気象庁は近畿、東海、関東甲信が梅雨入りしたとみられると発表しました。
[Fast news] Announcement of rainy season in Kinki, Tokai and Kanto-Koshin regions All 2 weeks later than usual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06/21)
594 view気象庁は近畿、東海、関東甲信が梅雨入りしたとみられると発表しました。
いずれも平年より2週間以上遅い梅雨入りです。
梅雨前線が本州付近に停滞し、西日本や東日本の太平洋側を中心に朝から雨が降っています。
気象庁は、この先も曇りや雨の日が続くことから近畿、東海、関東甲信が梅雨入りしたとみられると発表しました。
近畿と東海は平年より15日、関東甲信は14日遅い梅雨入りです。
特に、関東甲信の梅雨入りが6月後半に発表されるのは2007年以来、17年ぶりの遅さです。
日曜日にかけて梅雨前線の活動が活発な状態が続き、まだ梅雨入りの発表がない中国や北陸でも警報級の大雨となる恐れがあります。
気象庁は近畿、東海、関東甲信が梅雨入りしたとみられると発表しました。
発表
발표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気象庁
기상청. 「国土交通省」의 외국(外局)으로, 기상 업무의 최고 기관
東海
「東海地方」의 준말; 도괴; 『문어』 도회; 자기의 본마음이나 재능·지위·신분 등을 숨김; 행방을 감춤
近畿
「近畿地方」의 준말.; 『문어』 흔희. 매우 기뻐함.; 금기.; 금속제의 기물.; 금기.; 병세를 악화시키거나 치료 목적에 어긋나는 약품이나 음식.; 『문어』 빨간 비단에 해와 달을 그린 천황의 기. 〔동의어〕錦の御旗. 〔참고〕 옛날에 관군(官軍)의 표지로 썼음.
梅雨入り
장마철로 접어듦. 〔동의어〕入梅. 〔반의어〕 梅雨明け.
いずれも平年より2週間以上遅い梅雨入りです。
以上
이상; (수량·정도·우열 등의 비교에서) 그보다 위의 범위에 있음. 수량에서는 그 기준도 포함됨. 〔반의어〕 以下; 이제까지 말한 것; 문서의 마지막에 적어 ‘끝’의 뜻을 나타냄; 「御目見以上」의 준말; 전부. 도합. 합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接続助詞처럼 쓰임〉 …한[된] 바에는. …한[된] 이상; 위요. 둘러쌈. 〔동의어〕いにょう; 위양. 권한 등을 다른 사람 또는 기관에 넘겨줌; 이상. 〔동의어〕別状; 이상. 정상이 아님. 〔반의어〕 正常. {문어·ナリ 활용 }; 이승. 갈아탐. 옮겨 탐; 이양. 남에게 넘겨줌
いずれ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둘 이상의 사물 중의) 어느 것[곳·쪽]. 〔동의어〕どれ·どちら·どっち; 어쨌든. 어차피. 아무래도. 결국은. 〔동의어〕どのみち·どちらにせよ; 머지않아. 근간. 일간. 〔동의어〕近々
週間
『법률』 수감; 종간. 〔반의어〕 創刊·発刊; 종권. (전집 등의) 마지막 권. 책의 마지막 부분. 〔반의어〕 首巻; 습관. 풍습; 주간; 주간
遅い
(동작이) 느리다. 더디다. 〔반의어〕 速い; 때를 놓치어 이미 늦다; 철이 늦다; 밤이 늦다; (시기·시간이) 늦어지다. 늦다. 2.~5. 〔반의어〕 早い. 〔참고〕 3.4.는 「晩い」로도 씀. 【문어형】 おそ·し {ク 활용}
平年
평년; 윤일이 없는 해. 〔반의어〕 閏年; 농사가 보통인 해
梅雨入り
장마철로 접어듦. 〔동의어〕入梅. 〔반의어〕 梅雨明け.
梅雨前線が本州付近に停滞し、西日本や東日本の太平洋側を中心に朝から雨が降っています。
梅雨
매우. 장마. 매림(梅霖). 〔동의어〕ばいう; 장마철. 〔동의어〕つゆどき; 국물; 〈「お~」의 꼴로〉 맑은장국. 〔동의어〕吸い物; 이슬; 조금. 추호; 덧없는 것; 눈물; 《「~も」의 꼴로도 씀. 뒤에 반드시 否定語가 따름》 조금도. 전혀. 꿈에도. 〔참고〕 보통 かな로 씀
側
곁. 옆. 〔동의어〕そば·わき; 〈接続助詞적으로도 씀〉 …하는 한편. …함과 동시에. 그와 아울러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付近
부근. 근처; 행주; ⇒ ふっきん; 부금; 연부·월부의 상환금
停滞
정체. 〔동의어〕渋滞; 혹심하다. 호되다. 뼈아프다. 〔동의어〕てひどい·てきびしい. て-いた·さ 【명사】 【문어형】 ていた·し {ク 활용}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前線
전선; (교통 기관 등의) 노선 전부; 모든 전선(戰線). 전선의 전체; 그 배 전체; 전선; (전장의) 제일선; 『기상』 성질이 다른 두 기단(氣團)의 경계면과 지표면이 접촉하는 선; 선전
東日本
동일본. 일본의 중부 지방 동쪽의 関東·東北·北海道의 각 지방을 가리킴. 〔반의어〕 西日本
太平洋
『지리·지학·지명』 태평양
本州
『지리·지학·지명』 혼슈. 일본 열도의 주가 되는 가장 큰 섬.; 본집.; 이 편집(물).
気象庁は、この先も曇りや雨の日が続くことから近畿、東海、関東甲信が梅雨入りしたとみられると発表しました。
続く
이어지다. 계속되다; (같은 일이) 잇따르다. 끊이지 않다; 뒤따르다; 버금가다. 다음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発表
발표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曇り
흐림. 〔반의어〕 晴れ; 개운하지 않음. 거리낌; (투명한 것이나 반사하는 것이) 흐린 상태
先
끝; 앞. 선두; 그곳으로부터 떨어진 곳. 전방; 행선지. 목적지; (장사나 교섭의) 상대편; 앞날. 장래. 전도; 먼저; 이전. 과거. 〔반의어〕 あと·のち; 이어지는 부분. 남은 부분; 『문어』 복. 행복. 〔동의어〕さち; 꽃이 핌. 개화(開花); 산부리. 〔동의어〕ではな; 좌기. (세로쓰기 문장에서) 다음에 적음
気象庁
기상청. 「国土交通省」의 외국(外局)으로, 기상 업무의 최고 기관
東海
「東海地方」의 준말; 도괴; 『문어』 도회; 자기의 본마음이나 재능·지위·신분 등을 숨김; 행방을 감춤
近畿
「近畿地方」의 준말.; 『문어』 흔희. 매우 기뻐함.; 금기.; 금속제의 기물.; 금기.; 병세를 악화시키거나 치료 목적에 어긋나는 약품이나 음식.; 『문어』 빨간 비단에 해와 달을 그린 천황의 기. 〔동의어〕錦の御旗. 〔참고〕 옛날에 관군(官軍)의 표지로 썼음.
梅雨入り
장마철로 접어듦. 〔동의어〕入梅. 〔반의어〕 梅雨明け.
近畿と東海は平年より15日、関東甲信は14日遅い梅雨入りです。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遅い
(동작이) 느리다. 더디다. 〔반의어〕 速い; 때를 놓치어 이미 늦다; 철이 늦다; 밤이 늦다; (시기·시간이) 늦어지다. 늦다. 2.~5. 〔반의어〕 早い. 〔참고〕 3.4.는 「晩い」로도 씀. 【문어형】 おそ·し {ク 활용}
東海
「東海地方」의 준말; 도괴; 『문어』 도회; 자기의 본마음이나 재능·지위·신분 등을 숨김; 행방을 감춤
平年
평년; 윤일이 없는 해. 〔반의어〕 閏年; 농사가 보통인 해
近畿
「近畿地方」의 준말.; 『문어』 흔희. 매우 기뻐함.; 금기.; 금속제의 기물.; 금기.; 병세를 악화시키거나 치료 목적에 어긋나는 약품이나 음식.; 『문어』 빨간 비단에 해와 달을 그린 천황의 기. 〔동의어〕錦の御旗. 〔참고〕 옛날에 관군(官軍)의 표지로 썼음.
梅雨入り
장마철로 접어듦. 〔동의어〕入梅. 〔반의어〕 梅雨明け.
特に、関東甲信の梅雨入りが6月後半に発表されるのは2007年以来、17年ぶりの遅さです。
特に
특히. 특별히. 〔동의어〕とりわけ·殊に; 『문어』 벌써. 이미. 오래 전에. 〔동의어〕とうに·とっくに
発表
발표
以来
의뢰함. 부탁함. 의지함; 이래. 이후; 금후. 지금부터 뒤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後半
『법률』 공판. ((법원이 공개된 법정에서 형사 사건의 재판을 하는 일)); 공판. 등사판·스크린 인쇄 등; ⇒ かんぱん; 『문어』 강변(江邊). 강가; 후반. 〔반의어〕 前半; 홍반; 피부 혈관의 충혈로 나타나는 빨간 반점; 교반. 휘저음. 휘저어 섞음. 〔참고〕 「かくはん」은 관용음(慣用音); 광범함. {문어·ナリ 활용 }
梅雨入り
장마철로 접어듦. 〔동의어〕入梅. 〔반의어〕 梅雨明け.
日曜日にかけて梅雨前線の活動が活発な状態が続き、まだ梅雨入りの発表がない中国や北陸でも警報級の大雨となる恐れがあります。
梅雨
매우. 장마. 매림(梅霖). 〔동의어〕ばいう; 장마철. 〔동의어〕つゆどき; 국물; 〈「お~」의 꼴로〉 맑은장국. 〔동의어〕吸い物; 이슬; 조금. 추호; 덧없는 것; 눈물; 《「~も」의 꼴로도 씀. 뒤에 반드시 否定語가 따름》 조금도. 전혀. 꿈에도. 〔참고〕 보통 かな로 씀
発表
발표
活動
활동; 활동함; 〈「活動写真」의 준말〉 활동 사진. 영화. ((예스러운 말))
級
일급·월급 등의 ‘급료(給料)’의 뜻을 나타냄; 9.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く; 구; 옛 것. 옛날부터 있어 온 것; 원래의 상태; 〈「旧暦」의 준말〉 음력; 구. 묵은. 옛 것의. 음력; 『의학』 뜸. 뜸질; 서두름. 서둘러야 함; 위급한 상태. 갑작스러운 변고; 雅楽·能楽에서, 序破急의 마지막 부분. ((급템포로 연주함)); 빠름. 급함. 바쁨; 갑작스러움. 돌연함. 느닷없음; 경사가 급함. 가파름. {문어·ナリ 활용 }; 『음악』 궁. 오음(五音)의 하나. 오음 음계의 주음(主音). ((서양 음악의 g음에 해당)); 「宮刑」의 준말; 궁전; 천구(天球)의 한 구분; 『문어』 관. 널. 〔동의어〕ひつぎ; 『문어』 (옛날에 책 등을 넣어서 등에 지던) 상자. 〔동의어〕笈; 급; 등급. 계급; 학년; (같은 학년에서 나눈) 반. 〔동의어〕組; 〈接尾語적으로〉 그 정도임을 나타냄; 구; 공. 〔동의어〕たま; 『수학』 구체(球體); 『문어』 궁. 막힘. 궁함; 《흔히 「~と」의 꼴로 씀》; 세게 문지르거나 비틀거나 할 때 나는 소리; 세게 밀어붙이거나 죄거나 하는 모양. 또는 그런 느낌이 되는 모양; 찬 술 등을 단숨에 마시는 모양. 쭉
状態
상체. 상반신; 『생리학』 상퇴. 넓적다리. 〔반의어〕 下腿; 상태; 『언어학』; 보통 상태에 있는 몸; 『문어』 상태. 정상적 상태. 보통 상태
続き
연결; 계속; 〈名詞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씀〉 죽 연속됨. 잇닿음
恐れ
외경. 경외. 〔동의어〕畏敬; 두려움. 무서움. 공포(심); 《흔히, 「…の~」의 꼴로》 (무엇인가 일어날 것 같은) 염려. 우려
活発
활발. かっ-ぱ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日曜日
일요일. 〔동의어〕日曜
中国
나라의 중앙 부분. 천자(天子)의 도성이 있는 지방; 세계의 중앙에 위치하는 나라. ((자기 나라를 자랑하여 일컫는 말)); 山陰道와 山陽道의 총칭; 『역사』 律令 제도에서, 도성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지방과 먼 지방 사이에 위치한 지방. 〔반의어〕 近国·遠国; 「中国地方」의 준말; 중국
警報
『법률』 형법; 경보
前線
전선; (교통 기관 등의) 노선 전부; 모든 전선(戰線). 전선의 전체; 그 배 전체; 전선; (전장의) 제일선; 『기상』 성질이 다른 두 기단(氣團)의 경계면과 지표면이 접촉하는 선; 선전
大雨
큰비. 호우. 폭우.〔반의어〕小雨
北陸
〈「北陸地方」의 준말〉 현재의 중부 지방에 있는 福井·石川·富山·新潟 등 4현의 총칭. 〔참고〕 좁은 뜻으로는 新潟현을 제외
梅雨入り
장마철로 접어듦. 〔동의어〕入梅. 〔반의어〕 梅雨明け.
最大200キロ超 ゾウガメの引っ越し(2023年6月14日)
サンマの「適切な漁獲枠」が焦点 海洋資源の国際会議始まる(2024年4月15日)
高校球児もお肌のケア 炎天下の紫外線対策を学ぶ(2023年6月25日)
夏の終わり
塩を運ぶロバ
【公式】「匠の蔵 ―創る人、開く人、発する人― 」中村信喬(2) | TNCテレビ西日本
夜明け
Candy Pop
Candy Pop北朝鮮「強力な軍事力を前進配備」 昨夜は弾道ミサイル発射失敗(2023年11月23日)
マイクロソフトがリチウムに変わる新しいバッテリー素材発見 安全性の向上につながる(2024年1月12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