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たな修学旅行先はシンガポールで、来年6月から9月ごろに3泊5日の日程で実施される予定です。
All public middle schools in Minato Ward Next year's school trip is expected to go to Singapore This year's cost is in the range of 70,000 yen [Want to know] (2023/09/04)
104 view新たな修学旅行先はシンガポールで、来年6月から9月ごろに3泊5日の日程で実施される予定です。
対象は、港区立中学校3年生の全生徒およそ760人です。
「英語を活用した体験ができる」「治安が安定している」などの理由からシンガポールが選ばれました。
すべての区立中学校で海外修学旅行を実施するのは都内で初めてで、全国的にも珍しいということです。
生徒の負担額は今年度まで実施している京都・奈良などへの修学旅行でかかる7万円以内に収めるといいます。
SNS上では「さすが金持ち自治体の港区」「正直、そのお金を別のことに使ってほしい」といった声もありました。
新たな修学旅行先はシンガポールで、来年6月から9月ごろに3泊5日の日程で実施される予定です。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予定
예정
新た
새로움. 생생함. {문어·ナリ 활용 }
実施
살아날 가망이 거의 없음. 매우 위태로움. 죽음을 면할 수 없는 상태. 〔동의어〕じゅっし; 십지; 열 손가락; (변하여) 여러 사람의 손가락; 실자. 친자식(親子息). 〔동의어〕生みの子. 〔반의어〕 養子·義子·継子; 실자. 친언니. 또는 친누님. 〔반의어〕 義姉; 실시. 〔동의어〕実行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日程
일정. 매일[그날]의 예정; 일제. 일본 제국주의
先
끝; 앞. 선두; 그곳으로부터 떨어진 곳. 전방; 행선지. 목적지; (장사나 교섭의) 상대편; 앞날. 장래. 전도; 먼저; 이전. 과거. 〔반의어〕 あと·のち; 이어지는 부분. 남은 부분; 『문어』 복. 행복. 〔동의어〕さち; 꽃이 핌. 개화(開花); 산부리. 〔동의어〕ではな; 좌기. (세로쓰기 문장에서) 다음에 적음
来年
내년. 명년. 〔동의어〕明年. 〔반의어〕 去年
泊
백. 하양; 대사(臺詞). 〔동의어〕せりふ; 「伯剌西爾」의 준말; 『문어』 명주. 비단; 박. 박자. 박자수; 『문어』 (여관 등에서) 묵음. 숙박. 외박; 박. 숙박한 수; 『문어』 넓음. 널리 미침; 〈接尾語적으로도 씀〉 「博士」의 준말; 〈接尾語적으로도 씀〉 「博覧会」의 준말; 박; 금속을 종이처럼 얇게 늘인 것. 금박·은박 등; 관록; 『문어』; 달의 바다 부분. 월면의 검게 보이는 부분; 뱉다. 토하다. 게우다. 내쉬다; 뿜어내다. 내뿜다; 토로하다. 말하다. 【가능동사】 は·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허리에 차다. 〔동의어〕おびる. 【가능동사】 は·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하의를) 입다; (양말·足袋 등을) 신다. 1.2. 〔반의어〕 脱ぐ. 【가능동사】 は·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쓸다. 비질하다; (솔·붓 등으로) 칠하다; 갓 깬 애누에를 잠란지(蠶卵紙)에서 옮기다. 〔참고〕 2.는 「刷く」로도 씀. 【가능동사】 は·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구두 등을) 신다. 〔반의어〕 脱ぐ. 【가능동사】 は·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修学旅行
수학 여행
シンガポール
『지리·지학·지명』 싱가포르. 말레이 반도의 남쪽 끝에 있는 공화국. 《수도는 싱가포르(シンガポール)》
対象は、港区立中学校3年生の全生徒およそ760人です。
中学校
『교육』 중학교; 구(舊)제도에서, 소학교 졸업 후 5년간의 고등 보통 교육을 시행한, 의무제가 아닌 남자 학교
港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およそ
대체적인 것. 대개. 대강. 개략. 〔동의어〕おおよそ·あらまし; 대강. 대충. 대체로. 〔동의어〕だいたい; 도무지. 전혀. 전연. 아주. 〔동의어〕全く; 일반적으로. 무릇. 〔동의어〕そもそも
全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対象
大正天皇 시대의 연호. ((1912년~1926년)); 『문어』 솜씨가 뛰어난 장인(匠人). 명장(名匠); 『역사』 「近衛府」의 장관. 〔참고〕 「だいしょう」로도 읽음; (군대 계급의) 대장; (어떤 집단 등의) 두목. 우두머리. 〔동의어〕頭·親分; 동배나 손아랫사람을 정답게 또는 얕잡아 부르는 말; 대소. 크게 웃음. 〔동의어〕おおわらい; 대승. 대첩. 〔반의어〕大敗; 『문어』 조칙(詔勅). 조서. 〔동의어〕詔勅; 대상. 그랑프리. 〔동의어〕グランプリ; 범선의 제일 큰 돛대. 메인 마스트. 〔동의어〕メーンマスト; 『문어』 음력 9월의 딴이름; 대칭; 서로 대응하여 균형을 이룸; 『언어학』 제2인칭; 대상; 『철학』 인식 작용의 목적이 되는 것. 객관; 목표. 상대. 〔동의어〕目当て; 대조; 대상. 〔동의어〕キャラバン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生徒
생도. 특히 중·고교 학생. 〔참고〕 소학교에서는 「児童」, 대학에서는 「学生」라 함; 『문어』 정도. 원정(遠征) 길; 『문어』 성두. 성신(星辰). 별; 성도; 『기독교』 기독교도; 『천주교』 성인·복자(福者) 등으로서 인정된 신도; 『문어』 성도. 신성한 도시
年生
연생; 학년; 중의원(衆議院)의 당선 회수; 『식물·식물학』 싹이 나서 생장해서 시들 때까지의 사이클; 점성. 끈끈한 성질; 『식물·식물학』 임성. 식물로서 열매를 맺을 수 있는 일. 〔반의어〕 不稔性
「英語を活用した体験ができる」「治安が安定している」などの理由からシンガポールが選ばれました。
理由
이유; 까닭. 〔동의어〕わけ; 『철학』 근거. 인식 근거
安定
안정
活用
활용; 이용; 『언어학』 用言·助動詞의 어미 변화
治安
치안
体験
『지리·지학·지명』 대권. ((지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지표가 만나 이루는 원)) 〔동의어〕大円; 대권. (일본 구헌법에서) 천황이 행사하던 통치권; 『문어』 대현. 아주 현명함. 또는 그런 사람. 〔반의어〕 大愚; 체험; 대검. 칼을 참. 또는 그 칼. 〔동의어〕佩刀
英語
영어; 『문어』 영오. 깨달음이 빠름. 뛰어난 총명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シンガポール
『지리·지학·지명』 싱가포르. 말레이 반도의 남쪽 끝에 있는 공화국. 《수도는 싱가포르(シンガポール)》
すべての区立中学校で海外修学旅行を実施するのは都内で初めてで、全国的にも珍しいということです。
中学校
『교육』 중학교; 구(舊)제도에서, 소학교 졸업 후 5년간의 고등 보통 교육을 시행한, 의무제가 아닌 남자 학교
珍しい
《「愛す」에서 파생된 말》 드물다. 희귀하다. 이상하다. 별나다. 신기[희한]하다. めずら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めずらし·げ 【형용동사】 めずらし·さ 【명사】 【문어형】 めづら·し {シク 활용}
海外
해외. 〔반의어〕 海内
実施
살아날 가망이 거의 없음. 매우 위태로움. 죽음을 면할 수 없는 상태. 〔동의어〕じゅっし; 십지; 열 손가락; (변하여) 여러 사람의 손가락; 실자. 친자식(親子息). 〔동의어〕生みの子. 〔반의어〕 養子·義子·継子; 실자. 친언니. 또는 친누님. 〔반의어〕 義姉; 실시. 〔동의어〕実行
全国
전국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都内
수도의 안. 도시의 안; 東京都 안의 중심 지역. ((23개 구(區))) 〔반의어〕 都下
修学旅行
수학 여행
生徒の負担額は今年度まで実施している京都・奈良などへの修学旅行でかかる7万円以内に収めるといいます。
以内
이내
額
『문어』; 학문; 학식. 식자(識字); 배움; 음악; 能楽에서, 무악(舞樂)의 기법을 도입한 춤; 『식물·식물학』 악. 꽃받침. 〔동의어〕うてな; 액. 액수. 금액; (사진·그림 등의) 틀. 액자. 또는 편액(扁額). 현판(懸板)
円
염; 『화학』 불꽃. 〔참고〕 「焰」으로도 씀; 『의학』 염증; 원; 사람이 들어가 관상하거나 즐기는 정원이나 장소; (아동을 위한) 보호 및 교육 시설; 밭. 〔참고〕 1.~3.은 「苑」으로도 씀; 원. 동그라미; 『수학』 원; 일본의 화폐 단위. 엔. ((銭의 100배)); 『문어』 원. 원죄(寃罪). 억울한 죄. 〔동의어〕冤罪·ぬれぎぬ; 『문어』 연회. 잔치. 주연(酒宴). 〔동의어〕うたげ; 『화학』 염. 산(酸)과 염기(塩基)의 중화 작용으로 생기는 이온 화합물; 연; 『불교』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원인·조건; 운명. 인연. 〔동의어〕めぐり合わせ; (부부·육친 간의) 인연. 연분; 계기. 기회; (일본 건축에서) 마루. 툇마루. 〔동의어〕縁側·ぬれ縁; 『문어』; 성적(性的) 감각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이 있음.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収める
넣다. 담다. 간수하다. 챙기다; 받다. 받아들이다; (금품을) 납부하다. 바치다. 납품하다. 〔참고〕 「納める」라고 씀; 〈接尾語적으로도 씀〉 끝내다. 마치다. 그만두다. 멈추다. 〔참고〕 「納める」라고 씀; (소란·감정 등을) 진정시키다. 가라앉히다. 〔참고〕 「治める」로도 씀; (결과를) 얻다. 거두다. 손에 넣다; 거두다. 모으다. 취합하다. 【문어형】 をさ·む {하2단 활용}; (소란·감정 등을) 진정시키다. 가라앉히다. 수습하다. 〔참고〕 「収める」로도 씀; 다스리다. 지배하다; 치료하다. 고치다. 【문어형】 をさ·む {하2단 활용}; (심신·행실을) 닦다. 수양하다; (학문·기예 등을) 익히다. 닦다. 수학(修學)하다. 【문어형】 をさ·む {하2단 활용}
実施
살아날 가망이 거의 없음. 매우 위태로움. 죽음을 면할 수 없는 상태. 〔동의어〕じゅっし; 십지; 열 손가락; (변하여) 여러 사람의 손가락; 실자. 친자식(親子息). 〔동의어〕生みの子. 〔반의어〕 養子·義子·継子; 실자. 친언니. 또는 친누님. 〔반의어〕 義姉; 실시. 〔동의어〕実行
かかる
『문어』 이러한. 이와 같은; 관계되다; (어떤 사람의 행위에) 의하다. 힘입다; 『언어학』 (뒤의 어구·문절을) 수식하다. 〔반의어〕 うける. 【가능동사】 かか·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걸리다. 매달리다. 〔참고〕 「懸る」로도 씀; 회부되다. 상정되다; 얹히다. 걸쳐지다; 〈「手に~」 「人手に~」의 꼴로〉살해되다; 걸려들다. 빠지다; 내걸리다; 찔리다; 마음에 걸리다; 소요되다; 의존하다. 의탁하다; 치료[진찰] 받다; 끼치다. (폐 등을) 입다. 받다; 튀다; 〈「かさに~」의 꼴로〉 위압적인 태도로 나오다; 끼다; (말 등이) 걸려오다; 덤벼들다. 공격하다; (스위치 등의 작용이) 가해지다. 작동[가동]하다; 가설되다. (걸치어) 놓이다. 걸리다. 〔참고〕 흔히 「架かる」로 씀; (연극·영화 등이) 상연[상영]하다; 잠기다. 채워지다; 저울에 달리다. 무게가 나가다; 우승이나 현상 등이 걸리다. 좌우되다. 〔참고〕 흔히, 「懸る」로 씀; 교미하다. 붙다; (끈 등이) 동여지다. 묶이다; 이르다. 접어들다; 메다; 부과되다. 매겨지다; 기대다; …하기 시작하다. 착수하다; 〈흔히,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처음부터 그런 생각에서, 또는 그렇게 굳게 믿고 일에 대처하는 뜻을 나타냄; 임시로 마련하다; 정박(碇泊)하다. 〔참고〕 「懸る」로도 씀; 〈「お目に~」의 꼴로〉 만나뵙다. 【가능동사】 かか·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마침 …하다; 바야흐로 …하게 되다. …하려 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병에) 걸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生徒
생도. 특히 중·고교 학생. 〔참고〕 소학교에서는 「児童」, 대학에서는 「学生」라 함; 『문어』 정도. 원정(遠征) 길; 『문어』 성두. 성신(星辰). 별; 성도; 『기독교』 기독교도; 『천주교』 성인·복자(福者) 등으로서 인정된 신도; 『문어』 성도. 신성한 도시
万
판. 종이·책·필름 등의 크기. 〔참고〕 「はん」이라고도 함; 판; 출판(물); …에 있어서의. …풍으로 개작한; (신문에서) 지방판; 순서. 순번. 차례; 망을 봄. 또는 그 사람; (여러 개를 비치하여 번호를 붙여 두는 데서) 평소에 쓰는 질이 낮은 물건; 번. 순위. 번호; 승부·대진(對陣)·짝짓기 등의 횟수. 판;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문어』 접시; (바둑·장기 등의) 판; 레코드판. 음반;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물건을 장치하는 판자 모양의 대. 반; 『조류』 쇠물닭; 널. 판자. 금속판; 저녁; 밤; 『불교』 번. 부처·보살의 권위나 힘을 나타내는 장식으로서 절의 경내나 법당 안에 올리는 기;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만에 하나라도. 전혀. 결코; 아무리 해도. 어떻게 해도. 도저히
負担
부담; 어떤 일의 의무·책임을 맡음; 힘에 넘치는 일. 무거운 짐
京都
『문어』 흉도. 흉악한 짓을 하는 사람. 또는 그 일당; 교도; 『지리·지학·지명』; 京都府의 남동부에 위치한 시. 平安京 이후 明治 유신 전까지 일본의 수도였음
修学旅行
수학 여행
今年度
금년도. 올해의 연도
SNS上では「さすが金持ち自治体の港区」「正直、そのお金を別のことに使ってほしい」といった声もありました。
別
구별. 차별; 『문어』 이별; 같지 않음. 다름. {문어·ナリ 활용 }; 제외. 문제 밖; 별. 구별; 별. 서법(書法)의 한 가지. 왼쪽 삐침. ((「人」자의 첫째 획 등)); 『동물·동물학』 별. 자라. 〔동의어〕すっぽん
港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金持ち
부자. 재산가
正直
정직(함). しょう-じき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정직하게 말해서. 솔직히 말하자면. 사실은
区
《고어》 《活用語에 붙어 名詞화함》 …하는 일. ((현재는 복합어로서 약간 남아 있을 뿐이며, 副詞적으로 쓰임. 「いわ~」 「おもわ~」 「願わ~は」 「安け~」 등)) 〔참고〕 動詞에서는 連体形의 끝 음이 「ア」열(列)의 음으로 변한 꼴에, 形容詞에서는 끝 음이 「け」로 변한 꼴에 붙음; 구.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きゅう; 『불교』 입. 말; 인원수·기구(器具) 등을 세는 말. 개; 구; 법령 집행을 위하여 마련된 구획. ((선거구·학구 등)); 대도시에서 행정상의 구획의 하나; 구. 지역; 『언어학』 구. (문장의) 구절; 『언어학』 시가·문장의 한 문절; 『언어학』 관용구; 『언어학』 和歌·俳句·한시(漢詩) 등의 구. 구절; ⇒ 俳句; 連歌의 구절 및 俳句 등을 세는 말. 구절; 괴로움. 고통. 〔반의어〕 楽; 노고(勞苦). 고생. 곤란; 근심. 걱정. 고민; 『문어』 몸. 몸뚱이. 〔동의어〕身; 불상(佛像)을 세는 말. 좌(座). 〔동의어〕体; 『문어』 두려워함. 두려움; 『문어』 《「来る」의 文語》; 가다. 〔참고〕 옛날에는 命令形에 「よ」가 딸리지 않고 「こ」라고만 썼음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自治体
자치체. 자치 단체. 〔동의어〕自治団体
ほ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ジェットスター労組 スト2日目も継続(2023年12月23日)
1週間睡眠を取らなかったら、どうなる?
【セブンイレブン 新商品】牛乳パン(シャージー牛乳使用)食べてみた
【心理テスト】7つの質問でわかる霊感診断あなたは霊感強いですか?
石川・輪島市の日本航空学園 遠く離れた山梨で卒業式(2024年3月3日)
激闘!?初売り“福袋バトル”密着 外国人も熱視線(18/01/02)
「GoToトラベル」高級宿に恩恵 他施設に比べ約3倍(2020年12月30日)
上海市民の“お買い物行列”動画拡散 「まるで小学生の遠足」(2022年5月6日)
トヨタ、在宅勤務制度を拡充へ 工場従業員も検討(20/07/02)
動物を選ぶと当たる!あなたにピッタリの仕事はなに?深層心理は知っている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