うみの水は、とうめいで、
うみの水は、とうめいで、
たくさんの うつくしい おさかなが すんで いる
とても すばらしい パラダイスです。
そこに にんぎょの 王さまの おしろが ありました。
おきさきさまは、6人の おひめさまを うんで すぐに、しんで しまいました。
おばあさまが、おひめさまたち 6人を おせわして いました。
おばあさまは、おひめさまたちに いろいろな せかいの おはなし、
うみの そとの いろいろな 国の おはなしなど、
よのなかの ことを くわしく おしえて くださいました。
王さまの おしろは、いろどりごりの さんごと
きらきらひかる しんじゅの はいった かいで できていました
6人の おひめさまたちは、 すくすく せいちょうして いきました。
とくに、すえの おひめさま にんぎょひめは、 6人の 中で かくべつに うつくしく、
アクアマリンのような 目を して、
バラの 花びらの ような うつくしい はだを して いました。
にんぎょひめは、 みしらぬ ふねが、てんぷくしたとき、
うみにしずんだ うつくしい 少年のぞうを たいせつに もって いました。
上のおねえさまたちに くらべると、
にんぎょひめは、 ものおもいに ふける ことが すきで、
ちじょうの にんげんの せかいの おはなしを きくのが だいすきでした。
15才に なったら うみの上に うかび あがる ことを ゆるして あげましょう!
ふねに のっている人を 見たり、 うみべの町を 見たり、みどりの森や
空とぶとり、まぶしい たいよう、
とても いいかおりの うつくしい 花たちも 見られるわ。
まず、一番上の おねえさまが 15才に なりました。
いろいろな ものを 見て、 かえって きました。
おしろや、ぶどうえんの おはなしなど、 山ほど おみやげばなしが ありました。
おんがくに 耳をかたむけ、 ことりの さえずりを きき、
バラいろに ひかり かがやく あさ日や、
おうごんいろの 夕日を 見たり した おはなしです。
にんぎょひめが 15才に なるまで、 あと 5年の 年月が ひつようでした。
じぶんも はやく うみの 上の せかいが みたくて たまりません。
やがて、まちどおしかった 15才の たんじょう日の日、
にんぎょひめは、 うみの上に あがって いきました。
いままでの おはなしで きいたこともない すばらしいもの、
それは、ふねの 上の 王子さまでした。
ふねの 上では、王子さまの たんじょう日を いわう パーティーが おこなわれて いました。
とても すばらしい 王子さま! なんて すてきな かた なんでしょう!
そのときです。
きゅうに 空が まっくらに なり、 大あらしが きて、
王子さまの のっている ふねが、 しずんで しまいました。
にんぎょひめは、ひっしで、 王子さまを さがしました。
気を うしなって いた 王子が 目を さました とき・・・・
にんぎょひめは、いわはの かげに かくれて いました。
そこへ、一人の かわいい にんげんの むすめが あらわれました。
たすけて くれて ありがとう! きみは いのちの おんじんだ。
王子さまは、その むすめの 目を見て ほほえみ かけました。
わたしが、王子さまを たすけたのに・・・・
王子さまは、わたしに、気づきもしなかった!! なんて ことでしょう・・・・。
にんぎょひめは、なきながら
うみのそこの 王さまの おしろに かえって いきましたが・・・・・・
いつも おもって いました・・・・。
また、王子さまに おあいしたいわ・・・・
にんぎょひめは、 ついに がまん できなくなり、
上の おねえさまに ことを うちあけました。
さぁ、王子さまの 国へ つれてって あげましょう・・・・。
上の おねえさまたちは、 王子さまの すむ おしろの ある
うみべへ にんぎょひめを つれて いって やりました。
いとしの 王子さま・・・・。 わたしも にんげんに なりたい・・。
上の せかいにすむ にんげんと
うみのそこに すむ わたくしたちの ちがいを はなして あげましょう。
にんげんは いのちが つきると えいえんの たましいを さずかるのです。
にんぎょは、300年も 生きて いられるけど、
いのちがつきると うみの中で あわと きえてしまう うんめいなの・・・。
にんぎょひめは、 まいにちの ように 王子さまを 見る ために、
しろの バルコニーの 下まで いきました。
おばあさまから おしえて いただいた にんげんに なり、
えいえんの たましいを える ほうほうは、 王子さまと えいえんの あいを ちかうことだわ!!
にんぎょひめは、にんげんに なる けっしんを して、
うみの まじょの いえに むかいました。
おまえの そうだんごとは、 すべて お見とおしだ。
さぁ、このくすりを おのみ! のめば、ひれが 二本の 足に なるよ。
にんげんの ように あるくと、 ガラスが ささった ように いたいのさ。
それと、 おまえの その きれいな こえを もらうよ!
王子さまの あいを かくとく できなかったら、
おまえは、つぎの日、 あわと なって きえるのさ!
これで・・・ 王子さまの おそばに いられる・・・・
にんぎょひめは、はまべで くすりをのみ にんげんに なると、
ガラスが つきささるような いたみを こらえて
王子さまの おしろへと いきました。
なんて うつくしい人だ!
きょうから この しろに すんで ハープを かなでて くれないか?
王子さまの おそばに いられて 王子さまの おせわが できて、とても しあわせ!!
・・・と、にんぎょひめは、 こころの 中で さけびました。
王子さまは、にんぎょひめを とても たいせつに して かわいがりました
きんし ぎんしで おられた すてきな ドレス・・・。
ひかり かがやく ネックレス・・・・。
王子さまが バイオリンを ひき、 にんぎょひめの ハープと がっそうです。
月日が たち 王子さまは、
となりの 国の おひめさまと けっこんする ことに なりました。
こえを うしなって ほんとうの きもちを つたえられなかった せいね!
おもいを つたえなければ、 こんれいの つぎの日・・・・
わたしは、うみの あわとなって きえてしまう・・・。
うみの まじょに わたしたちの かみを うって、
このナイフを 手にいれたわ!
これで 王子さまの むねを さしなさい!
おねえさまから ナイフを うけとりましたが、 にんぎょひめは、どうしても、
王子さまを さすことが できませんでした。
わたしは・・・、王子さまと いっしょに いられる だけで、しあわせだった・・・。
あいする かぞくを すて、 うつくしい こえを すて、
その くるしみと ひきかえに
おうじさまとの しあわせな じかんを える ことが できました。
王子さまの あいは、 もう あたらしい 花よめの もの・・・・。
さようなら! 王子さま!
あなたのしあわせを いつまでも いのってます!
にんぎょひめは、あさ日が のぼるころ、 うみの あわと なって きえました。
なにもしらない 王子さまは、 けっこんして、とても しあわせでした。
はなよめは、にんぎょひめ、そっくりの かわいい おひめさまを 生みました。
にんぎょひめは、 うみの あわと きえましたが、
えいえんの たましいを さずかり、
ふたたび、おひめさまとして、 このよに たんじょう できたのでした。
うみの水は、とうめいで、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たくさんの うつくしい おさかなが すんで いる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とても すばらしい パラダイスです。
すばらしい
매우 훌륭하다. 기막히게 좋다. 멋있다. 굉장하다; 정도가 심하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すばらし·げ 【형용동사】 すばらし·さ 【명사】 【문어형】 すばら·し {シク 활용}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パラダイス
파라다이스. 낙원. 천국
そこに にんぎょの 王さまの おしろが ありました。
おきさきさまは、6人の おひめさまを うんで すぐに、しんで しまいました。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おばあさまが、おひめさまたち 6人を おせわして いました。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おばあさまは、おひめさまたちに いろいろな せかいの おはなし、
いろいろ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여러 가지. 갖가지. 가지각색. {문어·ナリ 활용 }
うみの そとの いろいろな 国の おはなしなど、
いろいろ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여러 가지. 갖가지. 가지각색. {문어·ナリ 활용 }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よのなかの ことを くわしく おしえて くださいました。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王さまの おしろは、いろどりごりの さんごと
きらきらひかる しんじゅの はいった かいで できていました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きらきら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계속해서 반짝이는 모양. 반짝반짝
6人の おひめさまたちは、 すくすく せいちょうして いきました。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すくすく
《「~と」의 꼴로도 씀》; 나무가 잘 자라는 모양. 쑥쑥; 어린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는 모양. 무럭무럭; 훌쩍훌쩍 우는 모양. 〔동의어〕しくしく
とくに、すえの おひめさま にんぎょひめは、 6人の 中で かくべつに うつくしく、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アクアマリンのような 目を して、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バラの 花びらの ような うつくしい はだを して いました。
にんぎょひめは、 みしらぬ ふねが、てんぷくしたとき、
うみにしずんだ うつくしい 少年のぞうを たいせつに もって いました。
少年
소년; 나이 어린[적은] 사람. 특히, 나이 어린 남자. 〔반의어〕 少女; (소년법에서) 만 20세 미만인 자. (아동 복지법에서) 초등 학생부터 만 18세에 이른 자; 정념; 『불교』 정법(正法)만을 생각함. 흔들리지 않는 신앙심; 본심. 제정신; 『문어』 나이. 연령. 〔동의어〕年. 〔참고〕 「せいねん」은 딴말임
せつに
《文語形容動詞 「切なり」의 連用形에서》 간절히. 진심으로
上のおねえさまたちに くらべると、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にんぎょひめは、 ものおもいに ふける ことが すきで、
ふける
탐닉(耽溺)하다. (어떤 일에) 골몰하다. 빠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나이를 먹다. 늙다. 【문어형】 ふ·く {하2단 활용}; (밤·계절 등이) 깊어지다. 【문어형】 ふ·く {하2단 활용}; (쌀 등이) 열기나 습기로 인해 변질되다; 뜸이 들어 퍼지다. 푹 쪄지다. 【문어형】 ふ·く {하2단 활용}
ちじょうの にんげんの せかいの おはなしを きくのが だいすきでした。
15才に なったら うみの上に うかび あがる ことを ゆるして あげましょう!
あげる
(높은 곳으로) 올리다. 〔반의어〕 おろす·さげる; (몸의 일부 또는 손에 든 것을) 위쪽으로 움직이다. 들다. 쳐들다. 들어올리다. 〔반의어〕 さげる·おろす; (지위 등을) 높이다. 올리다. 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수입·이익·효과 등을) 올리다. 거두다; (기세·속도 등을) 올리다. 더하다. 〔반의어〕 さげる; (사물의 상태를) 좋게 하다. 〔반의어〕 さげる; (온도·습도 등의 수치를) 크게 하다.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뭍으로 옮기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연기·기·연 등을) 하늘 높이 올리다. 공중에 띄우다; (값을) 올리다. (가치를)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신불 앞에) 바치다. 차려 놓다. 〔반의어〕 さげる;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보내다. 넣다. 진학[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걷다. 치우다; 맞아들이다; (기생 등을) 불러서 놀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소리를) 지르다. 〔반의어〕 さげる; 게우다. 토하다; 마치다. 끝내다; (얼마의 비용으로) 끝내다; (작품 등을) 완성시키다; (과제 등을) 다 배우다. 떼다; 〈「やる」 「与える」의 공손한 표현〉 드리다. 주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やる」의 뜻》 …해 주다. …해 드리다.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てやる」보다 다소 깍듯한 표현임. 손윗사람에게는 「さしあげる」를 쓰는 것이 일반적임.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겸양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손 등을) 들다; (예 등을) 들다; 골라서 내놓다. 천거하여 세우다; 다하다. 다 모으다; (자식을) 얻다. 낳다. 〔동의어〕もうける; 잡다. 체포[검거]하다. 적발하다; (식을) 거행하다. 올리다; (전쟁·반란을) 일으키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튀기다; (뭍으로) 옮기다. 〔동의어〕上げる8..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才
『문어』 재능. 재기(才氣); 모난 귀퉁이. 모서리; 모퉁이; 구석. 〔동의어〕隅; 성질이 모남; 문. 〔동의어〕もん; 문간. 집 앞. 문 앞; 집안. 가족; 까닭. 이유. 점(點); 《東北(동북)방언》 「にしん」의 딴이름; 『문어』 하토. 하계(下界). 대지. 〔반의어〕上天; 과도(함). 정도가 지나침. 〔반의어〕 適度. {문어·ナリ 활용 }
ふねに のっている人を 見たり、 うみべの町を 見たり、みどりの森や
森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町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空とぶとり、まぶしい たいよう、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まぶしい
눈부시다. 〔동의어〕まばゆい. まぶ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まぶし·げ 【형용동사】 まぶし·さ 【명사】 【문어형】 まぶ·し {シク 활용}
とても いいかおりの うつくしい 花たちも 見られるわ。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花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まず、一番上の おねえさまが 15才に なりました。
一番
첫째. 맨 처음[먼저]; 일등. 제일. 으뜸; 최상. 상책; 한 쌍. 한 조(組). 〔동의어〕ひとつがい; (장기·바둑·씨름 등의) 한 판. 일 회. 한 번. 단판; 謡曲·能 등의 한 곡; (일반적으로 사물의) 한 번. 일 회. 〔동의어〕一度; 가장. 맨; 우선. 시험삼아. 한번. 큰마음 먹고. 〔참고〕 「一番」는 딴말임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才
『문어』 재능. 재기(才氣); 모난 귀퉁이. 모서리; 모퉁이; 구석. 〔동의어〕隅; 성질이 모남; 문. 〔동의어〕もん; 문간. 집 앞. 문 앞; 집안. 가족; 까닭. 이유. 점(點); 《東北(동북)방언》 「にしん」의 딴이름; 『문어』 하토. 하계(下界). 대지. 〔반의어〕上天; 과도(함). 정도가 지나침. 〔반의어〕 適度. {문어·ナリ 활용 }
いろいろな ものを 見て、 かえって きました。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いろいろ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여러 가지. 갖가지. 가지각색. {문어·ナリ 활용 }
おしろや、ぶどうえんの おはなしなど、 山ほど おみやげばなしが ありました。
ぶどう
무도; 무사가 지켜야 할 도리. 〔동의어〕武士道; 무술. 무예; 「ぶどう色」의 준말; 무도. 인도(人道)에서 벗어나 무지함. 도의심(道義心)이 없음. {문어·ナリ 활용 }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おんがくに 耳をかたむけ、 ことりの さえずりを きき、
耳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バラいろに ひかり かがやく あさ日や、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ひかり
『물리』 (태양·별·달·전등 등의) 빛. 불빛.; 희망. 광명.; 광. 윤.; (어버이·군주 등의) 위광(威光). 위세.; 영예. 영광.; ⇒ ひかりもの3..
おうごんいろの 夕日を 見たり した おはなしです。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夕日
석양. 〔동의어〕入り日. 〔반의어〕 朝日; ⇒ フライ; 웅비. 의욕적으로 씩씩하게 활약함. 〔반의어〕 雌伏
にんぎょひめが 15才に なるまで、 あと 5年の 年月が ひつようでした。
年月
연과 월; 세월. 광음(光陰); 〈副詞적으로도 씀〉 긴 세월. 오랫동안. 연래(年來)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才
『문어』 재능. 재기(才氣); 모난 귀퉁이. 모서리; 모퉁이; 구석. 〔동의어〕隅; 성질이 모남; 문. 〔동의어〕もん; 문간. 집 앞. 문 앞; 집안. 가족; 까닭. 이유. 점(點); 《東北(동북)방언》 「にしん」의 딴이름; 『문어』 하토. 하계(下界). 대지. 〔반의어〕上天; 과도(함). 정도가 지나침. 〔반의어〕 適度. {문어·ナリ 활용 }
じぶんも はやく うみの 上の せかいが みたくて たまりません。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やがて、まちどおしかった 15才の たんじょう日の日、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やがて
이윽고. 머지않아. 얼마 안 있어; 이럭저럭. 대충; 『문어』 즉. 곧. 결국은; 『문어』 이어. 바로. 당장에. ((예스러운 말))
才
『문어』 재능. 재기(才氣); 모난 귀퉁이. 모서리; 모퉁이; 구석. 〔동의어〕隅; 성질이 모남; 문. 〔동의어〕もん; 문간. 집 앞. 문 앞; 집안. 가족; 까닭. 이유. 점(點); 《東北(동북)방언》 「にしん」의 딴이름; 『문어』 하토. 하계(下界). 대지. 〔반의어〕上天; 과도(함). 정도가 지나침. 〔반의어〕 適度. {문어·ナリ 활용 }
にんぎょひめは、 うみの上に あがって いきました。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いままでの おはなしで きいたこともない すばらしいもの、
すばらしい
매우 훌륭하다. 기막히게 좋다. 멋있다. 굉장하다; 정도가 심하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すばらし·げ 【형용동사】 すばらし·さ 【명사】 【문어형】 すばら·し {シク 활용}
それは、ふねの 上の 王子さまでした。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ふねの 上では、王子さまの たんじょう日を いわう パーティーが おこなわれて い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パーティー
파티; 서양식 연회·회합; 단체. 정당; (등산 등의) 일행
とても すばらしい 王子さま! なんて すてきな かた なんでしょう!
すばらしい
매우 훌륭하다. 기막히게 좋다. 멋있다. 굉장하다; 정도가 심하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すばらし·げ 【형용동사】 すばらし·さ 【명사】 【문어형】 すばら·し {シク 활용}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すてき
매우 근사함. 매우 훌륭함. 아주 멋짐. ((주로 여성이 씀)); 굉장함. 대단함. 〔참고〕 1.2. 모두 「素的」 「素適」 등으로도 씀. {문어·ナリ 활용 }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そのときです。
きゅうに 空が まっくらに なり、 大あらしが きて、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大
‘큰’ ‘넓은’ ‘많은’의 뜻; ‘정도가 심한’ ‘큰’의 뜻; ‘서열에서 상위’의 뜻; ‘대략’ ‘대체로’ ‘대충의’의 뜻; ‘극한의’ ‘제일의’의 뜻; 『문어』 찬미·존경의 뜻을 나타냄; 응답·승낙의 뜻을 나타냄. 암. 그래; 감탄·놀람을 나타냄. 야. 어. 아이고; 갑자기 생각났을 때 내는 소리. 아. 어. 〔참고〕 「おう」로도 씀
王子さまの のっている ふねが、 しずんで しまいまし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にんぎょひめは、ひっしで、 王子さまを さがしまし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気を うしなって いた 王子が 目を さました とき・・・・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にんぎょひめは、いわはの かげに かくれて いました。
そこへ、一人の かわいい にんげんの むすめが あらわれました。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かわいい
《「かわゆい」의 변한말》; 귀엽다. 사랑스럽다; 예쁘장스럽다. 작아서 예쁘다. かわい·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かわい·げ 【형용동사】 かわい·さ 【명사】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たすけて くれて ありがとう! きみは いのちの おんじんだ。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王子さまは、その むすめの 目を見て ほほえみ かけました。
かける
『문어』 (하늘 높이) 날다. 비상(飛翔)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분이) 깨져 떨어지다. 귀떨어지다. 흠지다; 부족하다. 모자라다. 없다; 이지러지다. 〔반의어〕 満ちる; (있어야 할 것이) 빠지다. 결여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높은 곳에) 걸다. 늘어뜨리다. 치다; (말을) 붙이다. 건네다; 얹다. 올려놓다; 가설하다. 세우다. 치다. 놓다; 걸터앉다. 〔동의어〕すわる; (단추·자물쇠 등을) 채우다. 잠그다; 〈「鼻に~」의 꼴로〉 자랑삼다. 뽐내다. 내세우다; 개의하다. 마음을 쓰다; 끼얹다. 뿌리다. 치다. 〔동의어〕振りかける; 덮다. 몸에 걸치다; 씌우다. 입히다. 〔동의어〕かぶせる; 감다. 두르다. 묶다; (다른 것에) 기대어 놓다. 걸쳐 놓다; 잡다. 사로잡다. 속이다; (희망 등을) 걸다. 빌다; (폐나 영향을) 끼치다; (돈·시간·수고 등을) 들이다. 〔동의어〕費やす; (보험에) 들다. 가입하다; 곱셈하다. 곱하다; 교배(交配)시키다; 높게 (달아) 올리다; (마음이나 정 등을) 주다; (작용 등을) 가(加)하다. 작용시키다. 동작을 취하다; 도구나 기계 등을 움직여 작동시키다; 에누리하다; 〈「輪を~」의 꼴로〉 ㉠정도가 한층 더하다. ㉡과장하다; 부과하다; 올리다. 상정하다; 〈「口に~」의 꼴로〉 말하다. 입에 올리다; 내걸어 보이다; (저울에) 달다; (체로) 치다; 보이다; 손을 쓰다. 처치하다; 잘 돌보다; 〈「目を~」의 꼴로〉 귀여워하다. 돌보다. 눈여겨[주의하여] 보다; 〈「火を~」의 꼴로〉 불지르다; 짓밟다; 〈수사법(修辭法)에서 어떤 말과 음이 같은 다른 말을 암시하여〉 한 말이 두 가지 뜻을 가지게 하다; (기계에) 넣다. 올리다; 과정을 거치다[받다]; 퍼붓다; 섞다; 〈「(…から)…に~·けて」의 꼴로〉 (…에서)…에 걸쳐; 〈「…に~·けては」의 꼴로〉 …으로 말하면. …에 관하여는. …에 있어서는; (상금 등을) 걸다; 뾰족한 것이나 구부러진 것 등으로 걸다; 〈「鎌を~」의 꼴로〉 속을 떠보다. 깐보다;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시작하다. 중도까지 …하다; 〈앞 動詞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거의 실현될 듯하다’의 뜻. 사실은 실현되지 않음〉 …ㄹ 뻔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말 타고 달리다; 달리다. 뛰어가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걸다. 내기하다. 지르다; (실패하면 잃을 각오로) 걸다. 내걸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わたしが、王子さまを たすけたのに・・・・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王子さまは、わたしに、気づきもしなかった!! なんて ことでしょう・・・・。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にんぎょひめは、なきながら
ながら
《格助詞 「の」와 같은 뜻·용법을 지닌 상대(上代)의 助詞 「な」에, 体言인 「から」가 붙어 생긴 말이라 함. 名詞, 副詞,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形容詞의 連体形, 動詞 또는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 등에 붙음. ‘…한 대로의 상태에서’의 뜻을 지닌 連用修飾句를 만드는 데 씀》; …그대로. …채로;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대로 전부. 모두 다; 〈주로 계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動詞, 또는 受動·使役의 助動詞 「れる」 「られる」 「せる」 「させる」 등이 붙는 連用形에 붙어〉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이상의 동작이 병행·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냄. …면서; 한정 또는 전제를 나타냄. …나마. …인데; 〈주로 존재나 상태를 나타내는 動詞의 連用形,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내용이 모순되는 두 사항을 연결하는 뜻을 나타냄. …면서도. …지만. …데도. 〔참고〕 名詞·副詞 등에 붙는 「ながら」는 接尾語로 보는 견해도 있음
うみのそこの 王さまの おしろに かえって いきましたが・・・・・・
いつも おもって いました・・・・。
いつも
언제나. 항상. 늘. 〔동의어〕常に; 평소. 평상시. 여느 때. 〔동의어〕平生
また、王子さまに おあいしたいわ・・・・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にんぎょひめは、 ついに がまん できなくなり、
ついに
마침내. 드디어. 결국. 〔동의어〕とうとう; 〈흔히, 否定의 말이 딸리어〉 끝끝내. 끝까지. 종내. 아직. 한 번도. 〔동의어〕いまだかつて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上の おねえさまに ことを うちあけました。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さぁ、王子さまの 国へ つれてって あげましょう・・・・。
あげる
(높은 곳으로) 올리다. 〔반의어〕 おろす·さげる; (몸의 일부 또는 손에 든 것을) 위쪽으로 움직이다. 들다. 쳐들다. 들어올리다. 〔반의어〕 さげる·おろす; (지위 등을) 높이다. 올리다. 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수입·이익·효과 등을) 올리다. 거두다; (기세·속도 등을) 올리다. 더하다. 〔반의어〕 さげる; (사물의 상태를) 좋게 하다. 〔반의어〕 さげる; (온도·습도 등의 수치를) 크게 하다.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뭍으로 옮기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연기·기·연 등을) 하늘 높이 올리다. 공중에 띄우다; (값을) 올리다. (가치를)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신불 앞에) 바치다. 차려 놓다. 〔반의어〕 さげる;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보내다. 넣다. 진학[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걷다. 치우다; 맞아들이다; (기생 등을) 불러서 놀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소리를) 지르다. 〔반의어〕 さげる; 게우다. 토하다; 마치다. 끝내다; (얼마의 비용으로) 끝내다; (작품 등을) 완성시키다; (과제 등을) 다 배우다. 떼다; 〈「やる」 「与える」의 공손한 표현〉 드리다. 주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やる」의 뜻》 …해 주다. …해 드리다.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てやる」보다 다소 깍듯한 표현임. 손윗사람에게는 「さしあげる」를 쓰는 것이 일반적임.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겸양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손 등을) 들다; (예 등을) 들다; 골라서 내놓다. 천거하여 세우다; 다하다. 다 모으다; (자식을) 얻다. 낳다. 〔동의어〕もうける; 잡다. 체포[검거]하다. 적발하다; (식을) 거행하다. 올리다; (전쟁·반란을) 일으키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튀기다; (뭍으로) 옮기다. 〔동의어〕上げる8..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上の おねえさまたちは、 王子さまの すむ おしろの ある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うみべへ にんぎょひめを つれて いって やりました。
いとしの 王子さま・・・・。 わたしも にんげんに なりたい・・。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上の せかいにすむ にんげんと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うみのそこに すむ わたくしたちの ちがいを はなして あげましょう。
あげる
(높은 곳으로) 올리다. 〔반의어〕 おろす·さげる; (몸의 일부 또는 손에 든 것을) 위쪽으로 움직이다. 들다. 쳐들다. 들어올리다. 〔반의어〕 さげる·おろす; (지위 등을) 높이다. 올리다. 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수입·이익·효과 등을) 올리다. 거두다; (기세·속도 등을) 올리다. 더하다. 〔반의어〕 さげる; (사물의 상태를) 좋게 하다. 〔반의어〕 さげる; (온도·습도 등의 수치를) 크게 하다.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뭍으로 옮기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연기·기·연 등을) 하늘 높이 올리다. 공중에 띄우다; (값을) 올리다. (가치를)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신불 앞에) 바치다. 차려 놓다. 〔반의어〕 さげる;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보내다. 넣다. 진학[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걷다. 치우다; 맞아들이다; (기생 등을) 불러서 놀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소리를) 지르다. 〔반의어〕 さげる; 게우다. 토하다; 마치다. 끝내다; (얼마의 비용으로) 끝내다; (작품 등을) 완성시키다; (과제 등을) 다 배우다. 떼다; 〈「やる」 「与える」의 공손한 표현〉 드리다. 주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やる」의 뜻》 …해 주다. …해 드리다.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てやる」보다 다소 깍듯한 표현임. 손윗사람에게는 「さしあげる」를 쓰는 것이 일반적임.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겸양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손 등을) 들다; (예 등을) 들다; 골라서 내놓다. 천거하여 세우다; 다하다. 다 모으다; (자식을) 얻다. 낳다. 〔동의어〕もうける; 잡다. 체포[검거]하다. 적발하다; (식을) 거행하다. 올리다; (전쟁·반란을) 일으키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튀기다; (뭍으로) 옮기다. 〔동의어〕上げる8..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にんげんは いのちが つきると えいえんの たましいを さずかるのです。
いえる
《「言う」의 可能形》; 말할 수 있다; 말할 만하다. 말할 가치가 있다. 특히, 진리로서 단정할 수 있다; (병이) 낫다. 상처가 아물다. 치유되다. 【문어형】 い·ゆ {하2단 활용}
にんぎょは、300年も 生きて いられるけど、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いのちがつきると うみの中で あわと きえてしまう うんめいなの・・・。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にんぎょひめは、 まいにちの ように 王子さまを 見る ために、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しろの バルコニーの 下まで いきました。
下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バルコニー
발코니. 〔동의어〕バルコン
おばあさまから おしえて いただいた にんげんに なり、
いただく
머리에 얹다. 이다. 쓰다; 받들어 들다. 높이 쳐들다; 받들다. 모시다. 우러러 섬기다; 〈「もらう」의 겸사말〉 얻다. 〔동의어〕ちょうだいする; 〈「飲む」 「食べる」의 겸사말〉 마시다. 먹다. 들다. 【가능동사】 いただ·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もらう」의 겸사말〉 고마운 일을 남에게서 받는 뜻을 나타냄; 〈상대에게 부탁해서 자기가 무엇인가를 하도록 허가를 받는 뜻을 나타냄. 「させて~」의 꼴로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えいえんの たましいを える ほうほうは、 王子さまと えいえんの あいを ちかうことだわ!!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いえる
《「言う」의 可能形》; 말할 수 있다; 말할 만하다. 말할 가치가 있다. 특히, 진리로서 단정할 수 있다; (병이) 낫다. 상처가 아물다. 치유되다. 【문어형】 い·ゆ {하2단 활용}
にんぎょひめは、にんげんに なる けっしんを して、
うみの まじょの いえに むかいました。
おまえの そうだんごとは、 すべて お見とおしだ。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さぁ、このくすりを おのみ! のめば、ひれが 二本の 足に なるよ。
足
『식물·식물학』 갈대. 〔동의어〕よし; 『문어』 나쁘다. 좋지 않다. 〔동의어〕悪い. 〔참고〕 현재는 「よし」와 함께 대구적(對句的)으로 쓰이거나, 하나의 단어화된 파생어나 복합어 안에서 쓰임; 다리. 〔동의어〕下肢. 〔반의어〕手. 〔참고〕 사람에 대해서는 「脚」도 쓰나, 「足」로 많이 씀. 흔히, 포유 동물에 대해서는 「肢」, 곤충은 「脚」로 쓰기도 함; 발. 〔반의어〕手; 발길. 발걸음. 걸음걸이; 〈「その~で」의 꼴로〉 내친걸음에. 그 길로; 방문(訪問). 발걸음; (비·구름·바람 등의) 움직여 가는 상태.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에 붙어 받치는 부분. 다리. 발. 굽.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 밑부분; 교통 기관. 탈것; (범인 등의) 도주로. 발자취. 〔동의어〕足どり; (떡·반죽 등의) 찰기. 끈기. 〔동의어〕ねばり·こし; 한자(漢字)의 구성을 아래위로 가를 때의 아래쪽 부분.((「烈」의 「灬(불화발)」, 「盒」의 「皿(그릇명)」 등)); 〈앞에 「お」가 붙어〉 돈.((다리가 있는 듯 잘 돌아다니므로)) 〔동의어〕お金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本
투매(投賣)하는 책이나 잡지. 덤핑 책[잡지]
にんげんの ように あるくと、 ガラスが ささった ように いたいのさ。
ガラス
글라스. 유리. 〔참고〕 「硝子」는 차자
それと、 おまえの その きれいな こえを もらうよ!
もら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きれい
고움. 예쁨. 아름다움; 깨끗함. 정갈함. 맑음; 흠이 없음; 완전함. 남김없음; 깔끔함. 시원스러움. {문어·ナリ 활용 }
王子さまの あいを かくとく できなかったら、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おまえは、つぎの日、 あわと なって きえるのさ!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これで・・・ 王子さまの おそばに いられる・・・・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にんぎょひめは、はまべで くすりをのみ にんげんに なると、
ガラスが つきささるような いたみを こらえて
ガラス
글라스. 유리. 〔참고〕 「硝子」는 차자
こらえる
(고통 등을) 참다. 견디다. 〔동의어〕辛抱する·我慢する; 《関西(관서)방언》 용서하다. 【문어형】 こら·ふ {하2단 활용}
王子さまの おしろへと いきまし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なんて うつくしい人だ!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きょうから この しろに すんで ハープを かなでて くれないか?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ハープ
『음악』 하프. 〔동의어〕たてごと
王子さまの おそばに いられて 王子さまの おせわが できて、とても しあわせ!!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しあわ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と、にんぎょひめは、 こころの 中で さけびました。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王子さまは、にんぎょひめを とても たいせつに して かわいがりまし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かわいがる
《「かわゆがる」의 변한 말》; 귀여워하다; 따끔한 맛을 보여 주다. 거칠게 다루다. 【가능동사】 かわいが·れ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せつに
《文語形容動詞 「切なり」의 連用形에서》 간절히. 진심으로
きんし ぎんしで おられた すてきな ドレス・・・。
ドレス
드레스. 여성복. 여자 예복
すてき
매우 근사함. 매우 훌륭함. 아주 멋짐. ((주로 여성이 씀)); 굉장함. 대단함. 〔참고〕 1.2. 모두 「素的」 「素適」 등으로도 씀. {문어·ナリ 활용 }
ひかり かがやく ネックレス・・・・。
ひかり
『물리』 (태양·별·달·전등 등의) 빛. 불빛.; 희망. 광명.; 광. 윤.; (어버이·군주 등의) 위광(威光). 위세.; 영예. 영광.; ⇒ ひかりもの3..
ネックレス
네크리스. (장식용의) 목걸이. 〔동의어〕ネックレース·首飾り
王子さまが バイオリンを ひき、 にんぎょひめの ハープと がっそうです。
バイオリン
『음악』 바이올린. 〔동의어〕ヴァイオリン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ハープ
『음악』 하프. 〔동의어〕たてごと
月日が たち 王子さまは、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月日
월일
となりの 国の おひめさまと けっこんする ことに なりました。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こえを うしなって ほんとうの きもちを つたえられなかった せいね!
ほんとう
사실. 진실. 정말임; 올바름. 참됨. 진짜임; 제대로임. 정상임; 〈「~に」의 꼴로〉 정말로. 굉장히. {문어·ナリ 활용 }; 본도; 『문어』 이 섬; 『문어』 분등. 맹렬한 기세로 치솟음
おもいを つたえなければ、 こんれいの つぎの日・・・・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わたしは、うみの あわとなって きえてしまう・・・。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うみの まじょに わたしたちの かみを うって、
このナイフを 手にいれたわ!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ナイフ
나이프. 서양식 작은 칼
これで 王子さまの むねを さしなさい!
なさる
《「なす」 「する」의 높임말》 하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される」의 문어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おねえさまから ナイフを うけとりましたが、 にんぎょひめは、どうしても、
どうしても
어떤 일이 있어도. 반드시. 꼭. 〔동의어〕是非とも; 〈뒤에 否定의 말이 따름〉 아무리 해도; 〈단정적으로 강조하여〉 아무래도. 뭐니뭐니해도
ナイフ
나이프. 서양식 작은 칼
王子さまを さすことが できませんでし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わたしは・・・、王子さまと いっしょに いられる だけで、しあわせだっ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しあわ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あいする かぞくを すて、 うつくしい こえを すて、
その くるしみと ひきかえに
おうじさまとの しあわせな じかんを える ことが できました。
しあわ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王子さまの あいは、 もう あたらしい 花よめの もの・・・・。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花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さようなら! 王子さま!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さようなら
『문어』 《「さようならば」의 준말》 그렇다면. 그러할진대; 헤어질 때의 인사말. 안녕히 계십시오[가십시오]. 안녕. 〔동의어〕さよなら·グッドバイ
あなたのしあわせを いつまでも いのってます!
しあわ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にんぎょひめは、あさ日が のぼるころ、 うみの あわと なって きえ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なにもしらない 王子さまは、 けっこんして、とても しあわせでし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しあわ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はなよめは、にんぎょひめ、そっくりの かわいい おひめさまを 生みました。
そっくり
전부. 모조리. 몽땅. 고스란히; 꼭 닮은 모양. {문어·ナリ 활용 }
かわいい
《「かわゆい」의 변한말》; 귀엽다. 사랑스럽다; 예쁘장스럽다. 작아서 예쁘다. かわい·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かわい·げ 【형용동사】 かわい·さ 【명사】
生む
유무. (사물이) 있음과 없음. 〔동의어〕あるなし; 승낙과 거부. 좋고 싫음. 가부(可否). 〔동의어〕いやおう; 『문어』; 질리다. 물리다. 싫증나다; 지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낳다; 분만[출산]하다. 〔참고〕 흔히 「産む」로 씀; (없던 것을) 만들어 내다. 생기게 하다. 【가능동사】 う·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과일이) 익다. 〔동의어〕熟れ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곪다. 화농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실을) 잣다. 〔동의어〕紡ぐ. 【문어 4단 활용 동사】
にんぎょひめは、 うみの あわと きえましたが、
えいえんの たましいを さずかり、
ふたたび、おひめさまとして、 このよに たんじょう できたのでした。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自衛隊機、アフガン人14人も移送 外国人は初(2021年8月28日)
景気実感 7カ月ぶり引き下げ コロナ感染再拡大で(2020年12月8日)
災害後に道路の最低限処理 「啓開計画」石川などでなし(2024年2月1日)
TEDxTokyo - 森有一博士 - Soil-free Agriculture
羽田空港 C滑走路運用再開 引き続き一部欠航も(2024年1月8日)
人
ホンダがEVシフト加速 韓国LGとの合弁会社でバッテリー製造(2023年1月14日)
メディアの行動規制 NYタイムズ「更なる議論望む」(2021年7月3日)
ポッキー ギネスに認定 最も売れた“ビスケット”(2020年10月13日)
住宅街にウサギの群れ 100匹に 穴を掘ったり…住民は大迷惑(2023年7月17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