれば、
人為的に同じような現象、 津波を起こさなくてもあの外洋の水をある時期だけ取り入れて、
泥が飛ぶようにするとかですね、
何かそういうことを考えればまあ豊かな漁場として維持できると、
まあそういう可能性がもしかしたら示されるんじゃないかと思います。
今回の...- はい。- 調査、 そういうことで将来的に...
はいそうですね。 はい、 そのためにもモニタリングを続けて、
どうすればあの種の多様性が保全できるとか、
もしくはあの修復できるっていうようなことがもしかしたらかなりはっきり分かるかもしれません。
ではちょっとお聞きしたいのは、 震災の影響で、 あの防波堤がえーと崩れてしまって、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崩れ
붕괴. 무너짐. 또는 그런 상태; 무너진 부분. 무너진 곳; 집회를 마치고 흩어지는 사람들; 영락한 사람. 영락; 《신분·직업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퇴물. 영락(零落)한 사람
聞き
작용. 기능; 효능. 효력. 효험. 〔동의어〕ききめ. 〔참고〕 1.은 「利き」, 2.는 「効き」로 씀; 들음; (술·차 등을 조금 마시거나 냄새를 맡아) 감정함; 위기. 〔동의어〕ピンチ; 기휘. 꺼리어 피함. 〔동의어〕きい; 『문어』 귀기. 돌아올 시기. 돌아갈 시기; 『문학』 「日本書紀」와 「古事記」의 통칭; 귀기. 소름끼치도록 무서운 기운; 기기. 기계·기구의 총칭; 『문어』; (변하여) 뛰어난 인물. 현인(賢人); 『문어』 기기. 몹시 기이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희희(喜喜).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모습.{문어·タリ 활용}; 『문어』 휘휘. 찬란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震災
『문어』 신채. 뛰어난 풍채; 神道의 의식에 따라 하는 제사; 『문어』 신처. 새로 맞이한 아내. 신부. 〔동의어〕にいづま; 신세. 새해. 신년; 진재; 1923년 9월 1일의 関東 대진재(大震災); 『문어』 천황이 친히 제사를 지냄; 『문어』 친재. 임금이나 귀인이 친히 재결(裁決)함
防波堤
방파제.
外洋が入ってきたり、 まあ先程のあの津波によるこうどらが、
先程
《副詞적으로도 씀. 「さっき」보다 공손한 말》 아까. 조금 전. 〔동의어〕先刻. 〔반의어〕 のちほど
津波
『지리·지학·지명』 해일. 해소
による
닮다. 비슷하다. 유사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外洋
『의학』 외용. (약을) 피부·점막 등에 바름. 〔반의어〕 内用.; 외양. 외해. 〔동의어〕外海. 〔반의어〕 内洋.; 《副詞적으로도 씀》 개요. 〔동의어〕大要.; 대강의 내용. 아우트라인.
泥が流れてしまったっていう影響で。
泥
응접실·객실의 옛이름. 사랑방. 〔동의어〕いでいのざ·いでい; 금니(金泥)와 은니(銀泥)
流れ
흐름. 물결; 흐르는 물. 강. 시내; 추이. 추세. 흐름; 혈통. 계통; (학문이나 예능 등의) 계통. 유파(流派); 어떤 모임이 끝난 후 흩어져 가는 사람들. 또는 그 발길; 방랑. 유랑. 특히 창녀의 떠돌이 신세; 지붕의 물매; (전당물의) 유질(流質). 유질물; 회합·계획 등이 깨짐. 유회. 중지. 취소; 먹다 남은 술. 윗사람에게서 받는 술; 기(旗) 등을 세는 말. 폭. 〔동의어〕旒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生態系にどんないい影響なのか、 これからどういうことが起きていくかっていうことを、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どんな
어떠한. 〔참고〕 위의 예문에서와 같이 連体形은 일반적으로 語幹 그대로의 「どんな」이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助詞 「の」가 뒤따를 때에는 「どんなな」로 되는 경우도 있어 일반 連体詞와 다름; 〈「~に」의 꼴로〉 그 상태·수량이 무한함을 강조함. 얼마나. 얼마만큼. 아무리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系
질량이나 정도가 가벼움을 뜻함. 〔반의어〕 重; 모양. 도형. 형태; 줄기; 《지명에 붙어》 경치 좋은 골짜기. 계곡; 『문어』 형. 〔동의어〕あに. 〔반의어〕 弟; 《対称의 人代名詞》 가까운 친구·선배에 대한 높임말. 형. ((흔히, 남자끼리 편지에서 씀)); 가까운 선배·친구의 성명에 붙여 경의를 표함. 형. ((남자끼리 편지에 씀)) 〔반의어〕 姉; 형. 형벌. 〔동의어〕しおき; 계; 『문어』 계통. 순서. 〔동의어〕すじみち; 『수학』 하나의 정리(定理)로부터 곧 추정·증명되는 명제(命題); 『지리·지학·지명』 지층에 따라 연대를 나누었을 때 그 구분의 하나. 지질 시대의 구분의 하나인 ‘기(紀)’에 대응함; 계. 계통; 경. 〔동의어〕きょう; 『문어』 수도. 도읍; 「東京」의 준말; 『수학』 조(兆)의 일만 배; 『문어』 길. 좁은 길. 〔동의어〕こみち·蹊; 원의 지름. 직경. 〔동의어〕さしわたし; 『문어』; (문서 등에 찍는) 계인(契印). 할인(割印). 〔동의어〕割り印; 계; 『문어』 계획. 계략; 합계. 총계; 계기(計器); (일본 장기에서) 「桂馬」의 준말; 「桂皮」의 준말; 편지 첫머리에 쓰는 높임말. 〔참고〕 「拝啓」보다 경의가 못함; 휴. 논밭의 넓이의 단위. 1휴는 50묘(畝); 경; 직물의 날. 날실. 세로. 〔반의어〕 緯; 「経度」의 준말. 〔반의어〕 緯; 경서(經書); 『문어』 경; 3품 이상의 귀족. 〔동의어〕卿; 대신(大臣). 조정의 고관; 『문어』 《対称의 人代名詞》; (남성이) 동배(同輩) 등을 가벼운 경의를 담아 부르는 말; 경치. 풍경; 모양. 상태; (연극에서) 경; 글씨를 가지런히 쓰기 위하여 종이에 친 줄. 괘선(罫線); 바둑판·장기판의 반면(盤面)에 그은 가로 세로의 줄; 『인쇄』 활자와 함께 짜는 윤곽이나 선. 괘선; 『문어』 경사스러운 일. 기쁨. 축하; 『음악』 경. 경쇠. 석경; 『문어』 좁은 길. 작은 길
どういう
어떠한. 어떤
生態
정면으로 마주 대함; 생체. 〔반의어〕 死体; 생태; 성체. 다 자라서 생식 능력을 갖춘 생물체; 『생리학』 성대; 『문어』; 청대. 눈썹 그리는 푸른 먹. 또는 그것으로 그린 고운 눈썹; 배우가 무대 화장에 쓰는 쪽빛의 안료(顔料); 『정치』 정체; 성체; 『천주교』 그리스도의 몸; 정태. 〔반의어〕 動態; 정체. ((지압(指壓)이나 마사지로 등뼈를 바르게 하거나 건강을 증진시키려는 민간 요법)); 『생리학』 제대. 탯줄. 〔동의어〕さいたい
ちょっと予測としてお聞きしたいんですけど。
予測
예측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聞き
작용. 기능; 효능. 효력. 효험. 〔동의어〕ききめ. 〔참고〕 1.은 「利き」, 2.는 「効き」로 씀; 들음; (술·차 등을 조금 마시거나 냄새를 맡아) 감정함; 위기. 〔동의어〕ピンチ; 기휘. 꺼리어 피함. 〔동의어〕きい; 『문어』 귀기. 돌아올 시기. 돌아갈 시기; 『문학』 「日本書紀」와 「古事記」의 통칭; 귀기. 소름끼치도록 무서운 기운; 기기. 기계·기구의 총칭; 『문어』; (변하여) 뛰어난 인물. 현인(賢人); 『문어』 기기. 몹시 기이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희희(喜喜).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모습.{문어·タリ 활용}; 『문어』 휘휘. 찬란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えーとまあまず、 外側の堤防が壊れたことでですね、 新しく多分砂が入ってきたのと、
砂
『러시아어』 모래. 〔동의어〕すな·まさご·すなご
多分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堤防
제방. 둑. 〔동의어〕つつみ
外側
외측. 바깥쪽. 〔동의어〕そとがわ. 〔반의어〕 内側; 개칙. 개략[대강]의 규칙. 〔반의어〕 細則; 개측. 대략의 측량·측정
流れが速くなって、 あのまあ津波で泥も飛びましたけど、 流れが多分速くなったことで、
泥
응접실·객실의 옛이름. 사랑방. 〔동의어〕いでいのざ·いでい; 금니(金泥)와 은니(銀泥)
流れ
흐름. 물결; 흐르는 물. 강. 시내; 추이. 추세. 흐름; 혈통. 계통; (학문이나 예능 등의) 계통. 유파(流派); 어떤 모임이 끝난 후 흩어져 가는 사람들. 또는 그 발길; 방랑. 유랑. 특히 창녀의 떠돌이 신세; 지붕의 물매; (전당물의) 유질(流質). 유질물; 회합·계획 등이 깨짐. 유회. 중지. 취소; 먹다 남은 술. 윗사람에게서 받는 술; 기(旗) 등을 세는 말. 폭. 〔동의어〕旒
多分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津波
『지리·지학·지명』 해일. 해소
後からこう入ってきた泥も飛んだんだと思うんで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泥
응접실·객실의 옛이름. 사랑방. 〔동의어〕いでいのざ·いでい; 금니(金泥)와 은니(銀泥)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で砂の表面ってこう意外に綺麗で、 意外っていうかかなり綺麗でですね、
砂
『러시아어』 모래. 〔동의어〕すな·まさご·すなご
表面
빙면. 얼음의 표면; 표면. 겉. 앞면. 〔반의어〕 裏面
意外
이외. 그 밖. 〔참고〕 「以内」는 반대어가 아님; 『패류』 홍합. 〔동의어〕せとがい; 의외. 뜻밖. 생각 밖. 〔동의어〕思いの外. い-が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유해. 유체. 〔동의어〕なきがら
かなり
꽤. 제법. 상당히. 어지간히. {문어·ナリ 활용 }; 가(可)하다. …해도 좋다
綺麗
고움. 예쁨. 아름다움; 깨끗함. 정갈함. 맑음; 흠이 없음; 완전함. 남김없음; 깔끔함. 시원스러움. {문어·ナリ 활용 }
あの砂の上に浮泥、 あのふわふわした泥が積もってないとですね、
砂
『러시아어』 모래. 〔동의어〕すな·まさご·すなご
泥
응접실·객실의 옛이름. 사랑방. 〔동의어〕いでいのざ·いでい; 금니(金泥)와 은니(銀泥)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ふわふわ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가볍게 떠돌거나 흔들리는 모양; 마음이 들뜬 모양; 부드럽고 가벼운 모양. 푹신푹신; 江戸 시대에, 끓는 물에 달걀을 풀어 저어 가면서 익힌 요리
あの色んな生き物の幼生が着底して、 生き残りやすくなります。
生き物
살아 있는 것. 생물. 특히 동물; (비유적으로) 생명체처럼 살아 움직이는 것
底
바닥. 밑바닥; 끝. 한계; (깊은) 속; 실력. 역량; 《中称의 指示代名詞》; 거기. 그곳; 그때. 그 장면; 그것. 그 점
着
기. (명사에 붙어) ‘기분’ ‘성미’ ‘기질’의 뜻을 나타냄; 옷; 『문어』 기생. 기녀. 유녀(遊女). 〔동의어〕あそびめ; 『문어』 솜씨. 기예. 〔동의어〕わざ; 거짓. 허위(虛僞). 〔동의어〕いつわり. 〔반의어〕 真; 『논리학』 어떤 명제(命題)가 잘못된 것. 〔참고〕 기호는 「f」로 표시함; 가짜인; 『문어』; 의로움. 옳은 일. 인도(人道); 의미. 의의; 조리. 이유; 혈연 이외의 사람과의 결연 관계; 남남끼리 맺는 혈족 같은 관계; 『문어』 의심. 확실하지 않음. 〔동의어〕うたがい; 의식. 예식; 일. 건(件). 까닭; 〈사람을 나타내는 体言에 붙어〉 …에 관해서는; 모양이 닮은 것. 모형. 기계; 연기(演技); 『문어』 정분. 정의(情誼). 〔동의어〕よしみ; 상의. 의논; 제안. 제의. 안(案)
色んな
《色々な의 변한말》 여러 가지. 갖가지. 별의별
幼生
요서. 어려서, 또는 젊어서 죽음. 요사. 요절(夭折). 〔동의어〕夭折.; 『동물·동물학』 유생. 후생동물(後生動物)의 발생(發生) 단계에 있어서의 한 시기. 〔참고〕 곤충의 경우에는 특히 「幼虫」라고 함.; 요성. 옛날, 불길한 조짐으로 생각되었던 별. ((혜성 등)); 요정. 〔동의어〕フェアリー.; 요청.; 『철학』 공준(公準).; 양성. 〔반의어〕 陰性.; 명랑하고 적극적인 성질.; 『물리』 원자(原子)가 전자(電子)를 방출하기 쉬운 성질.; 양성.
生き残り
살아남음. 살아남은 사람. 생존자.
ですから多分今年の春以降ですね、 あの冬幼生、 色んな種類、 砂地にこう入植して来る生物、
種類
주류; 종류
生物
생물. 〔동의어〕いきもの. 〔반의어〕 無生物; 정물
多分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ですから
《助動詞 「です」+助詞 「から」. 「だから」의 공손한 말》 그러므로. 그러니. 그래서
以降
이강. 이후. 〔동의어〕以後. 〔참고〕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씀; 의향. ((옷에 피워 배게 한 향내)); 의항. 옷걸이. 횃대. 〔동의어〕衣紋掛·衣架; 위광. 위세. 위력; ⇒ 異香; 이행. 옮아감; 『수학』 이항; 위공. 뛰어난 공로. 위훈. 〔동의어〕偉勲; 위효. 큰 효험; 의향. 뜻; 유공. 죽은 뒤에까지 남아 있는 공; 유구. 옛 건축의 잔존물; 유고. 죽은 사람이 남긴 원고; 《形容詞 「厳し」의 連用形 「いかく」의 音便》 몹시. 매우. 대단히. 심히. ((다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ひどく·ずいぶん; (편히) 쉬다. 휴식하다. 【가능동사】 いこ·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来る
《動詞 「来る」의 連体形에서》(날짜 등의 앞에 붙어) 오는. 다가오는. 〔반의어〕 去る; 『문어』; 오다. 〔동의어〕来る. 〔반의어〕 去る; 〈接尾語적으로〉 …하여 오다
今年
올해. 금년. 〔동의어〕こんねん·本年
春
생선·조개·채소·과일 등의 한창때로, 맛이 가장 좋은 시기; 무슨 일을 하기에 알맞은 시기; 『문어』 주름. 〔동의어〕しわ; 『미술』 (일본화 등에서) 산이나 바위의 주름. 또는 그것을 표현하는 화법; (고대 중국의) 순 임금; ⇒ しゅんと
冬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色んな
《色々な의 변한말》 여러 가지. 갖가지. 별의별
砂地
모래땅. 〔동의어〕すなち.
幼生
요서. 어려서, 또는 젊어서 죽음. 요사. 요절(夭折). 〔동의어〕夭折.; 『동물·동물학』 유생. 후생동물(後生動物)의 발생(發生) 단계에 있어서의 한 시기. 〔참고〕 곤충의 경우에는 특히 「幼虫」라고 함.; 요성. 옛날, 불길한 조짐으로 생각되었던 별. ((혜성 등)); 요정. 〔동의어〕フェアリー.; 요청.; 『철학』 공준(公準).; 양성. 〔반의어〕 陰性.; 명랑하고 적극적인 성질.; 『물리』 원자(原子)가 전자(電子)를 방출하기 쉬운 성질.; 양성.
入植
입식. 개간하기 위해 식민지나 개간지에 이주함.; 직장에 들어가 일을 함. 〔반의어〕離職.
あのアサリとか他のヒトデとか、 色んな生き物を含めて多分急激に密度が高くなってくると思います。
他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生き物
살아 있는 것. 생물. 특히 동물; (비유적으로) 생명체처럼 살아 움직이는 것
急激
(일본 영화에서 현대극에 대해) 시대극(時代劇)을 이르는 말; 급격. {문어·ナリ 활용 }
多分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密度
밀도
色んな
《色々な의 변한말》 여러 가지. 갖가지. 별의별
でただし、 あの水深が深くなったことで、 泥が多分堆積しやすい環境になっているんで、
泥
응접실·객실의 옛이름. 사랑방. 〔동의어〕いでいのざ·いでい; 금니(金泥)와 은니(銀泥)
環境
건강. 한방(漢方)에서 쓰는 말린 생강; 『문어』 환규. 큰 소리로 외침. 규환(叫喚); 『문어』 한공. 늦가을의 귀뚜라미; 감흥; 환경; 함교. 브리지. 〔동의어〕ブリッジ
多分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水深
수심. 수면의 중심.; 수심.; 『수학』 수심.; 추진.
堆積
큰 돌. 〔동의어〕おおいし.; (바둑에서) 대마(大馬).; 『수학』 체적. 부피.; ⇒ 対蹠.; 대석.; 쌍방이 동시에 같은 장소에 출석함.; 퇴석. 자리를 뜸.; 퇴석.; 『지리·지학·지명』 빙하에 의해 운반되어 쌓인 암석·토사(土砂). 〔동의어〕氷堆石·モレーン.; 퇴적.; 토사(土沙)가 바람·물·빙하 등에 운반되어 한곳에 쌓임.; 적체. (화물이나 일 등이) 밀려 쌓임.
今から一年、 二年、 三年はもしかしたらアサリがたくさん増えて採れるとか、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三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いうことがあると思うんですけど。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の後はもしかしたら泥が以前より積もるようになって、
泥
응접실·객실의 옛이름. 사랑방. 〔동의어〕いでいのざ·いでい; 금니(金泥)와 은니(銀泥)
以前
이전; (기준이 되는 시점을 포함해서) 그 전. 〔반의어〕 以後; 옛날. 전날. 과거. 왕년; 어떤 정도·범위에 이르지 않은 단계·상태; 《副詞적으로도 씀》 의연. 여전. 전과 다름이 없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함. 즐거워[기뻐]하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積もる
(높이) 쌓이다. 모이다; (감정 등 형태가 없는 것이) 쌓이다. 밀리다. 늘다; 세월이 지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림잡다. 셈치다. 예상하다. 짐작하다. 〔동의어〕見積もる; 추측하다. 헤아리다. 〔동의어〕おしはか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漁場の環境が悪くなる可能性もあります。
可能
『의학』 화농. 곪음; 『언어학』 가능태(可能態). ((「理解する」에 대하여 「理解できる」 따위)); 과납. (세금 등을) 필요 이상으로 납부함; 『문어』 가납; 선물 등을 윗사람이 기꺼이 받아들임
環境
건강. 한방(漢方)에서 쓰는 말린 생강; 『문어』 환규. 큰 소리로 외침. 규환(叫喚); 『문어』 한공. 늦가을의 귀뚜라미; 감흥; 환경; 함교. 브리지. 〔동의어〕ブリッジ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漁場
어장. 〔동의어〕ぎょば·りょうば
そういう意味で継続してこういう調査をしていくことが大事?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調査
조사. 〔동의어〕取り調べ
継続
계속; 매여 있음. 관계가 있음; 『법률』 어떤 사건이 소송 중에 있음. 계류; 계속
意味
부정(不淨)이나 불길한 방향 등을 꺼림; 재계(齋戒); 거상(居喪). 복상(服喪); 의미; 말뜻; (표현이나 행동의) 의도. 까닭; 가치. 의의. 보람; 취지·목적·내용
こういう
이러한. 이런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そうですね。 継続的に調査をして、
調査
조사. 〔동의어〕取り調べ
継続
계속; 매여 있음. 관계가 있음; 『법률』 어떤 사건이 소송 중에 있음. 계류; 계속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例えばあのたまたま津波の影響で環境がよくなってアサリが増えたのであれば、
例えば
가령. 비록. 설령. 〔동의어〕たとえ·よしんば·かりに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環境
건강. 한방(漢方)에서 쓰는 말린 생강; 『문어』 환규. 큰 소리로 외침. 규환(叫喚); 『문어』 한공. 늦가을의 귀뚜라미; 감흥; 환경; 함교. 브리지. 〔동의어〕ブリッジ
津波
『지리·지학·지명』 해일. 해소
人為的に同じような現象、 津波を起こさなくてもあの外洋の水をある時期だけ取り入れて、
現象
원소. 원석(元夕). 음력 정월 보름날 밤. 〔동의어〕元夜; 언소. 담소(談笑); 감소. 〔반의어〕 増加·増大; 『불교』 현생. 현세(現世); 현상
時期
직접. 〔동의어〕じか·直接; (시간·거리가) 가까움을 나타내는 말. 곧. 바로. 〔동의어〕すぐ; ‘직접의’의 뜻. 직; 차기. 다음 기간. 〔반의어〕 今期; 자기; 스스로 기록함; 기계가 자동으로 기록함; 자기. 스스로 몸을 버리고 돌아보지 않음; 철. 시절. 〔동의어〕シーズン; 시기; 시기. 기회. 〔동의어〕潮時; 『물리』 자기; 자기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津波
『지리·지학·지명』 해일. 해소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取り入れ
들여옴. 거두어들임. 받아들임. 도입; (농작물의) 수확. 〔참고〕 2.는 「穫り入れ」로도 씀
人為
인위. 인간으로서의 지위. 또는 신하로서의 위계(位階); 인위. 사람의 힘으로 무엇인가를 함. 인공(人工); 『문어』 인의. 사람의 마음·뜻
外洋
『의학』 외용. (약을) 피부·점막 등에 바름. 〔반의어〕 内用.; 외양. 외해. 〔동의어〕外海. 〔반의어〕 内洋.; 《副詞적으로도 씀》 개요. 〔동의어〕大要.; 대강의 내용. 아우트라인.
泥が飛ぶようにするとかですね、
泥
응접실·객실의 옛이름. 사랑방. 〔동의어〕いでいのざ·いでい; 금니(金泥)와 은니(銀泥)
飛ぶ
날다; 비행기로 가다. 날아가다; 급히 가다. 달려가다; 튀어오르다. 흩어지다; 끊어지다. 떨어지다. 잘리다; 퍼지다. 전해지다; 날아오다; 뛰다. 뛰어넘다. 〔동의어〕はねる; 멀리 달아나다. 튀다; 빠뜨리다. 건너뛰다; 없어지다. 날아가다. 〔참고〕 8.은 「跳ぶ」로도 씀. 【가능동사】 と·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何かそういうことを考えればまあ豊かな漁場として維持できると、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維持
위차. 자리의 차례. 석차(席次); 의사. 의학·의료에 관한 일; 이상한[별난] 일; 이시. 다른 때. 다른 날; 다른 문자[글자]; 자기의 주장·행동을 관철시키려는 마음. 고집. 오기; 욕심. 물욕. 식욕; 성미. 마음보. 근성. 심술; 표의 문자. 〔반의어〕 音字; 유지; 유아; 기아(棄兒); 유사; 예로부터 전해 오는 일; 누락된 일
豊か
풍족함. 유복함. 부유함; 풍부함. 풍성함; (마음에) 여유가 있음; 넉넉함. 충분함. ゆたか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漁場
어장. 〔동의어〕ぎょば·りょうば
まあそういう可能性がもしかしたら示されるんじゃないかと思います。
可能
『의학』 화농. 곪음; 『언어학』 가능태(可能態). ((「理解する」에 대하여 「理解できる」 따위)); 과납. (세금 등을) 필요 이상으로 납부함; 『문어』 가납; 선물 등을 윗사람이 기꺼이 받아들임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今回の...- はい。- 調査、 そういうことで将来的に...
将来
⇒ せいらい; 초래; (사람을) 불러옴. 초빙; 가져옴. 야기함; 『문어』 송뢰. 솔바람. 또는 그 소리. 송풍(松風). 송운(松韻); 〈副詞적으로도 씀〉 장래. 미래. 전도; 가져옴. 야기함. 초래함. 〔동의어〕招来; 『불교』 불상·불경 등을 청하여 외국에서 가져옴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調査
조사. 〔동의어〕取り調べ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はいそうですね。 はい、 そのためにもモニタリングを続けて、
どうすればあの種の多様性が保全できるとか、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種
『식물·식물학』 풀. 잡초; 꼴. 꼴풀; (지붕을 이는) 풀. 짚; 초록빛; 본격적이 아닌. 정식이 아닌; 《고어》 물건의 종류를 세는 말. 종; 피부병의 총칭. ((짓무름·습진 등. 특히 태독(胎毒)·매독(梅毒))) 〔동의어〕かさ
多様
『문어』 타용; 다른 볼일; 다른 용도; 용무가 많음. 다망(多忙); 다양. 여러 가지. 〔동의어〕さまざま. 〔반의어〕 一様. {문어·ナリ 활용 }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保全
『문어』 보전
もしくはあの修復できるっていうようなことがもしかしたらかなりはっきり分かるかもしれません。
はっき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다른 것과 구별하여) 뚜렷이. 분명히. 똑똑히; (애매한 점이 없이) 확실히. 틀림없이; (기분이) 개운한 모양. 맑고 상쾌한 모양; (태도가) 거리낌없고 솔직한 모양
かなり
꽤. 제법. 상당히. 어지간히. {문어·ナリ 활용 }; 가(可)하다. …해도 좋다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分かる
알다; 이해할 수 있다; 판명되다. 밝혀지다; 「分かれる」의 문어
修復
수복. 복원(復元).
9月の百貨店売り上げ 前年比で3割~4割の減少(2020年10月1日)
さよなら、愛していた
モーニングコール from キズナアイ
一房2万円も・・・シャインマスカット収穫始まる 山梨(2021年5月8日)
NTT リモート勤務基本に 転勤・単身赴任を廃止へ(2021年9月28日)
卒業の唄〜アリガトウは何度も言わせて
Freediving With Japan’s Pearl Divers
東京で新たに22人感染 5日連続で40人下回る(20/05/11)
“再エネ”の割合スマホで確認 日立が実証実験(2021年2月2日)
パラ関係者 選手2人含む30人が新規感染・・・過去最多(2021年8月22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