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んにちは。モルモルです
Choose a rabbit, know who is suitable for you in love
896 viewこんにちは。モルモルです
突然ですが、みなさんは理想の恋愛像を持ちですか
恋愛願望がある人ならば、「こんな恋がしたい」という理想もあるかもしれませんねぇ
今回は心理テストを使って、自分の理想の恋愛感を探ってみましょう
あなたと相性のいいタイプもわかるので、ぜひ参考にしてみてくださいね
それではスタートです
問題
想像してください
あなたは大好きな人と公園でデートをしています
すると一羽のウサギを見つけました
あなたが見つけたのはどのウサギだと思いますか
皆さんはどのうさぎを選びましたか?
それでは結果を見ていきましょう
1のうさぎ
あなたの理想の恋愛は、いつまで立ってもトキメキが薄れないような恋愛のようです
付き合いたての頃のあのドキドキ感を、失いたくないのでしょう
最初はドキドキしてときめく関係でも、付き合いが長くなればなるほど、そのときめきは薄れるものです
それは自然なことであって、悪いことではないのですが、そんな関係の変化に、
あなたは愛情が冷めてしまったような感覚を覚えるのでしょう
1と3のウサギを選んだ人とお付き合いをすると、理想の恋愛が叶いそうです
にのうさぎ
あなたが理想とする恋愛は、安定した恋愛です
逆に起伏の激しい恋愛は苦手なよう
よく喧嘩をしたり、意見が食い違うような恋愛は、あなたが一番望まない恋愛の形です
お互いを思いやり、いつもそばにいてくれるような安心感のある関係を望んでいるのでしょう
お互いに相手を尊重できる関係は、まさにあなたの理想です
2と4のうさぎを選んだ人とお付き合いをすると、理想の恋愛ができそうです
さんのウサギ
あなたが理想とする恋愛は、特別感のある恋愛です
運命的な出会いに憧れているのでは?
ありきたりな出会いや、可もなく不可もない平凡なお付き合いに、あなたは物足りなさを感じまし
場合によっては孤独すら感じてしまうかもしれません
「この出会いは特別だ」と思えるような出会いには、運命すら感じるでしょう
あなたが恋をするときは、できるだけ相手の立場を考え
思いやりを持つようにしましょう
そうすれば、あなたが理想とする恋愛は必ず手に入りそうです
1と3のウサギを選んだ人とお付き合いをすると、理想の恋ができそうです
4のウサギ
あなたが理想とする恋愛は、友達のような付き合いができる恋愛のようです
恋愛のときめきも大切ですが、あなたは付き合いが長くなればなるに連れ、
恋愛のときめきは薄れるということを知っています
関係がある程度落ち着いたと感じたら、それからは友達のような仲の良い関係を築きたいと思うのでしょう
恋愛の現実的な部分をしっかりと見ることができるあなたなので、末永くお付き合いができそうです
2と4のうさぎを選んだ人と付き合えばすると、理想的な恋愛をする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
今回の心理テストはここまでです
皆さんの理想の恋はどんな恋愛でしたか
素敵な恋をしたいものですねぇ
最後までご視聴いただき、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次の動画も楽しみにしていてくださいねー
こんにちは。モルモルです
こんにちは
낮에 하는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突然ですが、みなさんは理想の恋愛像を持ちですか
突然
《副詞는 「~に」의 꼴로도 씀》 돌연. 갑자기. 〔동의어〕突如
理想
이상
像
『동물·동물학』 코끼리; 상; 물체의 모양. 또는 모습; 신불(神佛)·사람 등의 모양을 본뜬 조각이나 그림; 『물리』 빛의 반사·굴절로 나타내는 물체의 모양; (수량·금액 등이) 불어남. 불게 함. 증가함. 〔반의어〕 減; 『문어』 미워함. 미움; 가지고 있음. 가지고 있는 것. 소장(所藏)함; 소장. 소유; 『문어』; ⇒ 雑歌; 《接頭語적으로 씀》; 물건을 보냄; 추증(追贈)의 뜻을 나타냄. 증
みなさん
《「皆様」의 다소 스스럼 없는 표현》 여러분
持つ
《속어》 《「臓物」의 준말》 요리의 재료로서의, 닭·소·돼지 등의 내장; 지속하다. 지탱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손에) 들다; (몸에) 지니다. 휴대하다; 소유하다; 존재하다. 있다; 마음에 품다; 맡다. 담당하다. 부담하다; 어떤 성질·속성 등을 지니다. 갖추다; 개최하다. 〔동의어〕開く; 관계하다; 〈「…をもって」 「…をもちまして」의 꼴로〉 …에 의해서. 【가능동사】 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恋愛
연애. 〔동의어〕恋
恋愛願望がある人ならば、「こんな恋がしたい」という理想もあるかもしれませんねぇ
理想
이상
恋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恋愛
연애. 〔동의어〕恋
願望
안모. 얼굴의 생김새. 〔동의어〕顔付き; 원망. 원하고 바람. 또는 그 소원. 〔동의어〕がんもう
今回は心理テストを使って、自分の理想の恋愛感を探ってみましょう
理想
이상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心理
심리; 『문어』 심리. 마음속. 심중(心中); 진리; 심리; 사실이나 조리(條理)를 자세히 조사하여 처리함; 재판의 기초가 되는 사실 관계 및 법률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법원이 조사하는 행위
探る
《고어》 《「穴穿る(구멍을 파다)」의 뜻》; 뒤져 조사하다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使う
쓰다. 사용하다. 부리다. 고용하다. 〔동의어〕召し使う; (어떤 동작을 시키기 위하여) 조종하다. 부리다. 〔동의어〕あやつる; (도구·수단으로서) 이용하다; 술수를 쓰다; 소비하다; 마음[머리]을 쓰다; 어떤 동작을 하다; (그것으로) 특정 동작을 하다. 【가능동사】 つか·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テスト
테스트; (연극·방송 등에서) 본공연[방송]에 앞선 예비 연습
恋愛
연애. 〔동의어〕恋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あなたと相性のいいタイプもわかるので、ぜひ参考にしてみてくださいね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タイプ
타입. 형(型). 형식. 유형; 〈接尾語적으로 쓰여〉 …와 같은 성질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냄. 타입; 〈「タイプライター」의 준말〉 타이프. 타자기. 타자
参考
태황태후·황태후·황후의 총칭. 〔동의어〕三宮; 삼경. ((오후 11시~오전 1시)) 한밤중. 〔동의어〕まよなか; 삼황.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세 황제)); 삼강. 군신·부자·부부의 도리; 『문어』 산행; 산속을 여행함. 산을 넘어감; 『문어』 뵈러 감. 찾아뵘. 〔동의어〕参上; 참고; 『물리』 산광. 빛이 사방으로 흩어짐. 또는 그 빛; 찬공. 천공. 구멍을 뚫음. 펀치를 찍음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相性
궁합이 맞음. 성격이 서로 맞음; 애상. 슬퍼하고 상심함; 애첩; 애칭. 페트 네임. 〔동의어〕ペットネーム; 애창; 애송. 〔참고〕 「愛唱」는 대용자
それではスタートです
スタート
스타트; 출발. 출발점; 착수. 개시
それでは
(앞의 말을 받아) 그런 상태로서는. 그래서는. 〔동의어〕それじゃ; 그럼. 그렇다면. 그러면. 〔동의어〕それじゃ
問題
問題
문제
想像してください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想像
송상. (텔레비전의) 영상을 전파로 바꾸어 보냄. 〔반의어〕 受像; 창조; 상상
あなたは大好きな人と公園でデートをしています
デート
데이트; 날짜; (남녀가) 서로 약속을 하고 만남. 또는 그 약속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公園
구연; 구술(口述); 공원; 공연; 광염; 빛나는 불꽃; 호연. 훌륭한 연기나 연주; 후원; 『문어』 원군. 후진(後陣); 후원; 홍염; [promiminence]『천문』 프로미넌스. 태양의 표면에서 뿜어 나오는 불꽃 같은 고온 가스. 〔동의어〕プロミネンス; 『문어』 황원. 황폐한 정원; 『문어』 향연. 불전(佛前) 등에서, 피우는 향의 연기; 『문어』 강연. 강의하는 자리; 강연; 『문어』 고원. 고상하고 원대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합언. 갑자기 일어나는[발생하는] 모양. 홀연히. 별안간. 덜컥. ((주로 사람의 죽음의 형용)) {문어·タリ 활용}; 『문어』 광원. 굉원. 훤하게 넓고 큼. 원대함. {문어·ナリ 활용 }
大好き
아주 좋아하는 모양
すると一羽のウサギを見つけました
すると
《動詞 「する」+接続詞 「と」》; 그랬더니. 그러자; 그러면. 그렇다면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羽
묘; 《속어》 토끼; 『조류』 가마우지; 『불교』 존재하는 것. 생존; 『문어』; 빙 돌아서 멀리 돌아서 감; 사정에 어두움. 오활(迂闊).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토끼. 〔동의어〕うさぎ; 『음악』 생황과 비슷한 죽제(竹製) 관악기. 초기에는 36관(管)이었으나 후에 19관 또는 17관이 됨; 「得る」의 문어; 《고어 助動詞 「む」의 변한말. 현대어에서는 五段活用動詞·形容詞·形容動詞·助動詞 「ます·です·た·たい·ない·だ·ようだ·そうだ」 등의 未然形에 붙음. 그 밖의 動詞 및 助動詞의 未然形에는 「よう」가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를 나타냄. …하자. …겠다. …하려 하다; 상대편에 대한 권유나 완곡한 명령·희망을 나타냄. …하자꾸나. …하여 다오; 객관적인 사태에 대한 짐작 또는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냄. …겠지. …일 것이다; 말하는 이의 짐작이나 상상을 나타냄. …겠지; 의문·질문·반어(反語) 등을 나타냄. …할 것인가. …하랴;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임을 나타냄. …하려고 하다. …하려는 참이다; 허용성(許容性)을 나타냄. …일 법하다; 가능성(可能性)을 나타냄. …할 수 있다. …일 수 있다; 가상(假想)을 나타냄. …건. …거나. …든지
あなたが見つけたのはどのウサギだと思いますか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皆さんはどのうさぎを選びましたか?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皆さん
《「皆様」의 다소 스스럼 없는 표현》 여러분
それでは結果を見ていきましょう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結果
결과. 수업에 빠짐; 『문어』 결하. 홍수로 강물이 넘쳐 둑을 무너뜨림; 결과; 결실(結實); 어떤 원인에 의하여 생긴 결말이나 상태. 〔반의어〕 原因; 《「結跏趺坐」의 준말》 결가부좌. 결가; 『문어』 궐하. 임금의 앞
それでは
(앞의 말을 받아) 그런 상태로서는. 그래서는. 〔동의어〕それじゃ; 그럼. 그렇다면. 그러면. 〔동의어〕それじゃ
1のうさぎ
あなたの理想の恋愛は、いつまで立ってもトキメキが薄れないような恋愛のようです
理想
이상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立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薄れる
엷어지다; 약해지다. 희미해지다; 적어지다. 줄어들다. 【문어형】 うす·る {하2단 활용}
恋愛
연애. 〔동의어〕恋
付き合いたての頃のあのドキドキ感を、失いたくないのでしょう
失う
잃다; 상실하다. 잃어버리다. 〔동의어〕なくす; 놓치다; 여의다. 사별하다; 알 수 없게 되다; 〈「…たるを~·わない」의 꼴로〉 충분히 …의 자격[능력]이 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頃
굴림대; 가늘고 짤막한 장작. 나무토막; 〈「さいころ」의 준말〉 주사위; 작고 둥근 것을 나타내는 말; 『문어』 때. 계절. 시절; 무렵. 시절; (적절한) 시기. 기회
付き合い
교제. 사귐. 〔참고〕 「交際」는 대용자; 서로 찌름. 서로 밀침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最初はドキドキしてときめく関係でも、付き合いが長くなればなるほど、そのときめきは薄れるものです
関係
『문어』 간계. 간사한[나쁜] 계략. 〔동의어〕奸策; 『법률』 환형. 벌금이나 과료(科料)를 낼 수 없는 이에게 일정 기간 노역(勞役)을 과하는 일; 『문어』 관형. 관대한 형벌; 관계; 둘 이상이 서로 걸림; 그 방면. 그 영역; 관련됨. 영향을 미침; 남녀의 정교(情交); 『문어』 거둥했던 왕후나 태자가 궁으로 돌아옴. 〔반의어〕 行啓; 함형. 군함의 형(型); 『문어』 간경. 간결하고 힘참. {문어·ナリ 활용 }
最初
자세히 씀. 또는 그 글; 최초. 맨 처음. 〔반의어〕 最後·最終
付き合い
교제. 사귐. 〔참고〕 「交際」는 대용자; 서로 찌름. 서로 밀침
長い
한곳에 오래 머무름. 〔동의어〕長座; (공간적으로) 길다; (시간적으로) 길다. 오래다. 〔참고〕 「永い」로도 씀; 길이 멀다; 마음이 느슨하다. 늘쩡하다. 1.~4. 〔반의어〕 短い. なが·さ 【명사】 【문어형】 なが·し {ク 활용}
薄れる
엷어지다; 약해지다. 희미해지다; 적어지다. 줄어들다. 【문어형】 うす·る {하2단 활용}
ときめく
(기쁨·기대 등으로) 가슴이 설레다. 가슴이 두근거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시류를 타고 위세를 떨치다. 한창 들날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れは自然なことであって、悪いことではないのですが、そんな関係の変化に、
関係
『문어』 간계. 간사한[나쁜] 계략. 〔동의어〕奸策; 『법률』 환형. 벌금이나 과료(科料)를 낼 수 없는 이에게 일정 기간 노역(勞役)을 과하는 일; 『문어』 관형. 관대한 형벌; 관계; 둘 이상이 서로 걸림; 그 방면. 그 영역; 관련됨. 영향을 미침; 남녀의 정교(情交); 『문어』 거둥했던 왕후나 태자가 궁으로 돌아옴. 〔반의어〕 行啓; 함형. 군함의 형(型); 『문어』 간경. 간결하고 힘참. {문어·ナリ 활용 }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変化
변화; (성질·상태 등이)바뀜; 『언어학』 단어의 어형(語形)이 용법에 따라 꼴을 바꾸는 일
悪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하기 어렵다. 좀처럼 …할 수 없다. …하기 거북하다.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밉다. 얄밉다. 밉살스럽다. 〔동의어〕憎らしい; 〈反語적으로〉 (얄밉도록) 기특하다. 훌륭하다. にく·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にく·げ 【형용동사】 にく·さ 【명사】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自然
『문어』 사전. 선사. 유사 이전; 자연. 천연(天然); 자연스러움. 꾸밈이 없음; 저절로 그렇게 됨; 《「~に」 「~と」의 꼴로도 씀》 자연히. 저절로; 『문어』 지선. 더없이 착함. 최고선
あなたは愛情が冷めてしまったような感覚を覚えるのでしょう
愛情
애정. 슬픈 마음; 어떤 술자리에 나가 있는 기생을 다른 손이 다른 자리로 부르려고 할 때 보내는 쪽지; 애정. 사랑; 귀염둥이 딸. ((남의 딸에 대하여 이르는 말)) 〔동의어〕愛娘. 〔반의어〕 愛息
感覚
『문어』 간객; 독자(讀者). 읽는 사람; 간격. 〔동의어〕へだたり; 감각; 『생리학』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의 감각; 사물을 느껴서 받아들이는 마음의 작용; ⇒ かんきゃく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冷める
식다.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잠이 깨다. 눈이 뜨이다. 〔반의어〕 眠る; 깨닫다. 정신을 차리다; 술이 깨다. 제정신이 들다.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바래다. 퇴색하다. 〔동의어〕あせる. 【문어형】 さ·む {하2단 활용}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覚える
느끼다; 기억하다. 〔참고〕 「憶える」로도 씀; 터득하다. 익히다; 생각되다. 〔동의어〕思われる. 【문어형】 おぼ·ゆ {하2단 활용}
1と3のウサギを選んだ人とお付き合いをすると、理想の恋愛が叶いそうです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理想
이상
付き合い
교제. 사귐. 〔참고〕 「交際」는 대용자; 서로 찌름. 서로 밀침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叶う
(조건이나 기준 등에) 꼭 맞다. 들어맞다; 이루어지다. 성취되다. 뜻대로 되다;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이 허용되다; 대항할 수 있다. 필적하다; 「かなえる」의 문어
恋愛
연애. 〔동의어〕恋
にのうさぎ
あなたが理想とする恋愛は、安定した恋愛です
安定
안정
理想
이상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恋愛
연애. 〔동의어〕恋
逆に起伏の激しい恋愛は苦手なよう
苦手
다루기 벅찬 상대. 대하기 싫은 상대; 서투름. 잘하지 못함
激しい
심하다. 격심하다; 세차다. 격렬하다. 과격하다. 격하다. はげし·さ 【명사】 【문어형】 はげ·し {シク 활용}
逆
『문어』 학질. 〔동의어〕おこり; 역; 반대. 거꾸로임. 〔반의어〕 順. {문어·ナリ 활용 }; ⇒ 逆手1.
起伏
『문어』 귀복. 복종; 기복; 지세(地勢)가 높아졌다 낮아졌다 함; 성했다 쇠했다 함
恋愛
연애. 〔동의어〕恋
よく喧嘩をしたり、意見が食い違うような恋愛は、あなたが一番望まない恋愛の形です
意見
위권. 위력과 권력; 『문어』 ⇒ 意見2.; 의견. 생각; 『철학』 확신이 없는 판단. 억견(臆見); 『법률』 위헌. 〔반의어〕 合憲; 유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초야에 묻혀 있는 유능한 인재
形
굳은. 딱딱한; (한 쌍 중의) 한쪽. 짝. 편; (둘이 있어야 할 것 중의 한쪽을 가리키는) 짝. 외; 불완전함; 한쪽에 치우침; 약간. 조금; 형. 모양. 형상. 〔동의어〕かたち; 저당. 담보. 〔동의어〕抵当; 흔적. 자국; 어깨; 어깨와 비슷한 부분. 산꼭대기에 가까운 평평한 부분; 옷의 어깨 부분; 물건 위쪽의 모서리 부분; 형. 본. 틀. 거푸집. 골; 무도(武道)·예도(藝道)·운동 등의, 규범이 되는 동작이나 일정한 형(型). 폼. 〔동의어〕フォーム; 습관으로 정해진 형식. 틀. 관례; 전형(典型). 형. 유형(類型). 〔동의어〕タイプ·パターン; 크기. 사이즈; 『지리·지학·지명』 사구(砂丘) 등으로 바다와 분리되어 생긴 호수나 늪. 석호(潟湖). 〔동의어〕せきこ; 개펄. 간석지(干潟地). 〔동의어〕ひがた; 《関西(관서)방언》 만(灣); 『문어』 과다. 퍽 많음. {문어·ナリ 활용 }; 분. ((남에 대한 높임말)); 『문어』 방향. 방위. 쪽. 편. 〔동의어〕むき·方位; 『문어』 즈음. 시절. 무렵. 시대. 〔동의어〕ころ·時分; 『문어』 장소. 곳; 『문어』 〈흔히 否定語가 따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방법. 수단; 둘 가운데 한쪽. 편; 담당자. 〔동의어〕係; 〈남의 이름에 붙어〉 그 사람 집에 의지하고 있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방법. 수단; 〈動詞의 連用形이나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을 함. …하기; 사람을 셀 때의 높임말. 분. ((「おひとかた(한 분)」 「おふたかた(두 분)」 「おさんかた(세 분)」의 꼴로만 씀)); 『문어』 과다함. 〔반의어〕 過少. {문어·ナリ 활용 }
望む
바라다. 원하다. 〔동의어〕願う; 멀리서 보다. 바라보다. 전망(展望)하다. 〔동의어〕眺める; 우러르다. 흠모하다. 【가능동사】 のぞ·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면하다. 향하다. 대하다; 임하다. 임석하다. 즈음하다; 당하다. 마주치다. 직면하다; (아랫사람을) 대하다. 【가능동사】 のぞ·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一番
첫째. 맨 처음[먼저]; 일등. 제일. 으뜸; 최상. 상책; 한 쌍. 한 조(組). 〔동의어〕ひとつがい; (장기·바둑·씨름 등의) 한 판. 일 회. 한 번. 단판; 謡曲·能 등의 한 곡; (일반적으로 사물의) 한 번. 일 회. 〔동의어〕一度; 가장. 맨; 우선. 시험삼아. 한번. 큰마음 먹고. 〔참고〕 「一番」는 딴말임
喧嘩
현하. 그 현의 관할 지역. 〔동의어〕県内; 현화. 그 현을 상징하는 꽃; 싸움. 다툼. 언쟁. 〔동의어〕いさかい; 견과. 껍질이 단단한 열매. ((밤·도토리 등)); 헌화; 권가. 권문(權門). 세가(勢家). 〔동의어〕権門·勢家; 『화학』 감화. 비누화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食い違う
어긋나다. 엇갈리다. 어그러지다. 일치하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恋愛
연애. 〔동의어〕恋
お互いを思いやり、いつもそばにいてくれるような安心感のある関係を望んでいるのでしょう
安心
안심. {문어·ナリ 활용 }
関係
『문어』 간계. 간사한[나쁜] 계략. 〔동의어〕奸策; 『법률』 환형. 벌금이나 과료(科料)를 낼 수 없는 이에게 일정 기간 노역(勞役)을 과하는 일; 『문어』 관형. 관대한 형벌; 관계; 둘 이상이 서로 걸림; 그 방면. 그 영역; 관련됨. 영향을 미침; 남녀의 정교(情交); 『문어』 거둥했던 왕후나 태자가 궁으로 돌아옴. 〔반의어〕 行啓; 함형. 군함의 형(型); 『문어』 간경. 간결하고 힘참. {문어·ナリ 활용 }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望む
바라다. 원하다. 〔동의어〕願う; 멀리서 보다. 바라보다. 전망(展望)하다. 〔동의어〕眺める; 우러르다. 흠모하다. 【가능동사】 のぞ·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면하다. 향하다. 대하다; 임하다. 임석하다. 즈음하다; 당하다. 마주치다. 직면하다; (아랫사람을) 대하다. 【가능동사】 のぞ·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いつも
언제나. 항상. 늘. 〔동의어〕常に; 평소. 평상시. 여느 때. 〔동의어〕平生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お互いに相手を尊重できる関係は、まさにあなたの理想です
関係
『문어』 간계. 간사한[나쁜] 계략. 〔동의어〕奸策; 『법률』 환형. 벌금이나 과료(科料)를 낼 수 없는 이에게 일정 기간 노역(勞役)을 과하는 일; 『문어』 관형. 관대한 형벌; 관계; 둘 이상이 서로 걸림; 그 방면. 그 영역; 관련됨. 영향을 미침; 남녀의 정교(情交); 『문어』 거둥했던 왕후나 태자가 궁으로 돌아옴. 〔반의어〕 行啓; 함형. 군함의 형(型); 『문어』 간경. 간결하고 힘참. {문어·ナリ 활용 }
まさに
확실히. 틀림없이. 정말로. 바로. 〔동의어〕たしかに; 꼭 들어맞는 모양. 꼭. 딱. 완전히. 〔동의어〕ちょうど·ぴったり; 이제 막. 바야흐로. 〔동의어〕ちょうど今. 〔참고〕 3.은 「将に」로도 씀; 〈「~…すべし」의 꼴로〉 반드시. 꼭. 필히. 마땅히. 〔동의어〕必ず·きっと. 〔참고〕 4.는 「当に」로도 씀; 《고어》 〈反語적 표현과 함께 「~…や」의 꼴로〉 왜 …느냐. 어찌 …하랴. 〔동의어〕どうして…しようか
相手
상대; 무엇을 함께하는 사람. 〔동의어〕仲間; 경쟁자; 상대가 되는 사람. 짝
理想
이상
尊重
村의 장. ((한국의 면장에 해당)); 존장. 손윗사람. 장상(長上). 〔동의어〕長上·尊長者; 존중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2と4のうさぎを選んだ人とお付き合いをすると、理想の恋愛ができそうです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理想
이상
付き合い
교제. 사귐. 〔참고〕 「交際」는 대용자; 서로 찌름. 서로 밀침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恋愛
연애. 〔동의어〕恋
さんのウサギ
あなたが理想とする恋愛は、特別感のある恋愛です
特別
특별. 〔동의어〕格別. {문어·ナリ 활용 }
理想
이상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恋愛
연애. 〔동의어〕恋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運命的な出会いに憧れているのでは?
出会い
해후. 마주침. 만남. 〔동의어〕巡りあい; (남녀의) 밀회. 〔동의어〕あいびき; (강 등의) 합류점; 채색(彩色)의 배합. 〔동의어〕色取り; 공동 작업; 『경제』 팔 사람과 살 사람이 값이 맞아서 거래가 이루어짐
憧れる
『문어』; 마음이 끌리다. 동경하다. 〔동의어〕あこがれる. 【문어형】 あくが·る {하2단 활용}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運命
운명. 〔동의어〕めぐりあわせ
ありきたりな出会いや、可もなく不可もない平凡なお付き合いに、あなたは物足りなさを感じまし
不可
『어류』 큰 상어류의 속칭. 또는 「さめ」의 딴이름; 불가; 옳지 않음. 좋지 않음. 〔반의어〕 可; (성적 평가에서) 불합격을 나타내는 평점. 낙제점; 불가. …할 수 없음; 부가. 어떤 것에 다른 종류의 것을 덧붙임; 부하. 府의 구역 안[관내]; 부하; 짊어짐. 떠맡음; 자식이 부모의 업을 이어받아 그 임무를 다함. 또는 그 일; 『물리』 원동기에 가해지는 작업량. 하중(荷重); 부화. 실속 없이 겉만 화려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부가. 부자. 부잣집. 〔동의어〕ふうか. 〔반의어〕 貧家; 부화; 부과
可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付き合い
교제. 사귐. 〔참고〕 「交際」는 대용자; 서로 찌름. 서로 밀침
出会い
해후. 마주침. 만남. 〔동의어〕巡りあい; (남녀의) 밀회. 〔동의어〕あいびき; (강 등의) 합류점; 채색(彩色)의 배합. 〔동의어〕色取り; 공동 작업; 『경제』 팔 사람과 살 사람이 값이 맞아서 거래가 이루어짐
平凡
평범. 〔반의어〕 非凡. へい-ぼん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物足りない
《「もの」는 接頭語》 뭔가 아쉽다. 어쩐지 섭섭[허전]하다. 무언지 미흡하다. もの-たりな·げ 【형용동사】 もの-たりな·さ 【명사】 【문어형】 ものたりな·し {ク 활용}
場合によっては孤独すら感じてしまうかもしれません
場合
때. 경우. 〔동의어〕おり; 사정. 상태. 형편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孤独
고독. こ-ど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この出会いは特別だ」と思えるような出会いには、運命すら感じるでしょう
特別
특별. 〔동의어〕格別. {문어·ナリ 활용 }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出会い
해후. 마주침. 만남. 〔동의어〕巡りあい; (남녀의) 밀회. 〔동의어〕あいびき; (강 등의) 합류점; 채색(彩色)의 배합. 〔동의어〕色取り; 공동 작업; 『경제』 팔 사람과 살 사람이 값이 맞아서 거래가 이루어짐
運命
운명. 〔동의어〕めぐりあわせ
思える
생각할 수 있다. 생각되다. 느껴지다
あなたが恋をするときは、できるだけ相手の立場を考え
考える
생각하다. 헤아리다. 사고(思考)하다. 〔참고〕 「思う」는 정의적(情意的)인 데 대하여 「考える」는 지적(知的)임. 【문어형】 かんが·ふ {하2단 활용}
相手
상대; 무엇을 함께하는 사람. 〔동의어〕仲間; 경쟁자; 상대가 되는 사람. 짝
恋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立場
입장; 설 자리; 처지. 형편; 견지(見地). 관점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思いやりを持つようにしましょう
持つ
《속어》 《「臓物」의 준말》 요리의 재료로서의, 닭·소·돼지 등의 내장; 지속하다. 지탱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손에) 들다; (몸에) 지니다. 휴대하다; 소유하다; 존재하다. 있다; 마음에 품다; 맡다. 담당하다. 부담하다; 어떤 성질·속성 등을 지니다. 갖추다; 개최하다. 〔동의어〕開く; 관계하다; 〈「…をもって」 「…をもちまして」의 꼴로〉 …에 의해서. 【가능동사】 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うすれば、あなたが理想とする恋愛は必ず手に入りそうです
必ず
반드시. 꼭. 틀림없이. 〔동의어〕きっと
理想
이상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入る
들어가다. 들다. 〔동의어〕はいる. 〔반의어〕 出る; (어떤 경지에) 이르다; (해·별·달이) 지다; (어떤 환경에) 몸두다; (차차 변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다. 〔참고〕 현재는 보통 단독으로는 「はいる」가 쓰이고 「いる」는 「気に入る」「堂に入る」등 관용적인 표현에 쓰이는 것이 보통임; 「入れる」의 문어; 필요하다. 들다. 소용되다. 〔참고〕 「入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볶다; (달걀·두부 등을) 지지다. 【가능동사】 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 존재하다. 〔참고〕 옛날에는 물건에 대해서도 썼음; 근무하다; 앉다; 《고어》 (안개·구름 등이) 가만히 있다. 머물러 있다. {문어·하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동작·상태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반복을 나타냄; 현재의 상태를 나타냄; 과거에 있었던 동작·경험 등을 나타냄. 〔참고〕 「…ている」 「…ています」 「…ていた」는 상용어(常用語)에서 흔히 「…てる」 「…てます」 「…てた」의 꼴로 씀.{문어·하1단 활용}; 쏘다; (쏘아서) 맞히다; 쏘아보다; (자기 것을 만들려고) 노리다. 노려서 차지하다; (빛이 강렬하게) 비추다. 〔참고〕 근세 후기 부터 「矢を射った」와 같이 5[4]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볼 수 있음. {문어·상1단 활용}; 주조하다. (거푸집에) 부어 만들다. 지어 붓다. {문어·상1단 활용}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恋愛
연애. 〔동의어〕恋
1と3のウサギを選んだ人とお付き合いをすると、理想の恋ができそうです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理想
이상
恋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付き合い
교제. 사귐. 〔참고〕 「交際」는 대용자; 서로 찌름. 서로 밀침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4のウサギ
あなたが理想とする恋愛は、友達のような付き合いができる恋愛のようです
理想
이상
付き合い
교제. 사귐. 〔참고〕 「交際」는 대용자; 서로 찌름. 서로 밀침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友達
벗. 친구. 동무. 〔동의어〕友人·友
恋愛
연애. 〔동의어〕恋
恋愛のときめきも大切ですが、あなたは付き合いが長くなればなるに連れ、
連れる
⇒ つれて< 1> ; 치켜 올라가다. 〔참고〕 「吊れる」로 씀; 경련이 일어나다. 땅기다. 쥐가 나다. 〔참고〕 「攣れる」로 씀
付き合い
교제. 사귐. 〔참고〕 「交際」는 대용자; 서로 찌름. 서로 밀침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大切
대설; 24절기의 하나. ((12월 8일경)); 『문어』 대절; 중대한 사건. 〔동의어〕大事·; 『동물·동물학』 체절. 몸마디; 중요함. 귀중함. 소중함; 소중하게 다루는 모양. 물건을 아끼는 모양. 1.2.〔동의어〕大事. たい-せ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내설. 강설이나 적설에도 잘 견디는 성질
長い
한곳에 오래 머무름. 〔동의어〕長座; (공간적으로) 길다; (시간적으로) 길다. 오래다. 〔참고〕 「永い」로도 씀; 길이 멀다; 마음이 느슨하다. 늘쩡하다. 1.~4. 〔반의어〕 短い. なが·さ 【명사】 【문어형】 なが·し {ク 활용}
恋愛
연애. 〔동의어〕恋
恋愛のときめきは薄れるということを知っています
知る
즙; 국(물). 된장국; 남의 노고나 희생으로 얻는 이익; 알다; 인식하다; 분간하다; 이해하다; 기억하다; 경험하다; 안면이 있다; 관계하다; 습득하다
薄れる
엷어지다; 약해지다. 희미해지다; 적어지다. 줄어들다. 【문어형】 うす·る {하2단 활용}
恋愛
연애. 〔동의어〕恋
関係がある程度落ち着いたと感じたら、それからは友達のような仲の良い関係を築きたいと思うのでしょう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関係
『문어』 간계. 간사한[나쁜] 계략. 〔동의어〕奸策; 『법률』 환형. 벌금이나 과료(科料)를 낼 수 없는 이에게 일정 기간 노역(勞役)을 과하는 일; 『문어』 관형. 관대한 형벌; 관계; 둘 이상이 서로 걸림; 그 방면. 그 영역; 관련됨. 영향을 미침; 남녀의 정교(情交); 『문어』 거둥했던 왕후나 태자가 궁으로 돌아옴. 〔반의어〕 行啓; 함형. 군함의 형(型); 『문어』 간경. 간결하고 힘참. {문어·ナリ 활용 }
仲
대공(大空). 공중. 허공. 공간. 하늘; 욈. 암기. 〔동의어〕そら; 충; 충실(忠實); 충성; 주. 주석; 《속어》 「焼酎(소주)」의 준말; (일본식 버선의) 메뚜기. 〔동의어〕こはぜ; 『문어』 주벌(誅罰). 죄 있는 사람을 꾸짖다. 죄인을 죽임; 《속어》 《「という」의 변한말》 …라고 하는. 〔동의어〕つう; 중; 중앙. 중간. 한가운데. 〔동의어〕なか; 중간 정도. 〔동의어〕なかほど. 〔반의어〕 上·下·大·小; 치우치지 않음. 중용(中庸); 「中国」의 준말; 「中学校」의 준말; (야구에서) 「中堅手」의 준말; 《名詞에 붙어》 중; (시간적·공간적으로) 그 범위 안에 있음; 지금 그 상태에 있음. 진행 중임; 어느 사물의 범주 안에 속함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築く
쌓다. 쌓아올리다. 구축하다. 축조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友達
벗. 친구. 동무. 〔동의어〕友人·友
落ち着く
(일·마음 등이) 안정되다. 진정되다. 가라앉다. 나아지다; (거처나 직업이) 안정되다. 자리잡다. 정착하다; (말·동작이) 차분하다. 침착하다. 진드근하다; (일이) 결말나다. 낙착되다. 귀착되다; 「落ち着ける」의 문어
恋愛の現実的な部分をしっかりと見ることができるあなたなので、末永くお付き合いができそうです
しっか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견고한 모양. 튼튼한 모양. 단단히. 꽉; (기억·판단력 등이) 확실한 모양. 똑똑히. 확실히; (기량·성질·생각 등이) 견실한 모양. 착실히. 똑똑히. 빈틈없이; 심신이 건전한 모양. 의식이 확실한 모양. 정신 차려서. 똑똑히. 〔반의어〕 ぼんやり; (일·공부 등을) 열심히 하는 모양. 착실히. 열심히; 충분한 모양. 듬뿍. 잔뜩; 『경제』 (상거래가 활기를 띠어) 시세가 오르는 기미. 오름새
部分
부분. 〔반의어〕 全体; 『문어』 무문; 법률을 멋대로 해석해서 남용함; 붓을 멋대로 놀려 왜곡된 문사(文辭)를 씀. 무문곡필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現実
『천문』 구름의 빙정(氷晶)에 의한 빛의 굴절로 생기는 햇무리의 일종. 태양의 양쪽에 나타나며, 태양과 비슷하게 보임; 현실. 〔반의어〕 理想
付き合い
교제. 사귐. 〔참고〕 「交際」는 대용자; 서로 찌름. 서로 밀침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恋愛
연애. 〔동의어〕恋
2と4のうさぎを選んだ人と付き合えばすると、理想的な恋愛をする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理想
이상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付き合う
사귀다. 교제하다; (의리나 교제상) 행동을 같이 하다. 【가능동사】 つき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恋愛
연애. 〔동의어〕恋
今回の心理テストはここまでです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心理
심리; 『문어』 심리. 마음속. 심중(心中); 진리; 심리; 사실이나 조리(條理)를 자세히 조사하여 처리함; 재판의 기초가 되는 사실 관계 및 법률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법원이 조사하는 행위
テスト
테스트; (연극·방송 등에서) 본공연[방송]에 앞선 예비 연습
皆さんの理想の恋はどんな恋愛でしたか
どんな
어떠한. 〔참고〕 위의 예문에서와 같이 連体形은 일반적으로 語幹 그대로의 「どんな」이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助詞 「の」가 뒤따를 때에는 「どんなな」로 되는 경우도 있어 일반 連体詞와 다름; 〈「~に」의 꼴로〉 그 상태·수량이 무한함을 강조함. 얼마나. 얼마만큼. 아무리
理想
이상
恋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皆さん
《「皆様」의 다소 스스럼 없는 표현》 여러분
恋愛
연애. 〔동의어〕恋
素敵な恋をしたいものですねぇ
恋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素敵
매우 근사함. 매우 훌륭함. 아주 멋짐. ((주로 여성이 씀)); 굉장함. 대단함. 〔참고〕 1.2. 모두 「素的」 「素適」 등으로도 씀. {문어·ナリ 활용 }
最後までご視聴いただき、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いただく
머리에 얹다. 이다. 쓰다; 받들어 들다. 높이 쳐들다; 받들다. 모시다. 우러러 섬기다; 〈「もらう」의 겸사말〉 얻다. 〔동의어〕ちょうだいする; 〈「飲む」 「食べる」의 겸사말〉 마시다. 먹다. 들다. 【가능동사】 いただ·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もらう」의 겸사말〉 고마운 일을 남에게서 받는 뜻을 나타냄; 〈상대에게 부탁해서 자기가 무엇인가를 하도록 허가를 받는 뜻을 나타냄. 「させて~」의 꼴로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最後
최후. 마지막. 맨 끝. 맨 뒤. 〔반의어〕 最初; 〈「…したら~」 「…たが~」의 꼴로〉 …하면 끝장. 일단 …하기만 하면 그만; 임종. (생의) 최후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視聴
(바둑에서) 축(逐); 「消防士長」 「陸士長」 「海士長」 「空士長」의 준말; 지청. 〔반의어〕 本庁; 시청. 「市役所」의 딴이름; 시장; ⇒ じちょう; 사조. 역사의 흐름; 『문어』 지중. 지극히 소중함. 매우 중대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이장. 〔동의어〕ちちょう; 관대함과 엄격함; 사조. 사상의 경향[흐름]; 『문어』 사장; (중국에서) 사단장. 〔동의어〕師団長; 지장. 종이로 만든 모기장. 〔참고〕 지금은 거의 없으나 옛날에는 방한용으로도 사용되었음; 『문어』 시청; 보고 들음. 보기와 듣기. 〔동의어〕聴視; 주목. 이목. 관심; 시청; ⇒ オーディション; 치중; 구(舊)육군에서, 군대가 수송·보급하는 군수품의 총칭. 또는 그것을 맡은 병과(兵科). 수송
次の動画も楽しみにしていてくださいねー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楽しみ
낙. 즐거움. 즐길 거리. 즐기는 일. 재미. {문어·ナリ 활용 }
次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動画
동화. 〔동의어〕アニメーション; 동화; 아동이 그린 그림. 〔동의어〕児童画
韓国 実用衛星との交信に成功 尹大統領「宇宙強国のG7入り」(2023年5月26日)
ミスター・ノーバディ(だれだれくん)
ちびまる子ちゃん「まる子が生まれた日」の巻 ほか
瞬き
栄光の架橋
秋篠宮さま55歳の誕生日 眞子さまの結婚「認める」(2020年11月30日)
関東甲信山沿いで雪 東京都心は午前中か(20/01/18)
軽トラ庭園コンテスト 荷台に職人技が見せる“和風の美”(2024年5月11日)
富山「チューリップ球根まつり」皇室献上の限定セットや福袋など150品種10万球を販売(2023年10月7日)
今年のハロウィン 4人に1人が予定あり 予算は去年の1.4倍に増加(2023年10月19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