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年、 スマートフォンやタブレット端末など、 タッチパネルでの入力を前提としたデバイスが爆発的に普及し
近年、 スマートフォンやタブレット端末など、 タッチパネルでの入力を前提としたデバイスが爆発的に普及し
世界的なスタンダードとなりつつあります
日本でもフリック入力方式が我々の生活にすっかり定着しました
操作に慣れると直感的に素早く入力できるので
もう手放せませんね。
でもこれで完璧な入力方式と言えるでしょうか
我々グーグル日本語入力チームは
操作性を改善する余地がまだあるのではないかと考え
フリック入力を更に便利に、 確実に使用するためのデバイスを開発しました
その新しいデバイスがこちら
グーグル日本語入力マジックハンドバージョンです
ネイルが邪魔
指紋がついたり油で汚れる
手袋をしていると使えない
指先の怪我
指先の反応が悪い
このようなトラブルは全て解決!
あなたの指の代わりに
このマジックハンドがフリックしてくれるのです
使い方は簡単
マジックハンドの前にお手持ちのタブレットを置くと
自動的にキー位置を認識
操作スティックを握ると電源が入ります
これで準備完了。
ムーブ
タッチ
フリック
これらの操作の組み合わせで
スピード感を損なうことなく流れるような入力が可能。
画面を指でタッチすることに伴う様々な障害からあなたを解放します
更にハンドの交換で様々なカスタマイズが可能
左利きの方のための左手バージョン
親指、 小指、 猫の手、 孫の手
更に奥の手も近日発表予定
またキーボードなど、 お手持ちのUSB 入力機も接続できます。
現在モバイル版も開発中
これからは外出先でも気軽にマジックハンドが使えます
思い通りの日本語入力をタッチパネルでも
グーグル日本語入力
近年、 スマートフォンやタブレット端末など、 タッチパネルでの入力を前提としたデバイスが爆発的に普及し
爆発
폭발
スマート
스마트; 말쑥함. 날씬함. 멋짐. 세련됨; 재치 있음. 요령이 좋음
普及
『문어』 불휴. 쉬지 않음; 『문어』 불후. 언제까지나 썩지 않고 남음. 가치를 언제까지나 잃지 않음; 『문어』 불급. 서둘 필요가 없음. {문어·ナリ 활용 }; 보급; 『문어』 썩어서 문드러짐. 노후(老朽)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前提
전면 개정; 전정; 『생리학』 내이(內耳)의 일부로 달팽이관과 반고리관 사이의 소실(小室); 전제
フォン
⇒ ホン
タブレット
태블릿; 표찰(標札)·편액(扁額); (단선 철도에서) 역장이 기관사에게 주는 통행표(通行票). 패찰(牌札)
近年
근년. 최근의 몇 년. ((부사적으로도 씀)) 〔동의어〕ちかごろ
端末
단말; 끝; 『전자계산기·컴퓨터』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부분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タッチパネル
터치 패널. 손가락으로 터치해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패널.
世界的なスタンダードとなりつつあります
世界
지구상의 모든 나라. 만국(萬國); (지구를 중심으로 해서 본) 우주. 〔동의어〕天地; 세상. 인간 사회; 『불교』 중생(衆生)이 살고 있는 곳; 어느 특정한 것의 한정되는 범위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スタンダード
스탠더드. 표준(형). 표준적.
日本でもフリック入力方式が我々の生活にすっかり定着しました
すっかり
완전히. 매우. 아주; 남김없이. 죄다. 몽땅; 〈「~になる」 「~です」의 꼴로〉 전부이다. 다 되다. 다 없어지다
生活
『수학』 정할. 시컨트(secant). 〔동의어〕セカント; 생활. 삶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方式
방식; 법식. 의식(儀式) 등의 규정. 예법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定着
정착.; 사진에서, 현상한 필름·인화지 등이 변하지 않게 감광성(感光性)을 없앰.
操作に慣れると直感的に素早く入力できるので
慣れる
친압(親狎)해지다. 친해서 허물없이 굴다. 【문어형】 な·る {하2단 활용}; (자주 경험하여) 예사로워지다. 습관이 되다. 길들다; 숙달되다; (동물이) 길들다. 사람을 따르다;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을 해서 익다. 길들다. 【문어형】 な·る {하2단 활용}; 잘 익다. 맛들다; 낡아지다. 오래 써서 후줄근해지다; 썩다. 【문어형】 な·る {하2단 활용}
操作
『물리』 주사. (텔레비전에서) 화상을 많은 점이나 선 모양으로 분해하여 차례차례 전기 신호로 바꾸는 일. 또는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화상을 재현하는 일; 수사; 조작; (기계 등을) 다룸; (일 등을)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변통하여 처리함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直感
직감; 직관; 『문어』 직간. 윗사람에게 서슴없이 간함. 〔반의어〕 諷諫; 『문어』 천황의 문책. 칙명에 의해 신하로서의 자격을 박탈함. ((사면이 있을 때까지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집안에 칩거하여 근신해야 했음))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もう手放せませんね。
でもこれで完璧な入力方式と言えるでしょうか
完璧
완벽. 완전 무결함. 〔동의어〕完全無欠. {문어·ナリ 활용 }; 간벽. 버럭 성깔을 잘 내는 버릇
方式
방식; 법식. 의식(儀式) 등의 규정. 예법
言える
《「言う」의 可能形》; 말할 수 있다; 말할 만하다. 말할 가치가 있다. 특히, 진리로서 단정할 수 있다; (병이) 낫다. 상처가 아물다. 치유되다. 【문어형】 い·ゆ {하2단 활용}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我々グーグル日本語入力チームは
チーム
팀. 〔동의어〕ティーム
日本語
『언어학』 일본어. 일본말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操作性を改善する余地がまだあるのではないかと考え
改善
개선. 〔반의어〕 改悪; 『문어』 계전. 섬돌 앞. 마루 앞의 뜰; 『문어』; 완쾌. 〔동의어〕全快. {문어·タリ 활용}; 『문어』 외따로 있는 모양. 혼자 있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考え
생각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操作
『물리』 주사. (텔레비전에서) 화상을 많은 점이나 선 모양으로 분해하여 차례차례 전기 신호로 바꾸는 일. 또는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화상을 재현하는 일; 수사; 조작; (기계 등을) 다룸; (일 등을)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변통하여 처리함
余地
예지. 미리 앎; 여지; 들어설 수 있는, 또는 이용할 수 있는 빈 땅; 그 일을 할 수 있는 기회. 여유; 『문어』 여지. 대지(大地). 전세계
フリック入力を更に便利に、 確実に使用するためのデバイスを開発しました
確実
『문어』 각일. 매일; 『문어』 격일. 하루 걸러. 〔동의어〕かくにち; 확실. かく-じ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更に
정도가 심해짐을 나타냄. 더 한층. 보다 더. 더욱더; 한번 더 반복하거나 새로 추가함을 나타냄. 거듭. 다시금. 새로이. 또 한 번. 〔동의어〕重ねて;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조금도. 전혀. 도무지. 두 번 다시
使用
『식물·식물학』 자엽. 떡잎; 지양. 〔동의어〕アウフヘーベン; (어떤 일을 하는) 방법. 하는 수. 도리; 사요. 역사의 요점. 또는 그것을 발췌한 책; 『문어』 지요. 매우 중요함. 〔동의어〕肝要·緊要. {문어·ナリ·タリ 활용}; 사용; 사적인 볼일. 〔반의어〕 公用; 사사로이 씀. 자기 일에 씀; 사용. 씀; 지엽; 가지와 잎; (변하여) 중요하지 않은 잔부분; 『문어』 자용. 모습. 모양. 자태; 시용. 시험삼아 씀; 『문어』 사양. 사육
開発
개발; 천연 자원을 산업·생활에 활용함; 연구하여 새로 만들어서 실용화함
便利
『문어』 변리. ((사물을 분별하여 적절히 처리함)); 편리. 〔반의어〕 不便. べん-り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その新しいデバイスがこちら
新しい
새롭다. 〔반의어〕 古い; (됨됨이가) 새롭다. 새것이다; (경향이) 낡지 않다. 혁신적이다. 현대적이다; 생생하다. 싱싱하다. 신선하다; 바뀐 지 얼마 되지 않다. 오래지 않다. あたら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あたらし·げ 【형용동사】 あたらし·さ 【명사】 あたらし·み 【명사】 【문어형】 あたら·し {シク 활용}
こちら
〈「こっち」보다 공손한 표현〉 이쪽; 〈「ここ」보다 공손한 표현〉 이곳. 여기; 나. 우리. 우리들; 〈「こちらさん」의 꼴로〉 나에게 가까운 사람을 가리킴. 이분
グーグル日本語入力マジックハンドバージョンです
日本語
『언어학』 일본어. 일본말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ネイルが邪魔
邪魔
『불교』 사마. 불도의 수행을 방해하는 악마; 방해. 장애. 훼방; 〈「お~(を)する」의 꼴로〉 (남의 집을) 방문하다. 찾아뵙다
指紋がついたり油で汚れる
汚れる
더러워지다. 더럽혀지다. 〔동의어〕よごれる; 악에 물들다. 부정해지다. 불결해지다; (월경·해산·상중 등으로) 몸이 부정해지다. 【문어형】 けが·る {하2단 활용}
油
기름; (동물성·식물성·광물성의) 기름. 〔참고〕 상온(常溫)에서 액체인 것은 「油」, 고체인 것은 「脂」로 씀; 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 특히 ‘술’을 이르는 경우가 많음; (동물의) 지방. 기름. 굳기름
指紋
『생리학』 지문; 시문. 시험; 자문. 개인 또는 특정 기관에 의견을 물음. 〔반의어〕 答申
手袋をしていると使えない
手袋
깍지. 각지(角指). 〔동의어〕弓懸
指先の怪我
怪我
다침. 또는 그 상처. 부상. 〔동의어〕負傷; 잘못. 과실. 손실; 뜻밖의 결과
指先
손가락끝. 손끝
指先の反応が悪い
悪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하기 어렵다. 좀처럼 …할 수 없다. …하기 거북하다.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밉다. 얄밉다. 밉살스럽다. 〔동의어〕憎らしい; 〈反語적으로〉 (얄밉도록) 기특하다. 훌륭하다. にく·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にく·げ 【형용동사】 にく·さ 【명사】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指先
손가락끝. 손끝
反応
⇒ はんのう
このようなトラブルは全て解決!
解決
괴걸. 매우 괴상한 힘을 가지고 있는 호걸; 해결
全て
모두. 모조리. 통틀어; 대체로. 일반적으로; 전부. 일체. 모든 것
トラブル
트러블; 분쟁. 말썽; 고장
あなたの指の代わりに
代わり
대리. 대신; 대체. 교체. 대용; 〈흔히 「お~」의 꼴로〉 한 그릇을 다 먹고 더 먹음; 대신. 대상(代償); 《名詞에 붙어》 「…의 대용[대신]」의 뜻을 나타냄. 〔참고〕 대개 連濁이 되어 「がわり」로 됨; 다름. 변함. 변화. 이상; 차이
指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このマジックハンドがフリックしてくれるのです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マジック
「マジックインキ」의 준말
ハンド
「ハンドリング1.」의 준말.
使い方は簡単
簡単
『문어』 간담. 간과 쓸개. (변하여) 속마음. 진정; 『곤충』 긴꼬리; 한단. 중국, 전국 시대의 조(趙)나라의 서울; 감탄; 간단. 〔반의어〕 複雑. 〔참고〕 「簡短」이라고도 씀. {문어·ナリ 활용 }
使い方
사용 방법. 사용법. 〔동의어〕使用法
マジックハンドの前にお手持ちのタブレットを置くと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置く
〈「やね」의 예스러운 말〉 지붕; 건물. 집; 속. 깊숙한 안쪽; 겉에 드러나지 않는 속. 남에게 알리지 않는 것; 입구에서 깊숙이 들어간, 가족이 거처하는 곳. 집 안. 안방; 《고어》 귀인의 부인; 〈「~様」 「~さん」의 꼴로〉 남의 부인의 높임말; 끝. 최후; 심오(深奧)함; 오의(奧義); 『지리·지학·지명』 ⇒ 奥州; (변하여) 엄청나게 많은 수; 보류하다. 그만두다; 빼놓다. 제외하다; 『문어』 (서리·이슬 등이) 내리다. 맺히다. 또는 (먼지 등이) 물건 위에 쌓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물건을) 어떤 장소에 놓다. 두다. (사람을) 어떤 장소에 앉히다; 두다. 설치하다; 남겨 놓다. 내버리다; 맡기다. 전당잡히다; 蒔絵·금박 등을 입히다; 사람을 두다. 자기 집에서 살게 하다; (시간·거리 등의) 간격을 두다. 사이를 두다[떼다]; 마음에 두다. 유의하다; 제쳐놓다. 제외하다. 별도로 하다; 그만두다. 집어치우다. 중단하다. 〔참고〕 「措く」 「擱く」로도 씀; 〈「そろばんを~」의 꼴로〉 주판을 놓다. 셈하다; 〈「重きを~」의 꼴로〉 중시하다. 중요시하다; 〈否定語가 따름〉 눈감아 주다. 묵인하다. 【가능동사】 お·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의 꼴로》; …하여 두다; 미리 준비해 두다; (우선) …해놓고 보다. 〔참고〕 구어체에서는 「て~[で~]」가 「とく[どく]」로 될 때가 있음.【문어 4단 활용 동사】; 그만두다. 중지하다
タブレット
태블릿; 표찰(標札)·편액(扁額); (단선 철도에서) 역장이 기관사에게 주는 통행표(通行票). 패찰(牌札)
マジック
「マジックインキ」의 준말
ハンド
「ハンドリング1.」의 준말.
手持ち
현재 수중에 가지고 있음. 현재의 소유. 또는 그 물건.; 〈흔히,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무료함을 달래기 위한 짓.; (손질하여 잘) 보존함.
自動的にキー位置を認識
位置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認識
인식
自動的
자동적
操作スティックを握ると電源が入ります
握る
(주먹을) 쥐다; (손으로) 쥐다. 잡다; 수중에 넣다. 자기 것으로 만들다. 장악하다. 쥐다. 잡다; (사람의 마음이나 비밀·약점을) 쥐다. 잡다; 생선 초밥·주먹밥을 만들다. 【가능동사】 にぎ·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操作
『물리』 주사. (텔레비전에서) 화상을 많은 점이나 선 모양으로 분해하여 차례차례 전기 신호로 바꾸는 일. 또는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화상을 재현하는 일; 수사; 조작; (기계 등을) 다룸; (일 등을)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변통하여 처리함
電源
전원
入り
들어감. 듦; 수입. 〔반의어〕 出; 비용. 비발. 〔참고〕 「要り」로도 씀; 용적(容積). 들이; 들어오는 손의 수. 입장자의 수; 해·달이 짐. 또는 그 시각. 〔반의어〕 出; 어떤 절기의 첫날; 그 고장이나 그 장소에 들어가는 일; 〈흔히 名詞에 붙어〉 속에 들어 있음. 포함되어 있음
スティック
스틱; 아이스하키용의 채
これで準備完了。
完了
완료. 〔반의어〕 未了; 관료. 〔동의어〕役人; 감량. 계기(計器)의 바늘이 감응할 수 있는 최저량; 『문어』 관령. 영유(領有)하여 지배함; 室町幕府의 직명. 将軍을 보좌하여 정무를 총괄하던 벼슬. 또는 그 벼슬에 있던 사람. 〔동의어〕管領
準備
『문어』 순미. 티없이 아름다움. 순수한 미. {문어·ナリ 활용 }; 준비
ムーブ
タッチ
タッチ
터치; 닿음; 관계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 일을 함. 관여함; (그림이나 문장 등의) 붓놀림. 기법; (피아노 등의) 건반을 두드림. 또는 그 방법; 감촉
フリック
これらの操作の組み合わせで
操作
『물리』 주사. (텔레비전에서) 화상을 많은 점이나 선 모양으로 분해하여 차례차례 전기 신호로 바꾸는 일. 또는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화상을 재현하는 일; 수사; 조작; (기계 등을) 다룸; (일 등을)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변통하여 처리함
組み合わせ
짜맞추기. 짜맞춘 것; 『수학』 조합. 〔동의어〕コンビネーション. 〔참고〕 「組合せ」로도 씀
スピード感を損なうことなく流れるような入力が可能。
流れる
흐르다. 흘러 내리다; 흘러가다. 떠내려가다; 감돌다. 떠돌다. 풍기다; 물 흐르듯이 줄지어 이동하다; 경과하다. 흘러가다; 유창하다; 퍼지다. 유포되다; 흘러 나오다. 들려 오다; (방향이) 빗나가다. 벗어나다; 떠돌아다니다. 헤매다. 유랑하다. 〔동의어〕流離う; 치우치다. 쏠리다. 흐르다; 유질(流質)되다; 유회되다. 중지되다. 취소되다; 유산되다; (순조롭게) 진행되다. 【문어형】 なが·る {하2단 활용}
可能
『의학』 화농. 곪음; 『언어학』 가능태(可能態). ((「理解する」에 대하여 「理解できる」 따위)); 과납. (세금 등을) 필요 이상으로 납부함; 『문어』 가납; 선물 등을 윗사람이 기꺼이 받아들임
損なう
파손하다. 부수다. 망가뜨리다; (건강·기분·성질 등을) 상하게 하다; 살상(殺傷)하다. 1.2.〔동의어〕そこね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데 실패하다; 잘못 …하다; …할 기회를 놓치다; (하마터면) …할 뻔하다. 1.~4.〔동의어〕そこね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スピード
스피드; 속력. 속도; 매우 빠름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画面を指でタッチすることに伴う様々な障害からあなたを解放します
指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障害
『문어』 자해. 자결. 〔동의어〕自害; 생애; 일생. 평생; 일생의 어느 특별한 기간; 섭외; 상해; 장애; 방해; 「障害競走」의 준말
解放
병구완. 간호; 돌봄. 보호; 회보; 회보; 회장(回章); 차도. 병이 나아짐; 쾌보. 기분 좋은 소식. 좋은 소식. 〔동의어〕朗報; 개방; (문 등을) 열어 놓음; 제한을 풂.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함; 『수학』 개방. 근풀이; 해방. 〔반의어〕 束縛; 『문어』 회포; 마음속에 품음. 〔동의어〕抱懐
伴う
따라가다. 데리고 가다. 동반하다; 걸맞다. 어울리다; 따르다. 수반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画面
화면; 그림의 표면; 필름의 표면; (영화·텔레비전 등의) 영상
タッチ
터치; 닿음; 관계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 일을 함. 관여함; (그림이나 문장 등의) 붓놀림. 기법; (피아노 등의) 건반을 두드림. 또는 그 방법; 감촉
更にハンドの交換で様々なカスタマイズが可能
可能
『의학』 화농. 곪음; 『언어학』 가능태(可能態). ((「理解する」에 대하여 「理解できる」 따위)); 과납. (세금 등을) 필요 이상으로 납부함; 『문어』 가납; 선물 등을 윗사람이 기꺼이 받아들임
交換
공간. 간행하여 세상에 널리 폄; 공관; 공중이 사용하는 공공 건물; 관공서 건물. 특히, 영사관·공사관·대사관 등의 건물; 교환; 서로 바꿈; 「電話交換台」의 준말; 교감. (상대의 심정 등을) 서로 느낌; 교환. 교관. 서로 모여 함께 즐김; 광관. 코로나. 〔동의어〕コロナ2.; 광환. 무리. ((햇무리와 달무리)) 〔동의어〕暈; 『문어』 차츰 추워짐. 특히, 한중(寒中)으로 접어듦. 〔반의어〕 向暑. 〔참고〕 편지에서 쓰는 말; 호감. 〔동의어〕好感情; 『문어』 호한. 시원스럽고 호감이 가는 사나이. 〔동의어〕快男児; 『문어』 항간. 〔동의어〕ちまた·世間; 『문어』; 뒷날의 일까지 잘 생각함; 『문어』 후환. 뒤탈; 『문어』 감교(勘校). 고전(古典)의 간본(刊本)이나 사본을 서로 대조하여 잘못된 곳을 바로잡음; 강감(降鑑). 신령이 하늘에서 인간 세계를 지켜봄; 고관; 『문어』 공간. 지레. 〔동의어〕梃子; 강관. 강철관; 『문어』 호한; 넓고 큼. 〔동의어〕広大; 책이 많음. {문어·ナリ 활용 }; 『문어』 일본과 중국
更に
정도가 심해짐을 나타냄. 더 한층. 보다 더. 더욱더; 한번 더 반복하거나 새로 추가함을 나타냄. 거듭. 다시금. 새로이. 또 한 번. 〔동의어〕重ねて;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조금도. 전혀. 도무지. 두 번 다시
ハンド
「ハンドリング1.」의 준말.
左利きの方のための左手バージョン
方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左手
왼손; 왼편. 왼쪽. 1.2.〔반의어〕 右手
バージョン
(컴퓨터에서) 버전. 소프트웨어의 개정판
左利き
술이 셈. 술꾼. 호주객(好酒客). 〔동의어〕酒のみ. 〔참고〕 옛날 광산에서 오른손을 「槌手(망치 잡는 손)」 왼손을 「鑿手(정 잡는 손)」라 했는데, 「鑿手」와 발음이 같은 「飲み手(술꾼)」의 뜻을 갖게 한 말
親指、 小指、 猫の手、 孫の手
親指
엄지. 무지(拇指). 엄지손가락. 〔동의어〕母指
小指
소지. 새끼손가락. 새끼발가락. 〔참고〕 새끼손가락을 세워서 ‘처’ ‘첩’ ‘애인’ 등을 나타내기도 함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猫
『동물·동물학』 고양이; 《속어》 「三味線」의 딴이름. ((고양이 가죽으로 동체(胴體)를 메웠으므로)); 《속어》 芸者의 딴이름. ((「三味線」을 타므로)); 불을 담아 이불 속에 넣어서 쓰는 질화로. 〔동의어〕ねこあんか·ねこ火ばち; 「ねこぐるま」의 준말; 묵어서 못 먹게 된 가루
孫の手
(끝이 손처럼 된) 등긁이. 효자손.
更に奥の手も近日発表予定
予定
예정
発表
발표
更に
정도가 심해짐을 나타냄. 더 한층. 보다 더. 더욱더; 한번 더 반복하거나 새로 추가함을 나타냄. 거듭. 다시금. 새로이. 또 한 번. 〔동의어〕重ねて;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조금도. 전혀. 도무지. 두 번 다시
奥の手
오의. 비법. 〔동의어〕奥義; 최후 수단. 비장의 솜씨
近日
근일. 근간
またキーボードなど、 お手持ちのUSB 入力機も接続できます。
機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接続
접속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キーボード
키보드; 피아노·오르간의 건반; 계산기·타이프라이터의 글자판;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부호화(符號化)하는 입력키가 배열되어 있는 반(盤)의 번호
手持ち
현재 수중에 가지고 있음. 현재의 소유. 또는 그 물건.; 〈흔히,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무료함을 달래기 위한 짓.; (손질하여 잘) 보존함.
現在モバイル版も開発中
モバイル
모바일. 휴대 전화.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 통신.
現在
『기독교』 원죄; 현재; 〈副詞的으로도 씀〉 지금. 〔동의어〕今. 〔반의어〕 過去·未来; 『언어학』 현재형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開発
개발; 천연 자원을 산업·생활에 활용함; 연구하여 새로 만들어서 실용화함
版
범. 널리 전체에 걸침. 전(全). 〔동의어〕パン; 《関西(관서)방언》 《「さん」의 변한말》 …씨. …님. 〔동의어〕さん; 범; 그 죄명 또는 범인임을 나타냄; 수형(受刑) 횟수를 나타냄; 반. 반점. 〔동의어〕まだら; 「反切」의 준말; 『철학』 반정립(反定立). 안티테제. 〔동의어〕アンチテーゼ. 〔반의어〕 正; 반. 〔동의어〕アンチ; 반. 절반. 〔동의어〕なかば; 홀수. 기수. ((노름판 등에서 씀)) 〔반의어〕 丁; 반 시간; 반. 반쯤. 절반. 불완전. 상당히. 거의; 인장(印章). 도장. 〔동의어〕はんこ; 판정. 판단; 수결(手決). 〔동의어〕花押; 판형(判型). 종이·책의 크기; ⇒ ばん; 판; 판목. 판화; 인쇄판; 한 서적의 발행 횟수; 《接尾語적으로도 씀》 반; 『문어』 번거로움; 모범. 본보기. 〔동의어〕手本; 《歴》 江戸 시대, 大名가 지배한 영지·인민·통치 기구의 총칭
これからは外出先でも気軽にマジックハンドが使えます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外出
외출. 나들이
気軽
(점잔을 빼거나 하지 않고) 선선함; 깊이 생각하지 않음. 가볍게 행동함. {문어·ナリ 활용 }
先
끝; 앞. 선두; 그곳으로부터 떨어진 곳. 전방; 행선지. 목적지; (장사나 교섭의) 상대편; 앞날. 장래. 전도; 먼저; 이전. 과거. 〔반의어〕 あと·のち; 이어지는 부분. 남은 부분; 『문어』 복. 행복. 〔동의어〕さち; 꽃이 핌. 개화(開花); 산부리. 〔동의어〕ではな; 좌기. (세로쓰기 문장에서) 다음에 적음
マジック
「マジックインキ」의 준말
ハンド
「ハンドリング1.」의 준말.
思い通りの日本語入力をタッチパネルでも
思い通り
생각대로. 생각한 대로임. 〔동의어〕思った通り
日本語
『언어학』 일본어. 일본말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タッチパネル
터치 패널. 손가락으로 터치해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패널.
グーグル日本語入力
日本語
『언어학』 일본어. 일본말
入力
입력; 『공업·공학』 기계·기구(機構) 등에 주어지는 에너지나 신호; (일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 안에 투입하는 인력
国内初 ドローン レベル4飛行で郵便配達実験(2023年3月28日)
What is produced from industrial waste treatment - pollutant or hope? | Noriko Ishizaka | TEDxUTokyo
太陽光発電の管理をAIで効率化 自動でデータ検証(2021年6月8日)
【速報】ハマス・イスラエルが合意した4日間の一時休戦の期間が始まる(2023年11月24日)
ヒツジ飼いと海
東京の新たな感染者は2人 68日ぶりに3人未満(20/05/23)
独自に学校開け子ども受け入れ 共働き保護者は安堵(20/03/02)
10月の農林水産物輸出 中国の禁輸など影響しマイナスに(2023年12月5日)
アンダーアーマー
「線状降水帯」めぐりデータベースを整備 気象庁(2022年10月25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