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起きて 歯を磨いて
朝起きて 歯を磨いて
あっという間 午後10時
今日も たくさん 笑ったなぁ
たくさん ときめいたなぁ
友達と バカみたいに
騒いでる 時にも
チラチラって 目が合う
偶然、だよね
初恋なんて言えない
キャラじゃないんだもんっ!
ねえ あしたも会えるよね?
まぶたを 閉じると
キラキラ キミだらけ
今日も 楽しかったね
あー 恋 してんだなぁ
おやすみってメールして
返事待ち 一時間
やっぱ脈 ないのかなぁ
ひたすら 受信ボタン
キミのメール 絵文字付き
ゆらゆら ハートマーク
期待して いいのかなぁ
眠れなくなる
キミのそばに いると
楽しすぎるんだ
ねえ 運命なのですか
うまれて 初めて
ふわふわ 恋心
いつか 言いたいな
ねえ 大好きだよ
もう少しで 朝がくるよ
そろそろ 寝なくちゃだよね
またあしたね 電話するよ
やっぱ さみしいよ
もっともっと 隣に いたいから
初恋なんて言えない
キャラじゃないんだもんっ!
ねえ あしたも会えるよね?
まぶたを 閉じると
キラキラ キミだらけ
今日も 楽しかったね
あー 恋 してんだなぁ
うれしいな うれしいな
はじめまして こいごころ
あした また あえるね
おやすみなさい
ゆめで すぐ あえるね
おやすみなさい
朝起きて 歯を磨いて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起きる
(자리에서) 일어나다. 기상하다; 일어서다. 바로 서다; (잠에서) 깨어 있다. 자지 않고 있다; 일다. 일어나다. 생기다. 발생하다. 〔동의어〕起こる; 병상에서 일어나다. 【문어형】 お·く 【명사·부사】; 불이 벌겋게 피다
歯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磨く
닦다. 광을 내다. 갈다; (학문이나 기능을) 수련하다. 연마하다. 갈고 닦다; (손질하여) 아름답게 하다. 【가능동사】 みが·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あっという間 午後10時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午後
오후. 하오. 〔반의어〕 午前; 말 한 마디 한 마디
今日も たくさん 笑ったなぁ
笑う
웃다. 〔반의어〕 泣く; (비유적으로) 꽃봉오리가 벌어지다. 열매가 익어서 터지다. 꽃이 피다; 꿰맨 곳이 타지다; 《속어》 웃기다. 가소롭다. 문제도 되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비웃다. 조소하다. 빈정대다. 우습게 여기다. 〔동의어〕あざ笑う·あざける. 〔참고〕 「嗤う」로도 씀. 【가능동사】 わ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たくさん ときめいたなぁ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ときめく
(기쁨·기대 등으로) 가슴이 설레다. 가슴이 두근거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시류를 타고 위세를 떨치다. 한창 들날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友達と バカみたいに
友達
벗. 친구. 동무. 〔동의어〕友人·友
騒いでる 時にも
騒ぐ
떠들다; 시끄러운 소리를 내다. 떠들썩거리다; 불평 불만을 호소하다. 또는 그 때문에 아우성치다. 소동을 일으키다; (불안·놀람 등으로) 침착성을 잃다. 술렁거리다. 허둥대다. 두근거리다; 〈흔히, 受動형으로 쓰이어〉 화제가 되다. 이름이 나다; 술자리를 벌이고 흥청망청 놀다. 술을 마시며 들떠 놀다. 【가능동사】 さわ·げ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時に
때때로. 때로는. 가끔. 어쩌다가; 그때가 바로. 때마침; 말머리를 바꿀 때 쓰는 말. 그런데. 〔동의어〕ところで
チラチラって 目が合う
合う
만나다. 대면하다; 서로 알게 되다. 사귀다; 우연히 마주치다. 〔참고〕 「会う」는 ‘어떤 곳에 모여서 대면하다’의 뜻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逢う」는 ‘약속하고 만난다’는 뜻으로 씀. 【가능동사】 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맞다. 일치하다. 합치(合致)하다; 어울리다. 알맞다. 조화되다; 〈흔히 「~·わない」의 꼴로 씀〉 수지맞다. 〔동의어〕引き合う;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른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하다. 주고받다; …하여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떤 일을) 만나다. 겪다. 당하다. 봉착(逢着)하다; 우연히 만나다. 마주치다. 〔참고〕 「会う」 「逢う」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偶然、だよね
偶然
우연히. 뜻밖에. 뜻하지 않게. 때마침; 우연. 〔반의어〕 必然. {문어·ナリ 활용 }
初恋なんて言えない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初恋
첫사랑
言える
《「言う」의 可能形》; 말할 수 있다; 말할 만하다. 말할 가치가 있다. 특히, 진리로서 단정할 수 있다; (병이) 낫다. 상처가 아물다. 치유되다. 【문어형】 い·ゆ {하2단 활용}
キャラじゃないんだもんっ!
ねえ あしたも会えるよね?
まぶたを 閉じると
閉じる
(열린 것이) 닫히다. 〔반의어〕 開く; 끝나다. 파하다.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열려 있는 것을) 닫다. 〔반의어〕 開ける; (계속하던 일을) 끝내다. 마치다. 그만두다. 〔반의어〕 開く.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철하다; 요리에서 달걀 등을 풀어서 재료를 덮다.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キラキラ キミだらけ
だらけ
《名詞에 붙어》 …투성이
今日も 楽しかったね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楽しい
즐겁다. 재미있다. 유쾌하다. 〔참고〕 「うれしい」는 감격적, 일시적. 「たのしい」는 정적(靜的), 계속적. たの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たのし·げ 【형용동사】 たのし·さ 【명사】 たのし·み 【명사·형용동사】 【문어형】 たの·し {シク 활용}
あー 恋 してんだなぁ
恋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おやすみってメールして
おやすみ
〈「お休みなさい」의 준말〉 잘 때의 인사말. 잘 자라. 안녕히 주무십시오; 〈「寝る」 「休む」의 공손한 말〉 잠. 쉼; 〈「休業」 「欠勤」 「休暇」의 공손한 말〉 휴업. 결근. 휴가
メール
메일. 우편. 우편물
返事待ち 一時間
返事
『문어』 편시. 잠시. 〔동의어〕かたとき; 대답. 응답; 답장. 회신; 변사. 이변. 변고; 『문어』 편차. 순서에 따라 편집함. 또는 그 순서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待ち
정해진 날에 사람들이 모여, 기원(祈願)·감사·위령(慰靈) 등을 위하여 하룻밤을 새우는 일. 또는 그 행사; 도검(刀劍)과 도신(刀身) 부분과 슴베 부분의 경계; 시가(지). 시내. 읍내(邑內);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인 町. ((일반적으로 시(市)보다는 작고 이(里)보다는 커서, 대체로 읍(邑)의 크기와 비슷한 경우가 많음)); 시(市)·구(區) 안의 한 구획. ((한국의 동(洞)에 해당)); 번화한 거리. 〔참고〕 4.는 「街」로도 씀; 《「待つ」의 名詞꼴》; 기다림. 대기 (상태). ((흔히, 다른 말에 붙여 씀)); (옛날, 사슴 사냥에서) 높은 나무 가장귀에 매어 놓은 가로대에 걸터앉아, 아래로 지나가는 사슴을 기다렸다가 쏘는 일. 〔동의어〕まち木; (대절된 택시 등이) 승객의 사정에 따라 기다리고 있는 상태; 옷감의 폭이 모자랄 때 이어대는 천. 羽織의 겨드랑이나 袴 등의 가랑이 부분을 낙낙하게 하기 위해 대는 딴 폭. ((한복의 무나 사폭 같은 것))
やっぱ脈 ないのかなぁ
やっぱ
《속어》 《「やっぱり」의 변한말》 역시
脈
맥; 『생리학』 혈관; 한 줄기로 이어져 있는 것; 광맥(鑛脈); 맥박; 희망. 가망
ひたすら 受信ボタン
ボタン
단추. 〔참고〕 「釦」 「鈕」으로 쓰기도 함; [button] (초인종 등의) 누름 단추
ひたすら
오직. 단지. 오로지. 한마음으로. 한결같이. 〔동의어〕いちずに. {문어·ナリ 활용 }
受信
수신. 〔반의어〕 送信·発信; 수진. 진찰을 받음
キミのメール 絵文字付き
付き
『천문』 달; 달빛; (책력상의) 달. 월; 1개월. 한 달; (사람의) 임신 기간; 월경; 붙음. 붙는 상태. 부착성; 불이 당김. 인화성(引火性); 시중듦. 수행함; 《속어》 운. 재수. 행운; 《名詞에 붙어》; …의 모양; 딸림. …부(附); …에 소속함. 〔참고〕 2.3.은 「づき」로도 읽음; 마지막. 끝장. 종말. 〔동의어〕終わり·果て; 《고어》 고대에, 음식물을 담는 데 쓰던 공기 모양의 토기·도기·목제의 그릇. ((처음에는 모두 토기였음)); 찌름. 찌르기; (검도에서) 상대편의 멱을 찌르는 기법. 〔동의어〕おつき; (일본 씨름에서) 손바닥으로 상대편의 가슴·어깨 근처를 연달아 밀치는 수; 《動詞에 붙어》 그 동작의 기세를 강조하는 말. 세차게. 마구. 〔참고〕 뒤에 이어지는 動詞의 발음에 따라 「つっ」 「つん」으로 되는 것이 있음. 「つっ走しる(힘차게 달리다)」 「つんのめる(앞으로 푹 꼬꾸라지다)」 등; 찧음. 찧기; 『식물·식물학』; 둥근잎느티나무; 행운
メール
메일. 우편. 우편물
絵文字
마크·간판 등에 사용하는 장식 문자
ゆらゆら ハートマーク
ハート
하트; 마음. 애정; (카드에서) 붉은 심장 모양의 패
ゆらゆら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흔들흔들. 한들한들
マーク
마크; 표. 상표. 표장(標章). 기호. 또는 그것을 붙임; 특정[요주의] 대상을 계속 감시함; (단체 경기에서) 상대편 선수의 활동을 감시·봉쇄함; 기록을 세움
期待して いいのかなぁ
期待
『문어』 위태. 위험; 『물리』 기체. 〔동의어〕ガス. 〔반의어〕 固体·液体; 『철학』 기체. 여러 가지 작용·성질·변화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되는 것; 귀태; 『의학』 포도상 귀태. 태반의 일부가 되는 융모막(絨毛膜)의 조직이 포도송이 모양으로 이상 발육을 하는 임신 이상. ((태아는 사망하여 유산이 됨)) 〔동의어〕ぶどう状鬼胎·胞状鬼胎. 〔참고〕 「奇胎」로도 씀; 근심. 걱정. 두려움. 〔동의어〕おそれ; 기대; 기체. 비행기(의 동체); 『문어』; 희대. 세상에 드묾. 희세(稀世); 아주 이상함. 〔참고〕 「きだい」라고도 함. {문어·ナリ 활용 }; 기태. 별남. 기이함. 괴상함. {문어·ナリ 활용 }
眠れなくなる
キミのそばに いると
楽しすぎるんだ
楽しい
즐겁다. 재미있다. 유쾌하다. 〔참고〕 「うれしい」는 감격적, 일시적. 「たのしい」는 정적(靜的), 계속적. たの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たのし·げ 【형용동사】 たのし·さ 【명사】 たのし·み 【명사·형용동사】 【문어형】 たの·し {シク 활용}
ねえ 運命なのですか
運命
운명. 〔동의어〕めぐりあわせ
うまれて 初めて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ふわふわ 恋心
ふわふわ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가볍게 떠돌거나 흔들리는 모양; 마음이 들뜬 모양; 부드럽고 가벼운 모양. 푹신푹신; 江戸 시대에, 끓는 물에 달걀을 풀어 저어 가면서 익힌 요리
恋心
연심. 연정
いつか 言いたいな
いつか
5일; 다섯날. 닷새; 단오. 5월 5일; 《「か」는 疑問의 係助詞》; 〈과거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제였던가. 언젠가. 전에. 〔동의어〕以前; 〈미래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젠가는. 차차. 조만간; 어느 사이에. 어느 틈[결]에. 〔동의어〕いつしか·いつの間にか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ねえ 大好きだよ
大好き
아주 좋아하는 모양
もう少しで 朝がくるよ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そろそろ 寝なくちゃだよね
そろそろ
《「~と」의 꼴로도 씀》 동작을 조용하게 천천히 하는 모양; 어떤 상태로 되어가는 모양. 어떤 일이 일어나는 시기에 접어드는 모양. 〔동의어〕ぼつぼつ; 이제 곧
寝る
잠자다. 〔동의어〕眠る; 눕다. 드러눕다; 숙박하다. 묵다; 몸져 눕다. 앓아 눕다; 남녀가 같이 자다. 동침하다; (누룩이) 뜨다. 발효하다; 자본이나 상품이 잠기다. 사장되다. 【문어형】 ぬ {하2단 활용}; (피륙을 잿물로) 누이다; 개다. 반죽하다. 이기다; (가죽 등을) 무두질하다. 〔동의어〕なめす; (쇠붙이를) 불리다. 벼리다. 단련하다; (수양·경험 등을) 쌓다. 연마하다. 단련하다; 열을 지어 천천히 걸어가다. 천천히 행진하다. 〔참고〕 「邌る」로도 씀. 【가능동사】 ね·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またあしたね 電話するよ
電話
전화; 「電話機」의 준말
やっぱ さみしいよ
さみしい
⇒ さびしい
やっぱ
《속어》 《「やっぱり」의 변한말》 역시
もっともっと 隣に いたいから
隣
이웃. 옆. 곁; 이웃집. 옆집
もっと
더. 더욱. 좀더. 한층. 〔동의어〕一層
初恋なんて言えない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初恋
첫사랑
言える
《「言う」의 可能形》; 말할 수 있다; 말할 만하다. 말할 가치가 있다. 특히, 진리로서 단정할 수 있다; (병이) 낫다. 상처가 아물다. 치유되다. 【문어형】 い·ゆ {하2단 활용}
キャラじゃないんだもんっ!
ねえ あしたも会えるよね?
まぶたを 閉じると
閉じる
(열린 것이) 닫히다. 〔반의어〕 開く; 끝나다. 파하다.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열려 있는 것을) 닫다. 〔반의어〕 開ける; (계속하던 일을) 끝내다. 마치다. 그만두다. 〔반의어〕 開く.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철하다; 요리에서 달걀 등을 풀어서 재료를 덮다.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キラキラ キミだらけ
だらけ
《名詞에 붙어》 …투성이
今日も 楽しかったね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楽しい
즐겁다. 재미있다. 유쾌하다. 〔참고〕 「うれしい」는 감격적, 일시적. 「たのしい」는 정적(靜的), 계속적. たの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たのし·げ 【형용동사】 たのし·さ 【명사】 たのし·み 【명사·형용동사】 【문어형】 たの·し {シク 활용}
あー 恋 してんだなぁ
恋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うれしいな うれしいな
うれしい
기쁘다. 반갑다. 〔반의어〕 悲しい; 고맙다. 감사하다; 《속어》 애교가 있다. 밉지 않다. 귀엽다. うれ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うれし·げ 【형용동사】 うれし·さ 【명사】 【문어형】 うれ·し {シク 활용}
はじめまして こいごころ
はじめまして
처음 뵙겠습니다. ((초대면의 인사말))
あした また あえるね
あえる
(채소·생선·조개 등을) 된장·식초·깨·겨자 등으로 무치다. 버무리다. 【문어형】 あ·ふ {하2단 활용}
おやすみなさい
ゆめで すぐ あえるね
あえる
(채소·생선·조개 등을) 된장·식초·깨·겨자 등으로 무치다. 버무리다. 【문어형】 あ·ふ {하2단 활용}
おやすみなさい
“食べられる”ストロー 液体に浸しても大丈夫(2020年10月15日)
東京大会に向け大規模訓練 バス150台で選手送迎想定(2021年6月20日)
Easy Japanese 11 - What makes you happy?
Easy Japanese 11 - WhatHow to Make a Dental Appointment
How to Make a Dental Ap今、咲き誇る花たちよ
マイヘブン
あなたへ贈る歌2
小さな恋の歌
死海文書の2018年の予言が…日本人が人類の救世主に!?その内容とは?
あす、スーパームーン 24年ぶり皆既月食に(2021年5月25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