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の事を思い出すよ 考えればただ悔やむの
君の事を思い出すよ 考えればただ悔やむの
心の奥底で誓った 孤独の旅立ちをこれから
永遠と 君がmy girl oh-oh-oh
君だけをこれからもwont say good bye
時は巻き戻せない 二人は戻れない
顔上げて上を向こう 受け止めて行かなきゃ
理由なんて何もない そう誰も悪くない
前向いてさぁ行こう 全てAlright
悲しめば涙が心に刺さり 何かを伝えようとしてるこの僕に
Dont Worry!今までの事、これからの事、忘れなんてしないよ
君しか僕にいないの いつまでも僕だけのMy Girl
どれだけの季節が過ぎ こんなにもキミを想い
もう心壊れてしまえ 二度と会えないのなら
キミの影が映る 月明かりがキレイで...
キミよ...幸せになれ Haru Haru あの空へ...eh eh eh
キミが言うなら 全て受け入れよう 戻ることない日々にI say goodbye oh
気づかぬフリね 2人出逢っても 隠さないで立ち止まらないで
時が経てば忘れ 時にただ身を任せて
僕無しでも幸せでいて そんな 願いだけ叶えたいし
目を閉じれば そこには君
隣で優しく微笑み
永遠と君はここにいるよ 僕の中に
どれだけの季節が過ぎ こんなにもキミを想い
もう心壊れてしまえ 二度と会えないのなら
キミがボクの分まで 微笑んでくれることで
キミよ...幸せになれ Haru Haru あの空へ...eh eh eh
柔らかく包み込む(あの頃の2人を)
忘れてしまうだろう(Haru Haru say goodbye)
出会わなければ良かった? 苦しくて uh...
You & I 約束は守れない だからキミの為に消える
どれだけの季節が過ぎ こんなにもキミを想い
もう心壊れてしまえ 二度と会えないのなら
キミの影が映る 月明かりがキレイで...
キミよ...幸せになれ Haru Haru あの空へ...eh eh eh
どれだけの季節が過ぎ こんなにもキミを想い
もう心壊れてしまえ 二度と会えないのなら
キミの影が映る 月明かりがキレイで...
キミよ...幸せになれ Haru Haru あの空へ...eh eh eh
君の事を思い出すよ 考えればただ悔やむの
思い出す
생각하기 시작하다. 〔동의어〕思いはじめる; 생각해 내다. 상기하다. 생각나다. 【가능동사】 おもい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考える
생각하다. 헤아리다. 사고(思考)하다. 〔참고〕 「思う」는 정의적(情意的)인 데 대하여 「考える」는 지적(知的)임. 【문어형】 かんが·ふ {하2단 활용}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悔やむ
뉘우치다. 후회하다; 조상(弔喪)하다. 조위(弔慰)하다. 애도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心の奥底で誓った 孤独の旅立ちをこれから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誓う
맹세하다. 서약하다. 굳게 결심하다. 【가능동사】 ちか·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孤独
고독. こ-ど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旅立ち
여행을 떠남
奥底
(가장) 깊은 곳; 속마음. 본심; (사물의) 깊은 곳
永遠と 君がmy girl oh-oh-oh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永遠
영원(함). {문어·ナリ 활용 }
君だけをこれからもwont say good bye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時は巻き戻せない 二人は戻れない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巻く
막. 칸막이. 휘장; 막. 연극의 일단락. ((막이 올랐다가 내리기까지)); 장면. 때. 경우; 끝. 종결; (씨름에서) 상위권 서열에 든 씨름꾼. ((「前頭」 이상)) 〔동의어〕幕内; 연극의 단락을 세는 말. 막; 막; 말다. 감다; 소용돌이꼴을 이루다. 서리다; (나사못·태엽 등을) 틀어 죄다. 감다; 둘러싸다. 싸다. 〔동의어〕とりかこむ; (등산에서) 험한 곳을 피하여 우회하다; 〈「管を~」의 꼴로〉 술이 취하여 횡설수설하다. 【가능동사】 ま·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파종하다. 씨를 뿌리다. 〔동의어〕うめる; (변하여) 원인을 만들다; 금·은 등의 가루를 뿌려 칠기(漆器)에 무늬를 그리다. 〔참고〕 1.은 「播く」로도 씀. 【가능동사】 ま·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뿌리다. 살포하다; (동행자나 미행자를 도중에서) 따돌리다. 【가능동사】 ま·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그 시기를 기다리다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顔上げて上を向こう 受け止めて行かなきゃ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受け止める
(자기 쪽으로 오는 것을) 받다; 받아들이다. 【문어형】 うけと·む {하2단 활용}
上げる
(높은 곳으로) 올리다. 〔반의어〕 おろす·さげる; (몸의 일부 또는 손에 든 것을) 위쪽으로 움직이다. 들다. 쳐들다. 들어올리다. 〔반의어〕 さげる·おろす; (지위 등을) 높이다. 올리다. 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수입·이익·효과 등을) 올리다. 거두다; (기세·속도 등을) 올리다. 더하다. 〔반의어〕 さげる; (사물의 상태를) 좋게 하다. 〔반의어〕 さげる; (온도·습도 등의 수치를) 크게 하다.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뭍으로 옮기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연기·기·연 등을) 하늘 높이 올리다. 공중에 띄우다; (값을) 올리다. (가치를)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신불 앞에) 바치다. 차려 놓다. 〔반의어〕 さげる;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보내다. 넣다. 진학[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걷다. 치우다; 맞아들이다; (기생 등을) 불러서 놀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소리를) 지르다. 〔반의어〕 さげる; 게우다. 토하다; 마치다. 끝내다; (얼마의 비용으로) 끝내다; (작품 등을) 완성시키다; (과제 등을) 다 배우다. 떼다; 〈「やる」 「与える」의 공손한 표현〉 드리다. 주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やる」의 뜻》 …해 주다. …해 드리다.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てやる」보다 다소 깍듯한 표현임. 손윗사람에게는 「さしあげる」를 쓰는 것이 일반적임.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겸양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손 등을) 들다; (예 등을) 들다; 골라서 내놓다. 천거하여 세우다; 다하다. 다 모으다; (자식을) 얻다. 낳다. 〔동의어〕もうける; 잡다. 체포[검거]하다. 적발하다; (식을) 거행하다. 올리다; (전쟁·반란을) 일으키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튀기다; (뭍으로) 옮기다. 〔동의어〕上げる8..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向く
「尨犬」의 준말; 『식물·식물학』「むくのき」의 준말; 무구; 『불교』 번뇌에서 벗어나 흐린 곳이 없음; 티없이 순진함; 순수함; 일본옷의 안팎이 같은 색이며, 무늬가 없음. 특히, 흰옷을 이름. {문어·ナリ 활용 }; ⇒ むくろじ; 향하다. (몸·얼굴을) 돌리다. 보다; 면하다. 향하다; 가리키다; (마음이) 쏠리다. 내키다; 기울다; 나아지다; 「向ける」의 문어; (껍질 등을) 벗기다. 까다; (눈을) 크게 뜨다. 부라리다; 「剝ける」의 문어
理由なんて何もない そう誰も悪くない
理由
이유; 까닭. 〔동의어〕わけ; 『철학』 근거. 인식 근거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悪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하기 어렵다. 좀처럼 …할 수 없다. …하기 거북하다.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밉다. 얄밉다. 밉살스럽다. 〔동의어〕憎らしい; 〈反語적으로〉 (얄밉도록) 기특하다. 훌륭하다. にく·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にく·げ 【형용동사】 にく·さ 【명사】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前向いてさぁ行こう 全てAlright
全て
모두. 모조리. 통틀어; 대체로. 일반적으로; 전부. 일체. 모든 것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向く
「尨犬」의 준말; 『식물·식물학』「むくのき」의 준말; 무구; 『불교』 번뇌에서 벗어나 흐린 곳이 없음; 티없이 순진함; 순수함; 일본옷의 안팎이 같은 색이며, 무늬가 없음. 특히, 흰옷을 이름. {문어·ナリ 활용 }; ⇒ むくろじ; 향하다. (몸·얼굴을) 돌리다. 보다; 면하다. 향하다; 가리키다; (마음이) 쏠리다. 내키다; 기울다; 나아지다; 「向ける」의 문어; (껍질 등을) 벗기다. 까다; (눈을) 크게 뜨다. 부라리다; 「剝ける」의 문어
悲しめば涙が心に刺さり 何かを伝えようとしてるこの僕に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伝える
전하다; (소식을) 알리다. 전언하다. 전달하다. 〔동의어〕伝達する; 물려주다. 뒤에 남기다; 전파하다. 전해주다; 전수(傳授)하다; 전도(傳導)하다. 옮겨 보내다. (작용을) 미치다. 【문어형】 つた·ふ {하2단 활용}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涙
눈물; 누액(淚液); 울음; (비유적으로) 동정. 인정
悲しむ
슬퍼하다. 【가능동사】 かなし·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귀여워하다. 사랑하다
刺さる
꽂히다. 박히다. 찔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Dont Worry!今までの事、これからの事、忘れなんてしないよ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忘れる
잊다; 잊어버리다. 망각하다; (열중하여) 깨닫지 못하다; (물건을) 잊고 두고 오다[가다]; 해야 할 것을 하지 않고 있다; (품은 생각 등을) 버리다. 〔참고〕 옛날에는 문어에 4段活用이 있었음. 【문어형】 わす·る {하2단 활용}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君しか僕にいないの いつまでも僕だけのMy Girl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どれだけの季節が過ぎ こんなにもキミを想い
季節
기절; 기후. 계절; 계절. 철. 〔동의어〕シーズン; 기설. 〔반의어〕 未設; 얽맴. 구속
過ぎる
지나가다. 통과하다. 넘다; (때가) 지나다. 경과하다; 끝나다; 과분하다. 분에 넘치다; (정도가) 지나치다. 도를 넘다; 더 낫다[좋다]; 〈「…に~·ぎない」의 꼴로〉 …에 불과하다. 【문어형】 す·ぐ {상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이나 形容詞 및 形容動詞의 語幹에 붙음》 지나치다. 【문어형】 す·ぐ {상2단 활용}
もう心壊れてしまえ 二度と会えないのなら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壊れる
깨지다. 부서지다. 파손되다; 고장나다; (어떤 상태나 약속 등이) 깨지다. 【문어형】 こは·る {하2단 활용}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キミの影が映る 月明かりがキレイで...
影
『문어』 술에 취함. 〔동의어〕よい; 《「英吉利」의 준말》 영국. 영; 명예. 영예. 〔동의어〕誉れ; 『문어』 병영(兵營); 『문어』 시가(詩歌)를 지음. 또는 그 시가; 『문어』 후예. 자손. 〔동의어〕子孫; 『문어』; (기세·힘 등의) 날카로움; 날카로운 무기; 『식물·식물학』 영. 볏과 식물의 꽃의 기부에 있는 두 개의 잎; 벼의 이삭 끝; 날카로운 재기(才氣). 또는 그런 사람; 『음악』 샤프. 올림표. 〔반의어〕 変; 《고어》; 갓끈. 입영; 『어류』 가오리. 분어. 요어; 힘을 주거나 기합을 넣을 때 지르는 소리. 야앗; 분노·불만을 나타내는 소리. 에이; 「よい」 보다 예스러운 말 또는 방언적 말. 【문어형】 え·し {ク 활용}
月明かり
달빛. 또는 달빛으로 밝음. 〔동의어〕月明
映る
(사진에) 찍히다. 박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모습·모양·그림자 등이) 반사나 투영(投影)에 의하여 다른 것 위에 나타나다; (빛깔 등이) 잘 어울리다. 조화되다. 〔동의어〕はえる; 스크린·텔레비전 등에 영상이 나타나다; 눈에 비치다. 보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위치·장소·지위·소속 등이) 바뀌다. 옮기다. 이동하다; (마음·관심의 대상 등이) 변하다. 옮아가다; (동작·상태가) 바뀌다; (시간이) 흐르다. 경과하다. 변천하다; (빛깔·냄새 등이) 옮다; (병이) 옮다. 전염되다. 【가능동사】 うつ·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キミよ...幸せになれ Haru Haru あの空へ...eh eh eh
キミが言うなら 全て受け入れよう 戻ることない日々にI say goodbye oh
戻る
되돌아가다. 되돌아오다. 【가능동사】 もど·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全て
모두. 모조리. 통틀어; 대체로. 일반적으로; 전부. 일체. 모든 것
受け入れる
받아들이다; (남의 청을) 들어주다. 승낙하다. 〔동의어〕聞き入れる. 【문어형】 うけい·る {하2단 활용}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気づかぬフリね 2人出逢っても 隠さないで立ち止まらないで
隠す
감추다. 숨기다. 【가능동사】 かく·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 かくする
立ち止まる
멈추어 서다. 【가능동사】 たちどま·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出逢う
《고어》 마주치다. 만나다
時が経てば忘れ 時にただ身を任せて
任せる
맡기다. 〔동의어〕委ねる; 제약을 가하지 않고 그대로 놓아 두다; 〈「…に~·せて」의 꼴로〉 그 힘이나 그 상황에 의지하다. 【문어형】 まか·す {하2단 활용}
身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経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忘れる
잊다; 잊어버리다. 망각하다; (열중하여) 깨닫지 못하다; (물건을) 잊고 두고 오다[가다]; 해야 할 것을 하지 않고 있다; (품은 생각 등을) 버리다. 〔참고〕 옛날에는 문어에 4段活用이 있었음. 【문어형】 わす·る {하2단 활용}
時に
때때로. 때로는. 가끔. 어쩌다가; 그때가 바로. 때마침; 말머리를 바꿀 때 쓰는 말. 그런데. 〔동의어〕ところで
僕無しでも幸せでいて そんな 願いだけ叶えたいし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無し
『식물·식물학』 배. 배나무; 없음. 없는 상태. 무
願い
바람. 바라는 일. 소망. 소원; 신불에게 빎·기원함; 원서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叶える
들어맞추다. 일치시키다; 채우다. 충족시키다; 들어주다. 이루어 주다. 성취시키다. 【문어형】 かな·ふ {하2단 활용}
目を閉じれば そこには君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閉じる
(열린 것이) 닫히다. 〔반의어〕 開く; 끝나다. 파하다.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열려 있는 것을) 닫다. 〔반의어〕 開ける; (계속하던 일을) 끝내다. 마치다. 그만두다. 〔반의어〕 開く.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철하다; 요리에서 달걀 등을 풀어서 재료를 덮다.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隣で優しく微笑み
優しい
쉽다. 용이하다. 〔동의어〕たやすい. 〔반의어〕 むずかしい. やさし·げ 【형용동사】 やさし·さ 【명사】 【문어형】 やさ·し {シク 활용}; (모습·용모 등이) 품위가 있고 아름답다. 우아하다. 아름답다; 온화하다. (마음씨가) 곱다. 부드럽다; 친절하고 다정하다. 상냥하다. やさし·げ 【형용동사】 やさし·さ 【명사】 やさし·み 【명사】 【문어형】 やさ·し {シク 활용}
微笑む
⇒ ほほえむ
隣
이웃. 옆. 곁; 이웃집. 옆집
永遠と君はここにいるよ 僕の中に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永遠
영원(함). {문어·ナリ 활용 }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どれだけの季節が過ぎ こんなにもキミを想い
季節
기절; 기후. 계절; 계절. 철. 〔동의어〕シーズン; 기설. 〔반의어〕 未設; 얽맴. 구속
過ぎる
지나가다. 통과하다. 넘다; (때가) 지나다. 경과하다; 끝나다; 과분하다. 분에 넘치다; (정도가) 지나치다. 도를 넘다; 더 낫다[좋다]; 〈「…に~·ぎない」의 꼴로〉 …에 불과하다. 【문어형】 す·ぐ {상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이나 形容詞 및 形容動詞의 語幹에 붙음》 지나치다. 【문어형】 す·ぐ {상2단 활용}
もう心壊れてしまえ 二度と会えないのなら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壊れる
깨지다. 부서지다. 파손되다; 고장나다; (어떤 상태나 약속 등이) 깨지다. 【문어형】 こは·る {하2단 활용}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キミがボクの分まで 微笑んでくれることで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分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微笑む
⇒ ほほえむ
キミよ...幸せになれ Haru Haru あの空へ...eh eh eh
柔らかく包み込む(あの頃の2人を)
柔らかい
부드럽다. 홀보들하다; 폭신폭신하다; 말랑하다; 온화하다; 나긋나긋하다. 유연하다; (가파르지 않고) 완만하다; 격식을 차리지 않다. 딱딱하지 않다. やわらか·さ 【명사】 やわらか·み 【명사】 【문어형】 やはらか·し {ク 활용}
頃
굴림대; 가늘고 짤막한 장작. 나무토막; 〈「さいころ」의 준말〉 주사위; 작고 둥근 것을 나타내는 말; 『문어』 때. 계절. 시절; 무렵. 시절; (적절한) 시기. 기회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忘れてしまうだろう(Haru Haru say goodbye)
出会わなければ良かった? 苦しくて uh...
出会う
《고어》 마주치다. 만나다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You & I 約束は守れない だからキミの為に消える
だから
그러니까. 그래서. 때문에
為
서로 다른 의견. 서로 다른 견해; 이상함. 보통과 다름. 야릇함. 색다름. 기이함. 〔참고〕 현재는 「異な」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문어·ナリ 활용 }; 생각. 마음. 뜻. 기분. 관심; 의사. 의지; 말이나 행위가 나타내고 있는 내용. 의미. 뜻; 위. 〔반의어〕 経; 위도(緯度);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 疑問 또는 質問의 終助詞 「か」, 禁止의 終助詞 「な」, 다짐하는 終助詞 「ぞ」, 詠嘆 또는 感動의 終助詞 「わ」, 命令形의 活用語尾 「ろ」 등에 붙어》 친밀감을 담아 표현을 부드럽게 하는 말. ((남성이 동료·손아랫사람에 대해 허물없는 대화에서 씀. 단, 「だ」 「か」 「た」에 붙는 꼴은 노년의 여성도 씀)); 크고 훌륭함. 뛰어남. 위대함. {문어·ナリ 활용 }; 위; 지위. 자리; 등급·순번·위계 등을 나타냄; 자릿수; 망인(亡人)의 혼령을 세는 높임말; 『문어』 우물. 〔참고〕 옛날에는 샘이나 여울에서 물을 푸는 곳을 말했음; 해; 십이지(十二支)의 열두 번째. 〔동의어〕いのしし; 해시(亥時). 오후 10시. 또는 9시부터 11시까지의 2시간 동안. 〔동의어〕いのとき; 《속어》 돼지; 『문어』 담. 담낭. 쓸개. 〔동의어〕きも; 《고어》 멧돼지. 〔동의어〕いのしし; 《고어》 잠. 잠을 잠; 『문어』 거미줄. 거미집; 『식물·식물학』 골풀. 등심초. 〔동의어〕いぐさ·とうしんそう; 이. 「伊太利」의 준말. 〔참고〕 보통,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문어』 이. 특히, 동쪽 오랑캐. 〔동의어〕えびす; 『문어』 의. 옷. 의복. 의류. 〔동의어〕衣服; 『문어』 의; 병을 고침. 또는 의술; 의사. 〔동의어〕医師; ‘의사’의 뜻; 《「委員」 「委員会」의 준말. 接尾語적으로 씀》 위; 『문어』; 쉬움. 간단함. 용이함. 〔반의어〕 難; 안이함. 소홀함; 『문어』 위. 위력. 위광. 〔동의어〕威力·威光; 쟁(箏)의 열두째 현(絃) 이름; 위;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 서쪽에 위치함
約束
약속; 규칙. 규약. 규정; 운명. 숙명. 인연
消える
사라지다. 없어지다. 스러지다; 지워지다; 느껴지지 않게 되다; (불이) 꺼지다; 가시다. 풀리다. 【문어형】 き·ゆ {하2단 활용}
どれだけの季節が過ぎ こんなにもキミを想い
季節
기절; 기후. 계절; 계절. 철. 〔동의어〕シーズン; 기설. 〔반의어〕 未設; 얽맴. 구속
過ぎる
지나가다. 통과하다. 넘다; (때가) 지나다. 경과하다; 끝나다; 과분하다. 분에 넘치다; (정도가) 지나치다. 도를 넘다; 더 낫다[좋다]; 〈「…に~·ぎない」의 꼴로〉 …에 불과하다. 【문어형】 す·ぐ {상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이나 形容詞 및 形容動詞의 語幹에 붙음》 지나치다. 【문어형】 す·ぐ {상2단 활용}
もう心壊れてしまえ 二度と会えないのなら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壊れる
깨지다. 부서지다. 파손되다; 고장나다; (어떤 상태나 약속 등이) 깨지다. 【문어형】 こは·る {하2단 활용}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キミの影が映る 月明かりがキレイで...
影
『문어』 술에 취함. 〔동의어〕よい; 《「英吉利」의 준말》 영국. 영; 명예. 영예. 〔동의어〕誉れ; 『문어』 병영(兵營); 『문어』 시가(詩歌)를 지음. 또는 그 시가; 『문어』 후예. 자손. 〔동의어〕子孫; 『문어』; (기세·힘 등의) 날카로움; 날카로운 무기; 『식물·식물학』 영. 볏과 식물의 꽃의 기부에 있는 두 개의 잎; 벼의 이삭 끝; 날카로운 재기(才氣). 또는 그런 사람; 『음악』 샤프. 올림표. 〔반의어〕 変; 《고어》; 갓끈. 입영; 『어류』 가오리. 분어. 요어; 힘을 주거나 기합을 넣을 때 지르는 소리. 야앗; 분노·불만을 나타내는 소리. 에이; 「よい」 보다 예스러운 말 또는 방언적 말. 【문어형】 え·し {ク 활용}
月明かり
달빛. 또는 달빛으로 밝음. 〔동의어〕月明
映る
(사진에) 찍히다. 박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모습·모양·그림자 등이) 반사나 투영(投影)에 의하여 다른 것 위에 나타나다; (빛깔 등이) 잘 어울리다. 조화되다. 〔동의어〕はえる; 스크린·텔레비전 등에 영상이 나타나다; 눈에 비치다. 보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위치·장소·지위·소속 등이) 바뀌다. 옮기다. 이동하다; (마음·관심의 대상 등이) 변하다. 옮아가다; (동작·상태가) 바뀌다; (시간이) 흐르다. 경과하다. 변천하다; (빛깔·냄새 등이) 옮다; (병이) 옮다. 전염되다. 【가능동사】 うつ·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キミよ...幸せになれ Haru Haru あの空へ...eh eh eh
どれだけの季節が過ぎ こんなにもキミを想い
季節
기절; 기후. 계절; 계절. 철. 〔동의어〕シーズン; 기설. 〔반의어〕 未設; 얽맴. 구속
過ぎる
지나가다. 통과하다. 넘다; (때가) 지나다. 경과하다; 끝나다; 과분하다. 분에 넘치다; (정도가) 지나치다. 도를 넘다; 더 낫다[좋다]; 〈「…に~·ぎない」의 꼴로〉 …에 불과하다. 【문어형】 す·ぐ {상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이나 形容詞 및 形容動詞의 語幹에 붙음》 지나치다. 【문어형】 す·ぐ {상2단 활용}
もう心壊れてしまえ 二度と会えないのなら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壊れる
깨지다. 부서지다. 파손되다; 고장나다; (어떤 상태나 약속 등이) 깨지다. 【문어형】 こは·る {하2단 활용}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キミの影が映る 月明かりがキレイで...
影
『문어』 술에 취함. 〔동의어〕よい; 《「英吉利」의 준말》 영국. 영; 명예. 영예. 〔동의어〕誉れ; 『문어』 병영(兵營); 『문어』 시가(詩歌)를 지음. 또는 그 시가; 『문어』 후예. 자손. 〔동의어〕子孫; 『문어』; (기세·힘 등의) 날카로움; 날카로운 무기; 『식물·식물학』 영. 볏과 식물의 꽃의 기부에 있는 두 개의 잎; 벼의 이삭 끝; 날카로운 재기(才氣). 또는 그런 사람; 『음악』 샤프. 올림표. 〔반의어〕 変; 《고어》; 갓끈. 입영; 『어류』 가오리. 분어. 요어; 힘을 주거나 기합을 넣을 때 지르는 소리. 야앗; 분노·불만을 나타내는 소리. 에이; 「よい」 보다 예스러운 말 또는 방언적 말. 【문어형】 え·し {ク 활용}
月明かり
달빛. 또는 달빛으로 밝음. 〔동의어〕月明
映る
(사진에) 찍히다. 박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모습·모양·그림자 등이) 반사나 투영(投影)에 의하여 다른 것 위에 나타나다; (빛깔 등이) 잘 어울리다. 조화되다. 〔동의어〕はえる; 스크린·텔레비전 등에 영상이 나타나다; 눈에 비치다. 보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위치·장소·지위·소속 등이) 바뀌다. 옮기다. 이동하다; (마음·관심의 대상 등이) 변하다. 옮아가다; (동작·상태가) 바뀌다; (시간이) 흐르다. 경과하다. 변천하다; (빛깔·냄새 등이) 옮다; (병이) 옮다. 전염되다. 【가능동사】 うつ·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キミよ...幸せになれ Haru Haru あの空へ...eh eh eh
ロシア大使 赤い液体浴びる ポーランドで市民ら抗議(2022年5月10日)
警察犬とスタジアムをパトロール 浦和レッズとタッグ 子どもたちが警察の仕事体験(2024年5月6日)
トヨタ、在宅勤務制度を拡充へ 工場従業員も検討(20/07/02)
月が満ちる前に
ハナミズキ
新型コロナが要因か 英国民平均寿命が初の減少に(2021年9月25日)
ご馳走に招かれた犬
東京都内で最大規模の警備態勢 約2万5000人
島根原発2号機が合格 新規制基準に適合 規制委(2021年9月15日)
米スターバックスがロシア事業から撤退 (2022年5月24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