もはや「じゃれあい」を超えた「深く激しい愛情」にも見えます。
Two super friendly dogs... Overly playful "Deep and Intense Love" (2022/11/24)
147 viewもはや「じゃれあい」を超えた「深く激しい愛情」にも見えます。
子犬を枕のようにしてくっついているのは、シベリアンハスキーのアポロ。
一方、枕にされている生後3カ月のコスモは、なんだかきょとんとした表情です。
アポロがコスモに見せる「深い愛情」はこれだけでは終わりません。
ある時は耳をペロペロ。
別の日には鼻先をなめ回し…。
コスモが休んでいる時でも、「遊ぼう」とせがむかのように“うざ絡み”しちゃうんです。
飼い主さんによりますと、年上のアポロにとって、生まれたてのコスモはとにかく気になる存在です。
コスモの様子については「初めはアポロが怖い存在だったようだし、うっとうしく思うこともあるかもしれませんが、なんだかんだ慕っているんです」とのこと。
さらに、「離れ離れになると不安になる傾向もあるんです」と、決してアポロだけの片思いではないと打ち明けてくれました。
もはや「じゃれあい」を超えた「深く激しい愛情」にも見えます。
激しい
심하다. 격심하다; 세차다. 격렬하다. 과격하다. 격하다. はげし·さ 【명사】 【문어형】 はげ·し {シク 활용}
愛情
애정. 슬픈 마음; 어떤 술자리에 나가 있는 기생을 다른 손이 다른 자리로 부르려고 할 때 보내는 쪽지; 애정. 사랑; 귀염둥이 딸. ((남의 딸에 대하여 이르는 말)) 〔동의어〕愛娘. 〔반의어〕 愛息
見え
외관. 외양. 볼품; 겉치레. 허영. 허세. 허식. 〔참고〕 2.는 흔히 「見栄」로 씀; (歌舞伎에서) 배우가 절정에 이른 감정을 관객에게 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순간 동작을 멈추고 유다른 표정이나 자세를 취하는 일. 〔참고〕 3.은 흔히 「見得」로 씀
子犬を枕のようにしてくっついているのは、シベリアンハスキーのアポロ。
枕
『동물·동물학』 일본 개의 일종. ((몸집이 작으며 털이 긴 애완용 개)) 〔동의어〕ちんころ; 정자. 〔동의어〕あずまや; 진기함. 진기한 것; 진귀함. 진귀한 것. {문어·ナリ 활용 }; 희귀함; 『역사』 진. 춘추 시대, 또는 남북조 시대에 있었던 중국 왕조의 이름; 짐독(鴆毒); 진; 『문어』 누름. 지킴; 눌러 놓는 것; 『역사』 고대에, 큰 절을 통할하던 승직(僧職); 『정치』 중국의 현(縣)에 속하는 소도시; 짐. 천자·제왕의 자칭(自稱); 《「~と」의 꼴로도 씀》; 코를 푸는 소리의 형용. 힝; 작은 종이나 방울이 울리는 소리의 형용. 딸랑. 땡; 임금. 품삯. 삯
子犬
강아지. 1.2.〔동의어〕いぬころ
アポロ
⇒ アポロン
シベリアンハスキー
시베리안 허스키
一方、枕にされている生後3カ月のコスモは、なんだかきょとんとした表情です。
表情
아악의 여섯 가지 선법(旋法)의 하나. 1.의 음을 주음으로 하는 가락; 빙상; 『문어』; 「随身」 「内舎人」의 딴이름. 호위병. 〔동의어〕へいじょう; 표정; 정서·감정이 겉으로 나타남; 사회의 어떤 면의 외부적 상태·동향; 평정. 평결. 〔참고〕 「評定」로 읽으면 딴말임
一方
일방. 한 방향[방면]. 어떤 방면; 한쪽. 〔동의어〕片方; 사물의 한 면[쪽]. 또는 어떤 상태의 반면; 〈副助詞적으로 쓰이어〉 주로 한 방향으로만 치우쳐 있음. 오로지 …뿐임. …만 함; 〈接続助詞적으로 쓰이어〉 …하는 한편; 한편. 다른 한편에서는; 한 방법. 한 수단; 한 번 알림. 간단히 알림. 또는 그 기별
枕
『동물·동물학』 일본 개의 일종. ((몸집이 작으며 털이 긴 애완용 개)) 〔동의어〕ちんころ; 정자. 〔동의어〕あずまや; 진기함. 진기한 것; 진귀함. 진귀한 것. {문어·ナリ 활용 }; 희귀함; 『역사』 진. 춘추 시대, 또는 남북조 시대에 있었던 중국 왕조의 이름; 짐독(鴆毒); 진; 『문어』 누름. 지킴; 눌러 놓는 것; 『역사』 고대에, 큰 절을 통할하던 승직(僧職); 『정치』 중국의 현(縣)에 속하는 소도시; 짐. 천자·제왕의 자칭(自稱); 《「~と」의 꼴로도 씀》; 코를 푸는 소리의 형용. 힝; 작은 종이나 방울이 울리는 소리의 형용. 딸랑. 땡; 임금. 품삯. 삯
生後
『어류』 농어의 유어(幼魚). ((몸길이 25cm 정도의 새끼를 이름)); 정오; 생후; 성어; 「伊勢物語」의 준말
アポロがコスモに見せる「深い愛情」はこれだけでは終わりません。
終わり
끝. 마지막. 종말. 〔동의어〕しまい·最後. 〔반의어〕 初め·はじまり; 일생의 최후. 임종;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 지금의 愛知현의 서북부 名古屋를 중심으로 하는 지방
深い
불쾌함. ふ-かさ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병. 병환(病患); 『문어』 부회. 억지로 끌어다 댐. 무리하게 관련지음; 부회; 「府議会」의 준말. 〔참고〕 1.은 지방 자치법이 제정되기 전의 옛일컬음; 깊다. 얕지 아니하다; (감정·생각 등이) 깊다. 듬쑥하다; (정도가) 크다. 깊다; 관계가 밀접하다. 깊다; (색깔·농도가) 짙다; 밀생(密生)해 있다; (때·계절이) 깊다. 한창이다; 뚜렷하다; 〈「ぶかい」의 꼴로 体言에 붙어〉 복합어를 이룸. 1.~9.〔반의어〕 あさい. ふか·げ 【형용동사】 ふか·さ 【명사】 ふか·み 【명사】 【문어형】 ふか·し {ク 활용}
愛情
애정. 슬픈 마음; 어떤 술자리에 나가 있는 기생을 다른 손이 다른 자리로 부르려고 할 때 보내는 쪽지; 애정. 사랑; 귀염둥이 딸. ((남의 딸에 대하여 이르는 말)) 〔동의어〕愛娘. 〔반의어〕 愛息
見せる
보이다. 보도록 하다. 내보이다; 알게 하다; (겉으로) 나타내다. 드러내다; 그와 같이 보이게 하다; 겪게 하다; 진찰하게 하다.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して~」의 꼴로》; (남에게 보이도록) …해 보이다. 시늉을 하다; 강한 의지를 나타냄. …해 보이겠다. …하고야 말겠다. 〔참고〕 < 2> 는 보통 かな로 씀.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アポロ
⇒ アポロン
ある時は耳をペロペロ。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耳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別の日には鼻先をなめ回し…。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別
구별. 차별; 『문어』 이별; 같지 않음. 다름. {문어·ナリ 활용 }; 제외. 문제 밖; 별. 구별; 별. 서법(書法)의 한 가지. 왼쪽 삐침. ((「人」자의 첫째 획 등)); 『동물·동물학』 별. 자라. 〔동의어〕すっぽん
鼻先
코끝; 코앞. 눈앞
回し
돌림. ((흔히, 다른 말에 붙여서 쓰는 수가 많음)); ⇒ 化粧回し; 샅을 가리는 ふんどし. 특히, 샅바 구실을 하는 씨름꾼의 ふんどし. 〔동의어〕しめこみ; 창녀가 하룻밤에 여러 손님을 받음; 「回しがっぱ」의 준말; 「二重回し」의 준말; 「回し方」의 준말;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으로 돌림[옮김]
コスモが休んでいる時でも、「遊ぼう」とせがむかのように“うざ絡み”しちゃうんです。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絡み
매운맛. 짠맛. 또는 그런 음식; 빈 몸. 맨몸; 《動詞 「絡む」의 連用形이 名詞화한 것》 휘감김. 얽힘. 관계됨; 광재(鑛滓). 용재(鎔滓). 〔동의어〕かなくそ
せがむ
조르다. 〔동의어〕ねだる. 【가능동사】 せが·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飼い主さんによりますと、年上のアポロにとって、生まれたてのコスモはとにかく気になる存在です。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とにかく
여하튼. 아무튼. 어쨌든. 〔동의어〕ともかく; 차치하고. 별문제로 하고
存在
『철학』 있음. 있는 것. 실존
年上
손위. 연상. 연장(年長). 〔반의어〕年下
飼い主
사는 사람. 매주(買主). 〔동의어〕買手. 〔반의어〕売り主; 가축이나 애완 동물을 기르는 사람. 사육주
アポロ
⇒ アポロン
生まれたて
신생아
コスモの様子については「初めはアポロが怖い存在だったようだし、うっとうしく思うこともあるかもしれませんが、なんだかんだ慕っているんです」とのこと。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怖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様子
《「す(子)」는 唐音》; 사물의 상태나 상황. 형편; (사람의) 모습. 옷차림; 징조. 낌새. 기미; 눈치. 기색. 〔동의어〕けはい; 흔적; 특별한 사연·이유
存在
『철학』 있음. 있는 것. 실존
初め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名詞를 만듦》 처음으로 함. 특히 새해 들어 첫 번째임을 뜻함. 〔참고〕 말에 따라서는 청음(淸音)인 경우도 있음. 「なれそめ」 등
アポロ
⇒ アポロン
さらに、「離れ離れになると不安になる傾向もあるんです」と、決してアポロだけの片思いではないと打ち明けてくれました。
決して
⇒ けっして
不安
불안. {문어·ナリ 활용 }
傾向
경행. 소신대로 실행함; 『의학』 경구. (약·세균 등이) 입을 통해 들어감; 형광; 『문어』 경앙. 존경하여 우러름. 〔동의어〕けいぎょう; 『문어』 경앙. 우러러 따름. 〔동의어〕けいぎょう·景慕; 경향; 휴행. 휴대; 계구. 닭의 입. (비유적으로)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
離れ離れ
따로따로 떨어짐. 뿔뿔이 흩어짐. 이산(離散). 〔동의어〕ちりぢりばらばら. {문어·ナリ 활용 }
片思い
짝사랑. 〔동의어〕片恋
アポロ
⇒ アポロン
変わらないもの
家具・インテリア販売店大手ニトリがタイに初出店 今後東南アジアで事業拡大へ(2023年8月26日)
グーグルのFitBit買収、公取委が条件付きで認める(2021年1月14日)
米シンクタンク「ロシアはウクライナの渡河想定」(2022年11月29日)
東京の新規感染者5094人 重症者“最多”245人(2021年8月14日)
オキノタユウ
おる
The Chicken and the Egg: Mastering Japan’s Original Comfort Food
世界一高価!ダイヤ散りばめた1億6000万円マスク(20/08/10)
セサミストリート・クリニック:「診察券」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