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感染が続くなかでトヨタは、在宅勤務制度について9月以降は一定の出社義務を撤廃するほか、在宅勤務の対象者を増やして制度を拡充します。
Toyota, aiming to expand the home work mode Consider factory employees (20/07/02)
452 view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感染が続くなかでトヨタは、在宅勤務制度について9月以降は一定の出社義務を撤廃するほか、在宅勤務の対象者を増やして制度を拡充します。
データ分析などは在宅で効率的にできるとして工場の開発部門で働く従業員も在宅勤務の対象に加えます。
生産ラインで働く従業員にも今後、制度の適用を検討していて、在宅で何ができるのかなど課題の洗い出しを進めています。
トヨタは「IT環境も整い、テレワークで十分な成果が出ている」としています。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感染が続くなかでトヨタは、在宅勤務制度について9月以降は一定の出社義務を撤廃するほか、在宅勤務の対象者を増やして制度を拡充します。
続く
이어지다. 계속되다; (같은 일이) 잇따르다. 끊이지 않다; 뒤따르다; 버금가다. 다음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義務
의무. 〔반의어〕 権利
制度
『문어』 서토; 서양. 또는 인도; 제도; 정도. 정밀도. 정확도
対象
大正天皇 시대의 연호. ((1912년~1926년)); 『문어』 솜씨가 뛰어난 장인(匠人). 명장(名匠); 『역사』 「近衛府」의 장관. 〔참고〕 「だいしょう」로도 읽음; (군대 계급의) 대장; (어떤 집단 등의) 두목. 우두머리. 〔동의어〕頭·親分; 동배나 손아랫사람을 정답게 또는 얕잡아 부르는 말; 대소. 크게 웃음. 〔동의어〕おおわらい; 대승. 대첩. 〔반의어〕大敗; 『문어』 조칙(詔勅). 조서. 〔동의어〕詔勅; 대상. 그랑프리. 〔동의어〕グランプリ; 범선의 제일 큰 돛대. 메인 마스트. 〔동의어〕メーンマスト; 『문어』 음력 9월의 딴이름; 대칭; 서로 대응하여 균형을 이룸; 『언어학』 제2인칭; 대상; 『철학』 인식 작용의 목적이 되는 것. 객관; 목표. 상대. 〔동의어〕目当て; 대조; 대상. 〔동의어〕キャラバン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以降
이강. 이후. 〔동의어〕以後. 〔참고〕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씀; 의향. ((옷에 피워 배게 한 향내)); 의항. 옷걸이. 횃대. 〔동의어〕衣紋掛·衣架; 위광. 위세. 위력; ⇒ 異香; 이행. 옮아감; 『수학』 이항; 위공. 뛰어난 공로. 위훈. 〔동의어〕偉勲; 위효. 큰 효험; 의향. 뜻; 유공. 죽은 뒤에까지 남아 있는 공; 유구. 옛 건축의 잔존물; 유고. 죽은 사람이 남긴 원고; 《形容詞 「厳し」의 連用形 「いかく」의 音便》 몹시. 매우. 대단히. 심히. ((다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ひどく·ずいぶん; (편히) 쉬다. 휴식하다. 【가능동사】 いこ·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一定
『불교』 (부처가 되기 위한 오직 하나의 탈것이란 뜻에서) 모든 중생을 평등하게 부처의 경지로 인도한다는 가르침. 일승; 한 가닥. 한 줄기. 〔동의어〕一筋; 한 조목. 한 조문. 〔동의어〕ひとくだり; 《고어》 꼭. 틀림없이. 확실히. 반드시; 일장; 한 장면. 한차례. 한바탕; 한 자리. 일석(一席); 그때뿐. 단 한 번. 잠시
拡充
확충
感染
『생리학』 한선. 땀샘; 관전. 정부가 주조한 돈. 〔반의어〕私鋳銭; 관찬. 국가 기관에서 편찬함. 또는 그 편찬물. 〔반의어〕 私撰; 관선. 〔동의어〕国選. 〔반의어〕 民選; 『의학』 건선. 마른버짐; 간선. 본선. 〔반의어〕 支線; 감염;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옴; 어떤 사물에 감화되거나 영향을 받음; 관전; 함선
勤務
근무
ウイルス
바이러스. 〔동의어〕ビールス; 컴퓨터를 비정상적으로 작용하게 만드는 프로그램. 〔동의어〕コンピューターウイルス
撤廃
철폐
在宅
재가. 자기 집에 있음
新型
새로운 형식; 신형. 〔동의어〕ニュータイプ
出社
출사. 회사에 출근함. 〔반의어〕 退社.; 출차. 차고나 주차장에서 차가 나옴. 〔반의어〕入車.
コロナ
『천문』 코로나.; (햇무리·달무리의) 무리. 광관. 〔동의어〕光冠.
データ分析などは在宅で効率的にできるとして工場の開発部門で働く従業員も在宅勤務の対象に加えます。
工場
구두로 말함. 또는 그 내용; 말씨. 말투; (연극에서) 배우를 소개하거나 상연물의 줄거리 등을 설명함. 또는 그사람; 공장. 〔동의어〕こうば; 투구와 같은 모양; 교정; (남녀간의) 정분; 교양. 서로 양보함. 호양(互讓); 향상. 〔반의어〕 低下; 『문어』 강상; 양쯔강의 강변. 또는 그 강물 위; 『문어』 공성. 성을 공격함. 〔동의어〕城攻め; 항상. 일정하여 변화가 없음; 『문어』; 정도가[수준이] 높음. {문어·ナリ 활용 }; 교상. 아교 모양. 아교처럼 끈적거리는 상태; 후정. 후의(厚誼); 『문어』 황성. 황폐한 성
分析
분석; 『화학』 물질의 성분을 검출(檢出)함; 『철학』 복잡한 개념 등을 단순한 요소로 나눔. 2.3. 〔반의어〕 総合; 『법률』 분적. 분가; 『문어』 문책. 쓴 글에 대한 책임
対象
大正天皇 시대의 연호. ((1912년~1926년)); 『문어』 솜씨가 뛰어난 장인(匠人). 명장(名匠); 『역사』 「近衛府」의 장관. 〔참고〕 「だいしょう」로도 읽음; (군대 계급의) 대장; (어떤 집단 등의) 두목. 우두머리. 〔동의어〕頭·親分; 동배나 손아랫사람을 정답게 또는 얕잡아 부르는 말; 대소. 크게 웃음. 〔동의어〕おおわらい; 대승. 대첩. 〔반의어〕大敗; 『문어』 조칙(詔勅). 조서. 〔동의어〕詔勅; 대상. 그랑프리. 〔동의어〕グランプリ; 범선의 제일 큰 돛대. 메인 마스트. 〔동의어〕メーンマスト; 『문어』 음력 9월의 딴이름; 대칭; 서로 대응하여 균형을 이룸; 『언어학』 제2인칭; 대상; 『철학』 인식 작용의 목적이 되는 것. 객관; 목표. 상대. 〔동의어〕目当て; 대조; 대상. 〔동의어〕キャラバン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員
『문어』 짤막한 머리말. 서문. ((한문 문체의 하나)); 인; 도장. 인장. 〔동의어〕判; 자취. 흔적; 인도(印度)의 준말.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문어』 인. 원인. 〔반의어〕 果; 『문어』 인원수;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 사람임을 뜻함; 『역사』 은. 은나라. ((옛 중국의 나라 이름)) 〔참고〕 「商」라고도 함; 『문어』; 귀인의 저택; 절. 사원; 상황(上皇)·法皇·女院의 거처. 또는 이들의 높임말; 「衆議院」 「参議院」의 준말; 원; 『불교』 사자(死者)의 계명(戒名)에 붙이는 말; 색욕(色慾). 정욕(情慾). 성욕; 음란[음탕]한 것; 정액(精液); 역학(易學)에서, 음; 그늘. 뒤쪽. 배후; 음침함. 1.~3.〔반의어〕陽; 마실 것. 음료; 음주. 주연(酒宴); 운; 문장 안에 비슷한 음의 글자를 규칙적으로 늘어놓는 것; 한자(漢字)를 그 소리의 닮음에 따라 나눈 구별. 수(隋)나라 때는 206운, 원(元)나라 이후는 106운
開発
개발; 천연 자원을 산업·생활에 활용함; 연구하여 새로 만들어서 실용화함
勤務
근무
効率
『물리』 공률. 기계가 단위 시간 안에 하는 일의 양. 공정(工程); 공립. 〔반의어〕 私立; 효율; 고율. 〔반의어〕 低率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働く
일하다; 활동하다. 움직이다; 작용하다; 효과를 내다. 효험이 나타나다; 『언어학』 (문법에서) 어미가 변화하다. 활용하다. 【가능동사】 はたら·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나쁜 짓을 하다. 【가능동사】 はたら·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データ
데이터; 『전자계산기·컴퓨터』 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는 형태로 기호화·숫자화된 자료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従業
종업
在宅
재가. 자기 집에 있음
部門
무문. 무사의 집안. 무가(武家); 부문
生産ラインで働く従業員にも今後、制度の適用を検討していて、在宅で何ができるのかなど課題の洗い出しを進めています。
生産
정찬. 〔동의어〕ディナー. 〔참고〕 일본 요리에서는 「本膳料理」를 이름; 생산. 〔반의어〕 消費; 성산. 성공할 가망; 『화학』 청산. 시안화수소. 〔동의어〕シアン化水素; 처참. {문어·ナリ 활용 }; 청산; 『문어』 성산. 천황의 나이. 〔동의어〕宝算; 『천주교』 성찬; 정산. 〔반의어〕 概算; 제산. 물건을 제조하고 산출해 냄; 『의학』 제산. 위산의 과다를 억제함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検討
(야구에서) 건투. 투수가 열심히 잘 던짐; 권투. 〔동의어〕ボクシング; 헌등. 처마나 집의 입구에 다는 등; 건투; 검토; 헌등. 신불에게 등을 바침. 또는 그 등. 〔동의어〕奉灯; (대체적인) 방향; 어림. 짐작. 예상; (총의) 가늠쇠. 〔동의어〕照星; 대략의 수량을 나타냄. 가량. 정도. 안팎. 〔동의어〕ぐらい; 『문어』 현답
今後
금후. 차후. 이후
制度
『문어』 서토; 서양. 또는 인도; 제도; 정도. 정밀도. 정확도
適用
적요. 요점을 뽑아 적음. 또는 그 기록. 〔동의어〕要点; 적용
員
『문어』 짤막한 머리말. 서문. ((한문 문체의 하나)); 인; 도장. 인장. 〔동의어〕判; 자취. 흔적; 인도(印度)의 준말.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문어』 인. 원인. 〔반의어〕 果; 『문어』 인원수;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 사람임을 뜻함; 『역사』 은. 은나라. ((옛 중국의 나라 이름)) 〔참고〕 「商」라고도 함; 『문어』; 귀인의 저택; 절. 사원; 상황(上皇)·法皇·女院의 거처. 또는 이들의 높임말; 「衆議院」 「参議院」의 준말; 원; 『불교』 사자(死者)의 계명(戒名)에 붙이는 말; 색욕(色慾). 정욕(情慾). 성욕; 음란[음탕]한 것; 정액(精液); 역학(易學)에서, 음; 그늘. 뒤쪽. 배후; 음침함. 1.~3.〔반의어〕陽; 마실 것. 음료; 음주. 주연(酒宴); 운; 문장 안에 비슷한 음의 글자를 규칙적으로 늘어놓는 것; 한자(漢字)를 그 소리의 닮음에 따라 나눈 구별. 수(隋)나라 때는 206운, 원(元)나라 이후는 106운
課題
가제. 임시 제목; 화대. 화분·꽃병을 올려 놓는 받침; 가대; 물건을 걸쳐 두는 대; 철도·다리 등의 받침대; 和歌의 제목. ((제목을 미리 내주는 兼題와 그 자리에서 내는 席題 등이 있음)); 과제. 주어진 문제·임무; 과대(함). 〔반의어〕 過小. {문어·ナリ 활용 }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働く
일하다; 활동하다. 움직이다; 작용하다; 효과를 내다. 효험이 나타나다; 『언어학』 (문법에서) 어미가 변화하다. 활용하다. 【가능동사】 はたら·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나쁜 짓을 하다. 【가능동사】 はたら·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従業
종업
在宅
재가. 자기 집에 있음
洗い出し
회삼물(灰三物)로 된 벽이나 바닥이 마르기 전에 물로 씻어 표면의 잔돌이 드러나게 한 것.; 삼나무 판자를 문질러 씻어서 결이 드러나게 한 것.
トヨタは「IT環境も整い、テレワークで十分な成果が出ている」としています。
十分
충분함. 부족함이 없음. {문어·ナリ 활용 }; 십분. 충분히; 〈「重要文化財」의 준말〉 중요 문화재
環境
건강. 한방(漢方)에서 쓰는 말린 생강; 『문어』 환규. 큰 소리로 외침. 규환(叫喚); 『문어』 한공. 늦가을의 귀뚜라미; 감흥; 환경; 함교. 브리지. 〔동의어〕ブリッジ
整う
고르게 되다. 조화를 이루다. 정돈[정비]되다; 구비되다. 갖추어지다; 「ととのえる」의 문어
成果
정가. 정찰(正札); 『경제』 정화. 본위 화폐(本位貨幣); 정과. 정식 학과. 정규 과목; 꽃꽂이. 〔동의어〕いけばな; 생가; 태어난 집; (며느리·양자의) 본가(本家). 친정. 〔동의어〕実家·さと. 〔반의어〕 婚家·養家; 성과; 성가; 《「青果物」의 준말》 청과물; 제가. 집안을 잘 다스림; 『문어』 성하. 한여름. 〔동의어〕真夏. 〔반의어〕 初夏·晩夏; 『문어』 세가. 권세가 있는 집안. 세도가; 『문어』 성화; 성가; 『문어』 정화; 제과; 제화; 『문어』 청가. 휴가를 신청함. 또는 그 휴가; 『문어』 제하. 배꼽 밑. 아랫배; (俳句에서) 크리스마스 케이크
出る
나가다. 나오다; 안에서 밖으로 나가다. 〔반의어〕 はいる; 팔리다; 출석하다. 출근하다. 참가하다. 출장(出場)·출연하다; 떠나다. 출발하다; 졸업하다; 다다르다. 이르다; 나서다; 나아가다; 출판되다. (출판물에) 실리다. 나다; 솟다. 솟아나오다; 일다. 일어나다; 태도를 보이다; 넘쳐 흐르다; 벗어나다. 초과하다. 넘다; 나타나다; 생기다. 비롯되다; 산출되다. 나다; 받다. 얻다; 우러나다. 〔참고〕 고형(古形)은 「いづ」. 【문어형】 づ {하2단 활용}
「餃子の王将」テイクアウトとデリバリーの専門店(2021年6月24日)
ファミリーマートがコンビニ業界初のファッションショー(2023年11月30日)
信じる
3年ぶりNYプライドパレード 「中絶の権利」主張も(2022年6月27日)
“サウナ×アート”の融合 新感覚のイベントがOPEN(2021年3月22日)
Weekly Japanese Words with Risa - Going Through Customs
Nihongo Kaiwa - Video 06
ニューヨークでの“核軍縮会議”総理の出席見送りへ(2021年12月27日)
捨てるはずの米袋が・・・おしゃれなエコバッグに変身(2020年10月26日)
すかいらーくHD ガストやバーミヤンなどで半数の商品を平均約5%値上げ (2022年7月14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