翻訳: Claire Ghyselen 校正: Reiko Bovee
翻訳: Claire Ghyselen 校正: Reiko Bovee
おはようございます 藤山晃太郎と申します
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
(拍手)
皆様はご存知でしょうか
日本には 江戸時代から 現代に至るまで
ずっと続いている 独特なマジックがあります
それは 手妻(てづま)といいます
手妻の特徴は 普通の不思議さ というものに加えまして
見立てがあること それから ストーリーがあることがあります
この見立てというのは
何かを別の物に見立てる という意味ですが
たとえば これから ご覧いただきますのは
よじった紙を生きた蝶に 見立てるということです
この見立てというところで 非常に大事なのは
お客様に想像の余地を残すことです
形は非常にシンプルなので
これを見たお客様の頭の中にある
まさに その物が舞台に 現れてくるという事です
ストーリーというのは 蝶の一生を語ります
蝶が生まれ 羽ばたき そして 夫婦になった後で
やがて 死んでしまう
死んだ後に たくさんの子の蝶が舞って行く
この命の移り変わりというのは 無常観といって
日本の芸術や 文学に 多くみられるものです
蝶の一生を通じて 人の一生を
見立てるというのが この芸でございます
どうぞ お楽しみください
江戸手妻のうちより 蝶の戯れをご覧いただきます
(音楽)
翻訳: Claire Ghyselen 校正: Reiko Bovee
翻訳
번역
校正
공정. こう-せ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음악』 교성; 향성; 고착(固着) 생활을 하는 생물의 기관이 외부의 자극을 받아 일정 방향으로 굽는 성질. 〔참고〕 식물의 경우는 「屈性」로 쓰는 경우가 많음; 『문어』 날씨가 맑게 갬. 쾌청. 〔동의어〕快晴; 공세. 〔반의어〕 守勢; 경정. 고쳐서 바로잡음; 갱생; 본래의 바른 상태로 돌아감. 또는 과거를 청산하고 생활 태도를 고침; 폐품을 다시 쓸 수 있게 함. 재생(再生). 재활용; 후세; 『문어』 후생; 뒤에 태어남. 또는 그 사람. 〔반의어〕 先生; 자기보다 후에 배우는 사람. 후배. 후진. 〔참고〕 「ごしょう」는 딴말임; 『천문』 항성. 붙박이별. 〔반의어〕 惑星; 교정; 고성. 큰 소리. 높은 소리. 〔동의어〕大声; 소생. 갱생. 〔동의어〕更生. 〔참고〕 「そせい」의 관용음(慣用音); 경성. 단단한 성질. 〔반의어〕 軟性; 구성; 강제. 강철제. 강철 제품. 〔동의어〕鋼鉄製; 광세. 세상에 드묾; 후생. 생활을 넉넉하고 윤택하게 함
おはようございます 藤山晃太郎と申します
太郎
장남. 또는 장남에게 흔히 붙이는 이름.; 동류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 가장 큰 것. 첫째의 것에 붙이는 이름.
申す
《고어》 ⇒ もうす
おはよう
동배나 손아랫사람에 대한 아침 인사말. 안녕하시오. 잘 잤니. 〔참고〕 공손한 말은 「おはようございます」. 방송·연예계에서는 시간에 관계없이 그날 처음 만났을 때 주고받음
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
(拍手)
拍手
신에게 배례할 때 손바닥을 마주 쳐서 소리를 냄. 박장(拍掌). 〔참고〕 소리를 내지 않게 합장함은 「しのびで」라 함; 《고어》; 옛날, 궁중에서 천황의 수라상이나 잔칫상을 주관하던 사람. 〔참고〕 옛날, 떡갈나무잎에 음식을 담았던 데서 온 말
皆様はご存知でしょうか
皆様
〈代名詞적으로도 씀〉 여러분; 상대편의 가족에 대한 높임말
日本には 江戸時代から 現代に至るまで
時代
차대. 다음 대(代). 다음 시대; 지대. 〔동의어〕ちだい; 땅값. 지가(地價); 『문어』 자대. 스스로 잘난 체함; 『문어』 사대. 약자가 강자를 섬김; 시대; 시절. 시기; 당시. 당대; 예스러움. 구식. ((좋은 뜻으로도, 야유 섞인 뜻으로도 씀)); 「時代物」의 준말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至る
(어떤 장소·시간에) 다다르다. 당도하다. 도달하다. 〔동의어〕とどく·達する; (어떤 단계나 상태로) 되다; 구석구석까지 미치다. (특히 주의나 대우 등이) 고루 미치다; 찾아오다. 닥치다. 도래하다. 【가능동사】 いた·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現代
원제; 현대
江戸
東京의 옛일컬음. 江戸 시대의 幕府의 소재지; 『불교』 예토. 더러운 땅. 즉, 범인(凡人)이 살고 있는 곳. 이승. 속세. 현세. 〔반의어〕 浄土
ずっと続いている 独特なマジックがあります
続く
이어지다. 계속되다; (같은 일이) 잇따르다. 끊이지 않다; 뒤따르다; 버금가다. 다음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独特
독특함. {문어·ナリ 활용 }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マジック
「マジックインキ」의 준말
それは 手妻(てづま)といいます
手妻
(손끝으로 하는 일이라는 뜻에서) 마술. 요술. 〔동의어〕手品
てづま
(손끝으로 하는 일이라는 뜻에서) 마술. 요술. 〔동의어〕手品
手妻の特徴は 普通の不思議さ というものに加えまして
普通
불통; 보통. {문어·ナリ 활용 }; 보통. 대개. 일반적으로
特徴
특장. 특유의 장점. 특색; 특징. 〔참고〕 「特長」가 좋은 뜻으로 쓰이는 데 대해, 「特徴」는 흔히 좋은 뜻으로 쓰이기는 하지만 나쁜 뜻으로도 씀
不思議
불가사의(不可思議); 이상함. 희한함. 괴이함. ふ-しぎ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ふ-しぎ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加える
보태다. 더하다. 가하다; 늘리다. 더하다; 넣다. 가입시키다; 덧붙이다. 첨가하다; 주다. 끼치다. 입히다. 베풀다. 【문어형】 くは·ふ {하2단 활용}; 데리고 가다. 동반하다. くは·ふ {하2단 활용}
手妻
(손끝으로 하는 일이라는 뜻에서) 마술. 요술. 〔동의어〕手品
見立てがあること それから ストーリーがあることがあります
それから
그리고. 그 다음에. 그리고 나서; 게다가. 또; 그 이후
ストーリー
스토리; 이야기; 소설·각본·영화 등의 줄거리
見立て
보고 고름. 선정(選定); 俳諧에서, 다른 것에 비유하는 표현법; 《「み」는 接頭語》 천황을 지키는 군대. ((군인을 방패에 비유한 말))
この見立てというのは
見立て
보고 고름. 선정(選定); 俳諧에서, 다른 것에 비유하는 표현법; 《「み」는 接頭語》 천황을 지키는 군대. ((군인을 방패에 비유한 말))
何かを別の物に見立てる という意味ですが
別
구별. 차별; 『문어』 이별; 같지 않음. 다름. {문어·ナリ 활용 }; 제외. 문제 밖; 별. 구별; 별. 서법(書法)의 한 가지. 왼쪽 삐침. ((「人」자의 첫째 획 등)); 『동물·동물학』 별. 자라. 〔동의어〕すっぽん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意味
부정(不淨)이나 불길한 방향 등을 꺼림; 재계(齋戒); 거상(居喪). 복상(服喪); 의미; 말뜻; (표현이나 행동의) 의도. 까닭; 가치. 의의. 보람; 취지·목적·내용
物
人形浄瑠璃의 각본에서 歌舞伎로 옮겨간 狂言. 〔동의어〕義太夫狂言·丸本物
見立てる
보고 고르다; 보고 판단하다. 감정(鑑定)하다. 진단하다; 비유하다. 비기다. 【문어형】 みた·つ {하2단 활용}
たとえば これから ご覧いただきますのは
いただく
머리에 얹다. 이다. 쓰다; 받들어 들다. 높이 쳐들다; 받들다. 모시다. 우러러 섬기다; 〈「もらう」의 겸사말〉 얻다. 〔동의어〕ちょうだいする; 〈「飲む」 「食べる」의 겸사말〉 마시다. 먹다. 들다. 【가능동사】 いただ·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もらう」의 겸사말〉 고마운 일을 남에게서 받는 뜻을 나타냄; 〈상대에게 부탁해서 자기가 무엇인가를 하도록 허가를 받는 뜻을 나타냄. 「させて~」의 꼴로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よじった紙を生きた蝶に 見立てるということです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紙
위. 위쪽. 〔반의어〕 下; 상류. 〔동의어〕川上. 〔반의어〕 下; 앞부분. 앞. 첫머리; 초(初). 처음. 상순(上旬). 〔반의어〕 下; 이전. 예전. 옛날; 지체가 높은 분; 군주. 〔동의어〕天皇. 〔반의어〕 下; 〈흔히 「お~」의 꼴로〉 주군(主君). 주인; 〈흔히 「お~」의 꼴로〉 조정. 정부; 윗자리. 상좌(上座). 상석(上席). 〔반의어〕 下; 궁궐(宮闕)이 있는 곳. 즉 京都. 또는 그 지방. 〔반의어〕 下; 특히 京都 시내에서 북쪽; (부엌에 대하여) 안(쪽) 〔반의어〕 下; 객석에서 볼 때 무대의 오른쪽. 〔동의어〕上手. 〔반의어〕 下; 『역사』 대신(大臣). 대장(大將). 태수(太守). 수령(守令). (중앙·지방 관청의) 장관. 〔참고〕 관청에 따라 「頭·督·伯·正·大夫」 등으로도 썼음. 읽기는 모두 「かみ」; 신. 하느님. 신령. 특히, 부처에 대한 神道의 신; (가위바위보에서) 보. 〔동의어〕ぱあ. 〔반의어〕 石·はさみ; 머리털. 머리칼. 머리. 〔동의어〕頭髪; 손질한 머리 모양. 〔동의어〕髪形; 『문어』 가미; (음식에 다른 조미료 등을 넣어) 맛을 더함; (비유적으로) 어떤 것에 다른 것의 요소를 덧붙이거나 곁들이는 일; 가미; 좋은 맛. 진미(珍味). 훌륭한 맛; (비유적으로) 재미. 〔동의어〕面白み
見立てる
보고 고르다; 보고 판단하다. 감정(鑑定)하다. 진단하다; 비유하다. 비기다. 【문어형】 みた·つ {하2단 활용}
この見立てというところで 非常に大事なのは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非常
비상; 비상. 예사가 아님. 대단함. 심함. {문어·ナリ 활용 }; 『불교』 산천(山川)·목석(木石) 등 감정을 가지지 않은 존재. 〔반의어〕 有情
見立て
보고 고름. 선정(選定); 俳諧에서, 다른 것에 비유하는 표현법; 《「み」는 接頭語》 천황을 지키는 군대. ((군인을 방패에 비유한 말))
お客様に想像の余地を残すことです
残す
남기다. 남게 하다. 남겨 두다; 후세에 전하다; 돈을 모으다. 여유를 만들다; (씨름에서) 상대의 공세를 씨름판 가에서 버티어 내다. 견디어 내다. 【가능동사】 のこ·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想像
송상. (텔레비전의) 영상을 전파로 바꾸어 보냄. 〔반의어〕 受像; 창조; 상상
余地
예지. 미리 앎; 여지; 들어설 수 있는, 또는 이용할 수 있는 빈 땅; 그 일을 할 수 있는 기회. 여유; 『문어』 여지. 대지(大地). 전세계
形は非常にシンプルなので
形
굳은. 딱딱한; (한 쌍 중의) 한쪽. 짝. 편; (둘이 있어야 할 것 중의 한쪽을 가리키는) 짝. 외; 불완전함; 한쪽에 치우침; 약간. 조금; 형. 모양. 형상. 〔동의어〕かたち; 저당. 담보. 〔동의어〕抵当; 흔적. 자국; 어깨; 어깨와 비슷한 부분. 산꼭대기에 가까운 평평한 부분; 옷의 어깨 부분; 물건 위쪽의 모서리 부분; 형. 본. 틀. 거푸집. 골; 무도(武道)·예도(藝道)·운동 등의, 규범이 되는 동작이나 일정한 형(型). 폼. 〔동의어〕フォーム; 습관으로 정해진 형식. 틀. 관례; 전형(典型). 형. 유형(類型). 〔동의어〕タイプ·パターン; 크기. 사이즈; 『지리·지학·지명』 사구(砂丘) 등으로 바다와 분리되어 생긴 호수나 늪. 석호(潟湖). 〔동의어〕せきこ; 개펄. 간석지(干潟地). 〔동의어〕ひがた; 《関西(관서)방언》 만(灣); 『문어』 과다. 퍽 많음. {문어·ナリ 활용 }; 분. ((남에 대한 높임말)); 『문어』 방향. 방위. 쪽. 편. 〔동의어〕むき·方位; 『문어』 즈음. 시절. 무렵. 시대. 〔동의어〕ころ·時分; 『문어』 장소. 곳; 『문어』 〈흔히 否定語가 따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방법. 수단; 둘 가운데 한쪽. 편; 담당자. 〔동의어〕係; 〈남의 이름에 붙어〉 그 사람 집에 의지하고 있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방법. 수단; 〈動詞의 連用形이나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을 함. …하기; 사람을 셀 때의 높임말. 분. ((「おひとかた(한 분)」 「おふたかた(두 분)」 「おさんかた(세 분)」의 꼴로만 씀)); 『문어』 과다함. 〔반의어〕 過少. {문어·ナリ 활용 }
非常
비상; 비상. 예사가 아님. 대단함. 심함. {문어·ナリ 활용 }; 『불교』 산천(山川)·목석(木石) 등 감정을 가지지 않은 존재. 〔반의어〕 有情
シンプル
심플; 단순함. 간단함; 소박함. 검소함
これを見たお客様の頭の中にある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頭
머리. 두부(頭部). 〔동의어〕かしら·こうべ; 두뇌. 지능. 사고력. 생각; 머리카락. 머리털. 〔동의어〕髪の毛; 머릿수. 인원수. …당(當). 〔동의어〕頭数; 우두머리. 두령. 두목. 〔동의어〕かしら; (물건의) 꼭대기. 대가리; 처음. 시작. 선두; (이익금이나 건네주는 돈 등의) 몫. 일부. 구전. 구문. 〔동의어〕上前; 대인(對人) 자세; 《「ひとり」의 뒤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사람을 단위로 함을 나타냄. 〔동의어〕あたり
まさに その物が舞台に 現れてくるという事です
舞台
부대; (변하여)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행동을 함께하는 사람들의 집단; 무대; 연극·무용 등을 해 보이는 곳; 1.에서의 연기·동작(모습); 활동 장소. 솜씨를 발휘해 보이는 곳
まさに
확실히. 틀림없이. 정말로. 바로. 〔동의어〕たしかに; 꼭 들어맞는 모양. 꼭. 딱. 완전히. 〔동의어〕ちょうど·ぴったり; 이제 막. 바야흐로. 〔동의어〕ちょうど今. 〔참고〕 3.은 「将に」로도 씀; 〈「~…すべし」의 꼴로〉 반드시. 꼭. 필히. 마땅히. 〔동의어〕必ず·きっと. 〔참고〕 4.는 「当に」로도 씀; 《고어》 〈反語적 표현과 함께 「~…や」의 꼴로〉 왜 …느냐. 어찌 …하랴. 〔동의어〕どうして…しようか
現れる
나타나다. 출현하다. 〔참고〕 보통 「現れる」로 씀; (감정·생각·경향 등이) 저절로 나타나다. 〔참고〕 흔히 「表れる」로 씀; 노출되다. 드러나다; 알려지다. 〔참고〕 흔히 「現れる」로 씀. 「顕れる」로도 씀. 【문어형】 あらは·る {하2단 활용}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物
人形浄瑠璃의 각본에서 歌舞伎로 옮겨간 狂言. 〔동의어〕義太夫狂言·丸本物
ストーリーというのは 蝶の一生を語ります
一生
한 되; 일생. 평생. 한평생. 〔동의어〕生涯·一生涯; 평생에 한 번뿐일 것 같은 중요한 일; 겨우 살아남[연명함]; 『문어』 일장. 한 장군; 일소. 조금 웃음. 빙그레 웃음; 하나의 웃음거리로 삼음. 하나의 웃음거리; 일명. 딴이름. 별칭
語る
말하다. 이야기하다; (어떤 사실을) 잘 나타내다; (浄瑠璃·浪曲 등에서) 가락을 붙여 낭독하다. 【가능동사】 かた·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금품을) 속여서 빼앗다. 편취하다. 사취하다; 사칭하다. 속이다. 〔동의어〕いつわる. 【가능동사】 かた·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ストーリー
스토리; 이야기; 소설·각본·영화 등의 줄거리
蝶が生まれ 羽ばたき そして 夫婦になった後で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夫婦
부부. 〔동의어〕めおと
そして
⇒ そうして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生まれる
태어나다. 출생[탄생]하다. 〔반의어〕 死ぬ; 만들어지다. 새로 생기다; (어떤 감정·효과 등이) 생기다. 발생하다. 【문어형】 うま·る {하2단 활용}
やがて 死んでしまう
やがて
이윽고. 머지않아. 얼마 안 있어; 이럭저럭. 대충; 『문어』 즉. 곧. 결국은; 『문어』 이어. 바로. 당장에. ((예스러운 말))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死んだ後に たくさんの子の蝶が舞って行く
子
《体言·形容詞 등의 앞에 붙음》; (모양이) 작은; (수량·정도가) 작은. 약간의. 잔; 깔보는 뜻을 나타냄; 근(近). 거의; 〈흔히 신체 부분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그 동작을 가볍게 하는 뜻을 나타냄; 어쩐지 그런 느낌이 든다는 뜻을 나타냄; 앞의 말과 같은 어감을 가진 말에 붙어 어조를 고름; 고. ‘옛날의’ ‘오래된’의 뜻을 나타냄; 고. 고인; 짙은; 〈擬声語·擬態語 등의 副詞에 붙어〉 그런 상태임을 나타냄;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일’의 뜻을 나타냄. …함; 〈흔히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 같은 동작을 함’ ‘서로 겨룸’의 뜻을 나타냄. 서로 겨룸; 별다른 뜻이 없이 여러 가지 말에 붙음; 『문어』 《상태를 나타내는 한어(漢語)에 붙어》 감동을 나타내거나 어조를 강하게 함. 호. …히; 고; 호; 자식. 〔반의어〕 親; 아이. 어린아이; 소녀. 젊은 여자. 〔참고〕 「娘」로도 씀; 새끼. 순(筍); 기생. 유녀(遊女). 〔참고〕 「妓」로도 씀; 이자(利子); (물고기의) 알; 여자의 이름을 구성하는 말;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 일을 하는 사람·물건의 뜻을 나타냄. 〔참고〕 가축(家畜)일 경우는 「仔」로도 씀; 나무; 가루. 분말; 〈「身を~にして」의 꼴로〉 (비유적으로) 몸을 아끼지 않고. 분골쇄신하여; 가루; 『문어』; 고아; 고독. 외로움; 호; 『수학』 원주(圓周) 또는 곡선의 일부분. 원호(圓弧); 개체. 개인; 물건을 세는 말. 개; 『문어』 누에. 〔동의어〕蚕; ⇒ はかま; (본디, 군대에서) 바지; 금속제의 불구(佛具)의 일종. 번뇌를 쳐부수고, 악마를 쫓는 뜻으로 손에 듦. 〔참고〕 본디, 인도의 무기였던 銛가 변한 것; 『문어』 북. 〔동의어〕太鼓; 「伏せ籠」의 준말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舞う
《「目が~」의 꼴로》 (눈이) 핑핑 돌다. 어지럽다. 현기증이 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공중에서) 빙빙 돌다. 날다. 흩날리다; 춤추다. 【가능동사】 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この命の移り変わりというのは 無常観といって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観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無常
무상. 더없음. 최상; 무상(함); 『불교』 만물은 생멸 변천하여 일정하지 않음. 〔반의어〕 常住; 사람의 죽음. {문어·ナリ 활용 }; 무정(함); 비정(非情). 감정이 없음. {문어·ナリ 활용 }
移り変わり
변천. 변이. 바뀜. 〔동의어〕変遷
日本の芸術や 文学に 多くみられるものです
文学
문학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芸術
예술
多い
덮개. 씌우개. 피복. 커버; 《고어》 《「大飯」의 변한말》 천황의 수라. 또는 그 음식의 조리;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 지르는 소리. 어이. 〔참고〕 「おうい」 「おい」로도 씀; (수량·횟수·물건 등이) 많다. 〔반의어〕 少ない. 〔참고〕 「多い人が来る」라고는 하지 않고 「多くの人が来る(많은 사람이 오다)」로 하며, 또한 「多い本がある」도 「多くの本がある(많은 책이 있다)」라고 함. 【문어형】 おほ·し {ク 활용}
蝶の一生を通じて 人の一生を
一生
한 되; 일생. 평생. 한평생. 〔동의어〕生涯·一生涯; 평생에 한 번뿐일 것 같은 중요한 일; 겨우 살아남[연명함]; 『문어』 일장. 한 장군; 일소. 조금 웃음. 빙그레 웃음; 하나의 웃음거리로 삼음. 하나의 웃음거리; 일명. 딴이름. 별칭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見立てるというのが この芸でございます
芸
기예(技藝). 예능. 기능; 재주; 특히, 배우의 연기; (형벌로서 얼굴에 문신하는) 묵형(墨刑)
見立てる
보고 고르다; 보고 판단하다. 감정(鑑定)하다. 진단하다; 비유하다. 비기다. 【문어형】 みた·つ {하2단 활용}
どうぞ お楽しみください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どうぞ
상대편에게 무엇을 허락하거나 권하거나 할 때 쓰는 말. ((공손한 표현)); 부탁이나 희망의 뜻을 나타내는 말. 아무쪼록. 제발. 부디. 〔동의어〕なにとぞ·どうか; 어떻게든. 〔동의어〕なんとか·どうにか
楽しむ
즐기다. 즐겁게 지내다; 취미로 삼다. 좋아하다. 즐기다; 밝은 기대를 걸다. 낙으로 삼다. 【가능동사】 たのし·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江戸手妻のうちより 蝶の戯れをご覧いただきます
いただく
머리에 얹다. 이다. 쓰다; 받들어 들다. 높이 쳐들다; 받들다. 모시다. 우러러 섬기다; 〈「もらう」의 겸사말〉 얻다. 〔동의어〕ちょうだいする; 〈「飲む」 「食べる」의 겸사말〉 마시다. 먹다. 들다. 【가능동사】 いただ·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もらう」의 겸사말〉 고마운 일을 남에게서 받는 뜻을 나타냄; 〈상대에게 부탁해서 자기가 무엇인가를 하도록 허가를 받는 뜻을 나타냄. 「させて~」의 꼴로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戯れる
《고어》 풍취가 있다. ざ·る {하2단 활용}
江戸
東京의 옛일컬음. 江戸 시대의 幕府의 소재지; 『불교』 예토. 더러운 땅. 즉, 범인(凡人)이 살고 있는 곳. 이승. 속세. 현세. 〔반의어〕 浄土
手妻
(손끝으로 하는 일이라는 뜻에서) 마술. 요술. 〔동의어〕手品
(音楽)
音楽
음악
愛子さま おひとりで初めて雅楽鑑賞【知っておきたい!】【グッド!モーニング】(2024年4月15日)
台湾で福島産の食品PR「正しい理解を」(2023年10月10日)
イスラエル 1年8カ月ぶりに観光客受け入れ再開(2021年11月2日)
東京消防庁 救急の出動件数が過去最多に 119番通報も 新型コロナ・インフル要因か(2023年12月18日)
Tシャツのたたみ方
Green Flash
Green FlashLearn 10 Japanese Phrases You Always Want to Hear
Learn 10 Japanese Phrasユニクロ「世界平和を願う」Tシャツ販売 利益を寄付に(2022年6月16日)
【速報】大谷翔平選手 二刀流復帰は再来年か 手術担当医師が見通し(2023年9月20日)
環境活動家グレタ氏がキーウ訪問(2023年6月30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