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んにちは、 秋葉仁です。
こんにちは、 秋葉仁です。
今、 僕ですね、 芦ノ湖スカイラインをずっと上って上のところまで来たんですけども、
ここから見る景色がすごいんすよ、 町並みが。
そして、 ちょこっとだけ見えるんだよな、 ここんところに富士山の頭だけが見えます。
今日はですね、 すごい晴天で雲一つない感じになっているんですけども、
これからですね、 なんとこの芦ノ湖スカイラインの間にですね、
メロディーロードがあるというので、 そこを撮ってきたいと思います。
それでは車に乗り込んで、 行ってみたいと思います。
ただね、 坂道だとね、 上り坂だとエンジン音がうるさくなって、 ちょっと聞こえない可能性もあるんですけども、
頑張って撮ってみたいと思います。
では、 行ってきます!
はい、 メロディーロードに差しかかる手前んところ、 これ杓子峠なんですけれども、 すごい富士山がきれいに見えております。
見えるかな? おー見えた、 見えた、 見えた。
こんな感じでね、 くっきりと見えております。
はい、 この先二百メートル、 いよいよです。
四十キロで走行すると、 よく聞こえるそうです。
じゃあ行ってみましょう!
進み始めました。
もうすぐ、 メロディーロードが見えてくるかと思います。
では、 スタートします。
さあ、 いかがだったでしょうか。
さっきのね、 富士山をくっきり見て、 その後にこの「 富士の山」 を聴いて、
そして、 これ少し下ったところにですね、 芦ノ湖がくっきり見えるところもありますので、
この芦ノ湖スカイラインなかなか楽しみが多いですよね。
もし、 お近くに来ることがありましたら、 ぜひぜひ寄ってみてください。
では、 また!
やった、 成功した!
今回四度目のトライです。
よかった!
こんにちは、 秋葉仁です。
こんにちは
낮에 하는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仁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今、 僕ですね、 芦ノ湖スカイラインをずっと上って上のところまで来たんですけども、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来
《고어》 《活用語에 붙어 名詞화함》 …하는 일. ((현재는 복합어로서 약간 남아 있을 뿐이며, 副詞적으로 쓰임. 「いわ~」 「おもわ~」 「願わ~は」 「安け~」 등)) 〔참고〕 動詞에서는 連体形의 끝 음이 「ア」열(列)의 음으로 변한 꼴에, 形容詞에서는 끝 음이 「け」로 변한 꼴에 붙음; 구.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きゅう; 『불교』 입. 말; 인원수·기구(器具) 등을 세는 말. 개; 구; 법령 집행을 위하여 마련된 구획. ((선거구·학구 등)); 대도시에서 행정상의 구획의 하나; 구. 지역; 『언어학』 구. (문장의) 구절; 『언어학』 시가·문장의 한 문절; 『언어학』 관용구; 『언어학』 和歌·俳句·한시(漢詩) 등의 구. 구절; ⇒ 俳句; 連歌의 구절 및 俳句 등을 세는 말. 구절; 괴로움. 고통. 〔반의어〕 楽; 노고(勞苦). 고생. 곤란; 근심. 걱정. 고민; 『문어』 몸. 몸뚱이. 〔동의어〕身; 불상(佛像)을 세는 말. 좌(座). 〔동의어〕体; 『문어』 두려워함. 두려움; 『문어』 《「来る」의 文語》; 가다. 〔참고〕 옛날에는 命令形에 「よ」가 딸리지 않고 「こ」라고만 썼음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スカイライン
스카이라인.; (산악 지대의) 전망 좋은 관광용 드라이브웨이.
ここから見る景色がすごいんすよ、 町並みが。
景色
『문어』 경색. 경치. 풍경. 〔동의어〕景色; 경식. 간단한 식사; 『문어』 희색. 기쁜 안색; 『문어』 경식. 목의 장식. 목걸이. 〔동의어〕首飾り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町並み
거리에 집이나 상점이 즐비하게 늘어선 모양. 또는 그 곳
そして、 ちょこっとだけ見えるんだよな、 ここんところに富士山の頭だけが見えます。
見える
《「目見える」의 뜻》; 〈「会う」의 겸사말〉 (윗사람을) 만나 뵙다. 알현(謁見)하다. 배알(拜謁)하다; 만나다. 대면하다; 섬기다. 【문어형】 まみ·ゆ {하2단 활용}
そして
⇒ そうして
頭
머리. 두부(頭部). 〔동의어〕かしら·こうべ; 두뇌. 지능. 사고력. 생각; 머리카락. 머리털. 〔동의어〕髪の毛; 머릿수. 인원수. …당(當). 〔동의어〕頭数; 우두머리. 두령. 두목. 〔동의어〕かしら; (물건의) 꼭대기. 대가리; 처음. 시작. 선두; (이익금이나 건네주는 돈 등의) 몫. 일부. 구전. 구문. 〔동의어〕上前; 대인(對人) 자세; 《「ひとり」의 뒤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사람을 단위로 함을 나타냄. 〔동의어〕あたり
見え
외관. 외양. 볼품; 겉치레. 허영. 허세. 허식. 〔참고〕 2.는 흔히 「見栄」로 씀; (歌舞伎에서) 배우가 절정에 이른 감정을 관객에게 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순간 동작을 멈추고 유다른 표정이나 자세를 취하는 일. 〔참고〕 3.은 흔히 「見得」로 씀
富士山
静岡현과 山梨현의 경계에 있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 ((휴화산(休火山)으로 높이는 3,776m)) 〔동의어〕ふじ·富岳. 〔참고〕 「不二山」 「不尽山」이라고도 씀
今日はですね、 すごい晴天で雲一つない感じになっているんですけども、
雲
운; 운명. 운수; 행운(幸運); 바림. 선염(渲染). 〔동의어〕くまどり·ぼかし; (아랫사람이나 동등한 사람의 질문·의뢰에 대해)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응. 음. 그래; 일시적인 고통을 나타내는 소리. 응. 억. 끙; 가벼운 놀라움을 나타내는 말. 아아. 어어; 퍼뜩 생각났을 때 하는 말. 응. 아; 힘을 몰아 쓸 때 저도 모르게 내는 소리. 응. 끙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晴天
서천; 서쪽 하늘. 〔반의어〕 東天; 『불교』 천축(天竺); 성전. 성에 관한 책; 『문어』 청천. 푸른 하늘; 『문어』 성전. 성대한 의식. 〔동의어〕盛儀; 청천. 맑은 하늘. 〔반의어〕 雨天·曇天; 『종교』 성전
一つ
하나. 한. 〔동의어〕いち·ひと; 동일함. 같음. 한가지. 일치함; 한편. 일면. 일방. 〔동의어〕一方; 〈否定語가 따르며〉 어느 하나를 내세워, 그와 비슷한 것 모두를 부정함. …하나(도). …조차; 그 이외는 없음을 강조함. …에 따라 결정됨. …나름; 좀. 한번. 시험 삼아; 아무쪼록. 부디. 〔동의어〕どうぞ
これからですね、 なんとこの芦ノ湖スカイラインの間にですね、
間
만나는 일. 대면; 한패. 동아리; (술자리 등에서 술을 함께하는) 상대; 맞장구; 〈動詞·名詞에 붙어〉 서로. 마주. 함께. 같이; 〈動詞에 붙어〉 어조를 고름. ((보다 깍듯한 표현)); (시간적 및 공간적인) 사이. 틈. 틈새기. 〔동의어〕あいだ·透き間; 「幕間」의 준말; 「間服」의 준말; 『식물·식물학』 쪽; 〈「あい色」의 준말〉 쪽빛; 사랑. 애정; 《여성어》 네. 예. ((「はい」의 예스러운 말)) 〔동의어〕あいあい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スカイライン
스카이라인.; (산악 지대의) 전망 좋은 관광용 드라이브웨이.
メロディーロードがあるというので、 そこを撮ってきたいと思います。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メロディー
『음악』 멜로디. 가락. 선율. 〔동의어〕旋律
ロード
로드; 『기독교』 그리스도교에서, 하나님 또는 그리스도. 주(主)
それでは車に乗り込んで、 行ってみたいと思います。
車
바퀴. 차바퀴; 짐수레·전차·자동차·인력거 등 탈것의 총칭. 차. ((좁은 뜻으로는 자동차를 이름)); 바퀴 모양
それでは
(앞의 말을 받아) 그런 상태로서는. 그래서는. 〔동의어〕それじゃ; 그럼. 그렇다면. 그러면. 〔동의어〕それじゃ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ただね、 坂道だとね、 上り坂だとエンジン音がうるさくなって、 ちょっと聞こえない可能性もあるんですけども、
音
《「大御」가 변한 「おおん」의 준말》 명사에 붙어 존경의 뜻을 곁들임. 〔참고〕 「お」보다 강한 공손·존경의 뜻을 나타내며,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경우에 쓰임; 은혜; 《속어》 수컷. 〔동의어〕おす·お. 〔반의어〕 雌; 소리. 〔동의어〕おと; (언어의) 음. 발음; 중국식 발음을 바탕으로 한 한자(漢字)의 음. 자음(字音). 〔반의어〕 訓; 음색; 『문어』 따뜻한 모양. 온화한 모양
坂
술. ((술과 관계 있음을 나타내는 말)); 비탈(길). 경사지. 고갯길. 고개; 인생의 한 고비; 거꾸로임. 역. 반대(쪽). 〔동의어〕ぎゃく·さかさま; 《名詞·動詞 앞에 붙어서》 역. 거꾸로 됨. 반대로 됨; 다과. 차와 과자. 〔동의어〕ちゃか
エンジン
『공업·공학』 엔진. 원동기. 발동기
可能
『의학』 화농. 곪음; 『언어학』 가능태(可能態). ((「理解する」에 대하여 「理解できる」 따위)); 과납. (세금 등을) 필요 이상으로 납부함; 『문어』 가납; 선물 등을 윗사람이 기꺼이 받아들임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上り
오름. 올라감; 「のぼり坂」의 준말; 「上り列車」의 준말; 상경(上京). 1.~4. 〔반의어〕 くだり; 《「のぼりばた」의 준말》; ⇒ こいのぼり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坂道
고갯길. 비탈길
聞こえ
들림. 들리는 정도; 소문. 평판; 남이 들었을 때의 느낌
頑張って撮ってみたいと思います。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では、 行ってきます!
はい、 メロディーロードに差しかかる手前んところ、 これ杓子峠なんですけれども、 すごい富士山がきれいに見えております。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手前
자기 앞. 자기의 바로 앞; 자기에게 가까운 쪽[위치]. 또는 어떤 곳에 약간 못미치는 지점[위치]; 남에 대한 자신의 입장. 체면. 면목; 솜씨. 손재주. 〔동의어〕腕前·手並み; 다도(茶道)의 양식·예법. 〔참고〕 5.는 「点前」로도 씀;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약간 겸손한 말)) 〔동의어〕私; 〈対称의 人代名詞〉 너. 그대. ((동등 또는 손아랫사람에 대해 약간 하대하는 말)) 〔동의어〕お前·てめえ; 《「お~」의 꼴로》 다도의 예법. 〔동의어〕手前
峠
고개; 절정기. 한창때. 고비. 〔참고〕 「峠」는 일본 한자
きれい
고움. 예쁨. 아름다움; 깨끗함. 정갈함. 맑음; 흠이 없음; 완전함. 남김없음; 깔끔함. 시원스러움. {문어·ナリ 활용 }
メロディー
『음악』 멜로디. 가락. 선율. 〔동의어〕旋律
見え
외관. 외양. 볼품; 겉치레. 허영. 허세. 허식. 〔참고〕 2.는 흔히 「見栄」로 씀; (歌舞伎에서) 배우가 절정에 이른 감정을 관객에게 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순간 동작을 멈추고 유다른 표정이나 자세를 취하는 일. 〔참고〕 3.은 흔히 「見得」로 씀
けれども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예상되는 결과와 반대의 사실이 일어남을 나타냄. …이지만. …하지만; 앞에 내놓은 사실과 다음의 말이 부드럽게 이어짐을 나타냄. …는데. …던데. 1.2.〔동의어〕けど·けれど;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는데;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하는 느낌을 나타냄. …만. 1.2.〔동의어〕けど·けれど; 《接続助詞의 용법에서 변하여, 분리·독립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참고〕 「けど」 「けれど」보다 약간 정중한 말
ロード
로드; 『기독교』 그리스도교에서, 하나님 또는 그리스도. 주(主)
富士山
静岡현과 山梨현의 경계에 있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 ((휴화산(休火山)으로 높이는 3,776m)) 〔동의어〕ふじ·富岳. 〔참고〕 「不二山」 「不尽山」이라고도 씀
杓子
주걱. 국자. 〔참고〕 흔히 밥주걱을 「しゃもじ」, 국자를 「お玉」라고 함.; 『불교』 석씨.; 석자(釋子). 승려.
見えるかな? おー見えた、 見えた、 見えた。
見える
《「目見える」의 뜻》; 〈「会う」의 겸사말〉 (윗사람을) 만나 뵙다. 알현(謁見)하다. 배알(拜謁)하다; 만나다. 대면하다; 섬기다. 【문어형】 まみ·ゆ {하2단 활용}
見え
외관. 외양. 볼품; 겉치레. 허영. 허세. 허식. 〔참고〕 2.는 흔히 「見栄」로 씀; (歌舞伎에서) 배우가 절정에 이른 감정을 관객에게 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순간 동작을 멈추고 유다른 표정이나 자세를 취하는 일. 〔참고〕 3.은 흔히 「見得」로 씀
こんな感じでね、 くっきりと見えております。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くっき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뚜렷하게. 선명하게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見え
외관. 외양. 볼품; 겉치레. 허영. 허세. 허식. 〔참고〕 2.는 흔히 「見栄」로 씀; (歌舞伎에서) 배우가 절정에 이른 감정을 관객에게 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순간 동작을 멈추고 유다른 표정이나 자세를 취하는 일. 〔참고〕 3.은 흔히 「見得」로 씀
はい、 この先二百メートル、 いよいよです。
いよいよ
더욱더. 점점. 〔동의어〕ますます; 확실히. 정말로. 〔동의어〕確かに; 마침내. 드디어. 〔동의어〕とうとう; 최악의 경우에는. 여차하면
先
끝; 앞. 선두; 그곳으로부터 떨어진 곳. 전방; 행선지. 목적지; (장사나 교섭의) 상대편; 앞날. 장래. 전도; 먼저; 이전. 과거. 〔반의어〕 あと·のち; 이어지는 부분. 남은 부분; 『문어』 복. 행복. 〔동의어〕さち; 꽃이 핌. 개화(開花); 산부리. 〔동의어〕ではな; 좌기. (세로쓰기 문장에서) 다음에 적음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百
백; 백세; 수량이 많음의 비유
メートル
미터; 미터법에서 길이의 기본 단위. 〔참고〕 「米」 「米突」는 차자; ⇒ メーター1.
四十キロで走行すると、 よく聞こえるそうです。
聞こえる
(소리가) 들리다; (…으로) 여겨지다. 해석되다. 받아들여지다; 납득되다. 이해되다; 세상에 알려지다. 이름나다. 【문어형】 きこ·ゆ {하2단 활용}
四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十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走行
『문어』 조갑. 손톱·발톱; 쌍구; 글씨 위에 얇은 종이를 대고, 가는 선으로 글씨의 윤곽만을 떠내는 일; 장행. 떠나는 사람의 앞길을 축복하고 격려함. 〔참고〕 「送行」로도 씀; 『지리·지학·지명』 주향. 층향. 경사진 지층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직선의 방향; (자동차 따위의) 주행; ⇒ くさかんむり; 초고. 원고; 『문어』 주공; 공적을 나타냄; 『문어』 주효. 효과가 나타남. 효과가 오름; 송고; 장갑. 두꺼운 강철판을 입힘; 『지리·지학·지명』 상항. 샌프란시스코의 한자명; 창구. (배의 상갑판에 있는) 해치. 〔동의어〕ハッチ; 조행. 품행; 상강. 24절기의 하나. 10월 23, 24일쯤; 『문어』 조강. 지게미와 겨. 변변치 못한 음식. 또는 가난한 생활; 이리저리. 이럭저럭; 『문어』 창황. 몹시 당황하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문어』 쟁영. 산이 높고 가파른 모양. {문어·タリ 활용}
じゃあ行ってみましょう!
じゃあ
《「では」의 변한말》;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그렇다면. 〔동의어〕それならば. 1.2.〔동의어〕じゃ
進み始めました。
進み
나아감. 나아가는 정도; 마음이 내킴. 의욕. 〔동의어〕やる気; 발전함. 진보함. 진도
始め
처음. 시작. 시초. 〔반의어〕 終わり; 기원. 근원. 발단. 최초. 당초; 처음 부분. 첫머리; (많은 것 중에서) 주가 되는 것. 위시함. 비롯함; 〈接尾語적으로 써서〉 시초. 〔참고〕 시간에 관해서는 보통 「初め」, 일에 관해서는 「始め」를 씀
もうすぐ、 メロディーロードが見えてくるかと思います。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メロディー
『음악』 멜로디. 가락. 선율. 〔동의어〕旋律
見え
외관. 외양. 볼품; 겉치레. 허영. 허세. 허식. 〔참고〕 2.는 흔히 「見栄」로 씀; (歌舞伎에서) 배우가 절정에 이른 감정을 관객에게 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순간 동작을 멈추고 유다른 표정이나 자세를 취하는 일. 〔참고〕 3.은 흔히 「見得」로 씀
ロード
로드; 『기독교』 그리스도교에서, 하나님 또는 그리스도. 주(主)
では、 スタートします。
スタート
스타트; 출발. 출발점; 착수. 개시
さあ、 いかがだったでしょうか。
いかが
《「いかにか」의 변한말》; 상대의 기분·의견 등을 묻는 말. 어떻게. 〔동의어〕どのよう(に); 상대에게 무엇을 권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 어떻습니까. 〔동의어〕どうです; 의심·걱정을 나타내는 말. 어떤가. 〔동의어〕どうであろう(か);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어찌 …것인가
さっきのね、 富士山をくっきり見て、 その後にこの「 富士の山」 を聴いて、
さっき
《속어》 《「さき」의 促音 첨가. 副詞적으로도 씀》 아까. 조금 전. 〔동의어〕さきほど·先刻; 살기; 『문어』 한랭한 기운. 가을·겨울의 한기(寒氣); 『문어』 기구함. 〔동의어〕すうき; 독후의 의견·감상 등을 수시로 적어 놓은 것. 수상록(隨想錄)
くっき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뚜렷하게. 선명하게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富士山
静岡현과 山梨현의 경계에 있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 ((휴화산(休火山)으로 높이는 3,776m)) 〔동의어〕ふじ·富岳. 〔참고〕 「不二山」 「不尽山」이라고도 씀
そして、 これ少し下ったところにですね、 芦ノ湖がくっきり見えるところもありますので、
見える
《「目見える」의 뜻》; 〈「会う」의 겸사말〉 (윗사람을) 만나 뵙다. 알현(謁見)하다. 배알(拜謁)하다; 만나다. 대면하다; 섬기다. 【문어형】 まみ·ゆ {하2단 활용}
そして
⇒ そうして
くっき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뚜렷하게. 선명하게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この芦ノ湖スカイラインなかなか楽しみが多いですよね。
楽しみ
낙. 즐거움. 즐길 거리. 즐기는 일. 재미. {문어·ナリ 활용 }
なかなか
꽤. 상당히. 매우. 〔동의어〕かなり·ずいぶん; 〈흔히, 否定語가 따르며〉 그렇게 간단하게는. 쉽사리. 좀처럼; 《고어》 상대의 말에 맞장구를 칠 때 하는 말. 그렇소. 맞았소. 그렇고말고. 〔참고〕 狂言 등에서 자주 씀
多い
덮개. 씌우개. 피복. 커버; 《고어》 《「大飯」의 변한말》 천황의 수라. 또는 그 음식의 조리;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 지르는 소리. 어이. 〔참고〕 「おうい」 「おい」로도 씀; (수량·횟수·물건 등이) 많다. 〔반의어〕 少ない. 〔참고〕 「多い人が来る」라고는 하지 않고 「多くの人が来る(많은 사람이 오다)」로 하며, 또한 「多い本がある」도 「多くの本がある(많은 책이 있다)」라고 함. 【문어형】 おほ·し {ク 활용}
スカイライン
스카이라인.; (산악 지대의) 전망 좋은 관광용 드라이브웨이.
もし、 お近くに来ることがありましたら、 ぜひぜひ寄ってみてください。
来る
《動詞 「来る」의 連体形에서》(날짜 등의 앞에 붙어) 오는. 다가오는. 〔반의어〕 去る; 『문어』; 오다. 〔동의어〕来る. 〔반의어〕 去る; 〈接尾語적으로〉 …하여 오다
ください
《「下さる」의 命令形》 주십시오; 《「お」+動詞의 連用形, 「ご」+한자어, 또는 動詞의 連用形+助詞 「て(で)」의 꼴 등에 붙음》 남에게 권하거나 바라는 뜻을 나타냄. …해 주세요.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近く
근처. 가까운 곳. 〔동의어〕近所. 〔반의어〕 遠く; 〈数詞에 붙여〉 …에 가까움; 곧. 근간. 일간(에); 『지리·지학·지명』 지핵. 〔동의어〕核·コア; 『지리·지학·지명』 지각. 지구의 외각(外殼); 지각; 『심리학』 감각 기관을 통하여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작용; 감지
では、 また!
やった、 成功した!
成功
정공. 정면에서 공격함; ⇒ せいこく. 〔참고〕 「せいこく」의 관용음; 생경; (태도 등이) 세상사에 어둡고 융통성이 없음; (문장 등이) 미숙하고 딱딱함. {문어·ナリ 활용 }; 성공. 〔반의어〕 失敗; 서교. (도시의) 서쪽 교외. 〔동의어〕さいこう; 성향. 성격. 기질; 성행; 정강; 청광. 청명한 빛. 특히 맑은 달빛을 이름; 『문어』 청향. 맑은 향기. 좋은 냄새; 성행. 한창 유행함; 정교. {문어·ナリ 활용 }; 정강. 정련(精鍊)한 강철; 제강. 강철을 만듦; 『문어』 (항공기 등으로) 서쪽으로 감; 정책의 개요; 성교. 〔동의어〕セックス
今回四度目のトライです。
四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トライ
트라이.; (럭비에서) 상대편 인골(ingoal)에 공을 갖다 찍음.; 시험. 시도.
よかった!
技能五輪 職種紹介ビデオ ウェブデザイン
変わりたい唄
東京で新たに292人の感染確認 6日連続の200人超え(20/08/02)
警視総監が東京ドームで始球式 テロ対策を呼びかけ
東海と関東で記録的大雨 新幹線一時運転見合わせも(2022年5月27日)
イスラエル レストランなどワクチン接種証明不要に(2022年2月7日)
大阪税関 時価“13億円”約100kgの金を売却へ(2024年5月14日)
イギリス ロシア資産家保有のヨット差し押さえ(2022年3月30日)
百貨店各社の売り上げ回復傾向 高額商品も好調(2021年4月1日)
安倍総理「いい年にしたい」 新年初ゴルフで抱負(20/01/02)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