むかしむかし、 ある冬の夜、
むかしむかし、 ある冬の夜、
茂作と巳之吉という二人の男が、 山でひどい吹雪に遭ってしまいます。
こりゃあ、 いかんぞ。
でも、 よかった、 あんな所に山小屋が。
いやあ、 寒いのう。
これから、 どうしようか。
暇なんで、 好きな女の子の名前でも言いませんか。
修学旅行の夜じゃないんじゃよ。
分かってますよ、 眠くならないような提案をしたのに。
って、 寝てるじゃないの!
古典的なボケで眠ってしまった巳之吉。
しばらくすると、 何やら変な気配を感じました。
見たな!
私は雪女。
この凍てつく吐息をかけて、 こいつを殺したのだ。
そんなことをしてると、 結婚できませんよ。
そうかい、 ならば、 お前は若いし、 見逃してやろう。
でも、 今見たことを、 決して誰にも言ってはいけないよ。
もしも言ったら、 殺してやるからね。
そう言うと女は、 戸を閉めずに出て行ってしまいました。
躾がなってないなあ。
いや、 そこ、 いいじゃろう。
翌年の冬、 巳之吉はある若い娘に出会いました。
娘は雪のような白い肌で、 名前もお雪と言いました。
えっ、 あれ、 さっきの雪女じゃ...
二人は徐々に惹かれ合い、 やがて結婚。
十人もの子宝に恵まれました。
いやそれ、 随分産んだね。
でも不思議なのは、
そんなに子供も産んで、 結婚して何年も経つのに、
お雪は一向に年を取らないことでした。
ひょっとすると、 お雪は、
雪女だって気付いちゃったの?
美魔女か!
違うって!
しかし、 その幸せも、 ついに終わりを迎えることになります。
「 お雪、 」 巳之吉は何気なく雪女の話をしてしまいます。
するとどうでしょう。
「 それは、 この私じゃ! 」
まさか、 お雪が雪女だったとは!
いや、 分かってたし!
「 あれほど約束したのに、 なんで喋ってしまったの? 」
「 でも、 子供達のことを思うと、 お前の命を取ることはできぬ。 」
「 こうなったからには、 せめて子供達を大事に育てておくれ」
それきり二度と現れなかったと言います。
「 なんで話してしまったんだろう」 巳之吉はいつまでも後悔し続けるのでした。
いやあ、 切ない話じゃったね。
しかも、 まさか二人が同一人物だったとは。
いや、 そんなのすぐ分かったし、 それに最後は分かれると思ってたよ。
えっ、 どうして分かったんですか。
そりゃあ、 君、 相手が雪だけに、 振られた。
コールド!
むかしむかし、 ある冬の夜、
ある
어느. 어떤; 있다; 사물이 존재하다;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어떤 상태에 있다; (…을) 가지고 있다. (어떤 것에) 딸려 존재하다; (어떤 특별한 일이) 일어나다. 벌어지다. 행해지다; (머물러) 있다;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만한 수량이 되다[나가다]; 〈「…に~」의 꼴로〉 …에 의해 결정되다. 달려 있다; 〈「…と~」의 꼴로〉 …이라고 적혀[되어] 있다; 시간이 지나다. 경과하다. 〔참고〕 < 1> 은 보통 ‘존재하다’의 뜻으로 「在る」, ‘소유하다’의 뜻으로는 「有る」로 갈라 쓰지만, 모두 かな로 쓰는 일이 많음. 【문어형】 あ·り {ラ 行 활용}; 〈「…て~」의 꼴로〉 동작이나 행위의 결과가 계속됨을 나타냄. …되어 있다. …하여 있다; 〈「…て~」의 꼴로〉 미리 준비되고 있음을 나타냄. 미리 …해 놓고 있다. 〔반의어〕 ない; 〈「…にして~」의 꼴로〉 하기로 되어 있음을 나타냄. …하기로 해 놓고 있다;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의 상태를 나타내다[띠다]’ ‘…의 성질을 지니다’의 뜻을 나타냄. …이다. …하다. ((「ある」 앞에 助詞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음)); 〈「名詞+で+~」의 꼴로〉 동등한 그러하다고 판단하는 뜻을 나타냄. …이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문어형】 あ·り {ラ 行 활용}
冬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茂作と巳之吉という二人の男が、 山でひどい吹雪に遭ってしまいます。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男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ひどい
잔인하다. 무정하다. 참혹하다. 〔동의어〕むごい; 지독하다. 혹독하다. 심하다. 〔동의어〕甚だしい; 형편없다. ひど·げ 【형용동사】 ひど·さ 【명사】 【문어형】 ひど·し {ク 활용}
吹雪
눈보라
しまい
끝. 마지막; 끝냄. 마침; 끝장; 품절. 매진. 〔동의어〕売り切れ; (能楽에서) 주역이 가면이나 정식 의상을 갖추지 않고, 반주도 없이 노래만으로 혼자 추는 약식 춤; 자매; (여자의) 언니와 동생. 여자 형제; 〈흔히 다른 말의 앞에 붙어〉 같은 계통의 2개의 것
こりゃあ、 いかんぞ。
こりゃ
《「これは」의 변한말》; 아랫사람을 부를 때 쓰는 말. 이봐. ((예스러운 말)); 《속어》 놀라움을 나타내는 말. 이거
あ
아. 「亜細亜」의 준말; 「亜爾然丁」의 준말. 〔참고〕 보통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아; 다음감. 버금감. 비슷함; 『화학』 무기산(無機酸)에서 산화수가 기준보다 적음; 아. 「阿弗利加」의 준말. 〔참고〕 보통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아. 〔동의어〕ああ; 가볍게 부르는 말; 놀라거나 문득 생각났을 때 내는 소리. 〔동의어〕あっ; 가벼운 응답의 소리. 암. 〔동의어〕はい
でも、 よかった、 あんな所に山小屋が。
でも
미숙. 덜 된. 엉터리. 〔참고〕 「あれでも…か(그것도…이냐)」, 또는 「…にでもなるか(…이라도 될까)」의 「でも」에서 나왔다고 함; ⇒ で ·も 【계(係)조사】. 〔참고〕 格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이어진 꼴; 《連語 「でも」가 변하여 하나로 된 말.체언 또는 체언에 준하는 말 및 格助詞에 붙음》; 극단적인 예를 들고 다른 것도 그렇다는 것을 유추시킴. …일지라도. …이라도; 「だけ」와 함께 써서 희망의 최소한을 나타냄. …이라도; 다른 적당한 것이 있으면 그것도 좋다는 뜻으로 씀. …이라도. …이나; 〈불특정물에 붙어〉 전면적인 긍정 또는 부정을 나타냄. …든지. …이라도; ⇒ ても . 〔참고〕 接続助詞 「ても」가 ガ·ナ·バ·マ行 五段動詞 뒤에 쓰인 꼴.< 4> 【연어】『문어』 《否定의 接続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붙은 것. 현대 문장어에서는 「言わでものこと(말하지 않아도 좋은 일)」와 같은 관용적인 어법밖에 없음》 …하지 않아도 (좋다).< 5> 【접속사】 《「それでも」의 준말》 그럴지라도. 그래도. 그러나. 하지만. 〔동의어〕けれども·だけど
あんな
(정도·상태를 나타내어) 저런. 그런. 〔동의어〕あのような. 〔참고〕 어간이 그대로 連体形 구실을 하며, 그때는 連体詞로 보아도 됨. 接続助詞 「ので」 「のに」가 뒤에 붙을 때는 「~な」의 꼴을 취함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山小屋
등산자의 휴게·숙박·피난을 위해 산속에 지어 놓은 산막. 〔동의어〕ヒュッテ
いやあ、 寒いのう。
寒い
춥다. 〔반의어〕 暑い; (무서움 등으로) 오싹하다. 써늘하다; 가난하다. 부족하다. 〔반의어〕 あたたかい; 한심하다. 빈약하다. さむ·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さむ·げ 【형용동사】 さむ·さ 【명사】 【문어형】 さむ·し {ク 활용}
これから、 どうしようか。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どう
동. 같음; 동. (앞에 말한) 그; 동; 몸통. 동체. 〔동의어〕胴体; 몸의 중앙부. 복부(腹部); 물건의 중앙 부분. 동체; 북·三味線 등에서, 소리가 잘 울리도록 하기 위한, 속이 텅 빈 부분; (재래식 목조선의) 복부. 중배; 갑옷 또는 검도 방호구(防護具)의 가슴·배를 가리는 부분; (검도에서) 허리를 타격하는 수. 허리치기; 배짱; 동. 움직임. 〔반의어〕 静; 옛날, 영빈(迎賓)·예식 등을 위한 건물; 신불을 모신 건물; 집회(集會)를 위한 건물; 당. 옥호(屋號)·아호(雅號)·건물의 이름에 붙이는 말; 「北海道」의 준말; 동;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구리. 원소 기호 cu. 〔동의어〕あか·あかがね; 「銅メダル」의 준말; 당; 기를 단 창. 당극(幢戟).〔동의어〕はたほこ; 장막. 휘장; 어떻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함을 나타냄. 아무리(…해도); 〈「どうですか」의 준말〉 어때. 어때요; 마소를 멈추게 할 때 지르는, 달래는 소리. 우어. 워
暇なんで、 好きな女の子の名前でも言いませんか。
暇
여가. 틈. 겨를. 〔동의어〕暇; 휴식. 휴가. 말미; 사임. 퇴직. 해고; 이혼; 〈흔히 「お~する」의 꼴로〉 (인사하고) 물러감. 작별함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女の子
여자아이. 계집아이; 계집. 1.~3. 〔반의어〕 男の子
名前
이름; 명칭; 성명. 성과 이름; (성을 뺀) 이름
でも
미숙. 덜 된. 엉터리. 〔참고〕 「あれでも…か(그것도…이냐)」, 또는 「…にでもなるか(…이라도 될까)」의 「でも」에서 나왔다고 함; ⇒ で ·も 【계(係)조사】. 〔참고〕 格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이어진 꼴; 《連語 「でも」가 변하여 하나로 된 말.체언 또는 체언에 준하는 말 및 格助詞에 붙음》; 극단적인 예를 들고 다른 것도 그렇다는 것을 유추시킴. …일지라도. …이라도; 「だけ」와 함께 써서 희망의 최소한을 나타냄. …이라도; 다른 적당한 것이 있으면 그것도 좋다는 뜻으로 씀. …이라도. …이나; 〈불특정물에 붙어〉 전면적인 긍정 또는 부정을 나타냄. …든지. …이라도; ⇒ ても . 〔참고〕 接続助詞 「ても」가 ガ·ナ·バ·マ行 五段動詞 뒤에 쓰인 꼴.< 4> 【연어】『문어』 《否定의 接続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붙은 것. 현대 문장어에서는 「言わでものこと(말하지 않아도 좋은 일)」와 같은 관용적인 어법밖에 없음》 …하지 않아도 (좋다).< 5> 【접속사】 《「それでも」의 준말》 그럴지라도. 그래도. 그러나. 하지만. 〔동의어〕けれども·だけど
修学旅行の夜じゃないんじゃよ。
修学旅行
수학 여행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ない
내. 안쪽의; 공식적이 아닌. 은밀한; 내. 범위 안;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등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너무 심함을 나타냄. (몹시) …하다. 【문어형】 な·し {ク 활용}; 없다; 존재하지 않다; 갖고[갖추어져] 있지 않다. 없다; (시간적·공간적·수량적으로) 넉넉하지 않다; 오지 않다. 없다; (경험한 적이) 없다; (죽어서) 이 세상에 없다. 〔참고〕 6.은 「亡い」로 쓰는 경우가 많음. 1.~5. 〔반의어〕 有る.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動詞의 連用形+「て」, 形容詞, 形容動詞, 일부의 助動詞 「だ」 「らしい」 「たい」 등의 連用形 등의 뒤에 붙어〉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格助詞 「と」의 뒤에 붙어〉 불확실한, 또는 분명하게 지시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없이. 아니게.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否定의 뜻을 나타냄. …(스럽)지 않다.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動詞 및 動詞에 준하는 말의 未然形에 붙음. サ変動詞는 「し」에 붙으며, 動詞 「ある」에는 붙지 않음》;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てはなら~」 「…てはいけ~」의 꼴로〉 불허·금지를 나타냄. …는 안 되다; 〈「…なければなら~」 「なくてはいけ~」 등의 꼴로〉 당연·의무를 나타냄. (…지 않으면) 안 되다; 〈「なくてもよい」 「~でもいい」의 꼴로〉 허용을 나타냄. (…지) 않다; ⇒ ないで; 〈「…~か」 「…~かしら」의 꼴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나 (몰라); 〈문말(文末)에 쓰이어, 억양을 높여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 겠어? 〔참고〕 助動詞 「そう だ」, 接尾語 「過ぎる」가 이어질 때에는 語幹인 「な」 에 이어짐; ⇒ い . 〔참고〕 금지의 終助詞 「な」에 終助詞 「い」가 붙은 것
分かってますよ、 眠くならないような提案をしたのに。
ない
내. 안쪽의; 공식적이 아닌. 은밀한; 내. 범위 안;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등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너무 심함을 나타냄. (몹시) …하다. 【문어형】 な·し {ク 활용}; 없다; 존재하지 않다; 갖고[갖추어져] 있지 않다. 없다; (시간적·공간적·수량적으로) 넉넉하지 않다; 오지 않다. 없다; (경험한 적이) 없다; (죽어서) 이 세상에 없다. 〔참고〕 6.은 「亡い」로 쓰는 경우가 많음. 1.~5. 〔반의어〕 有る.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動詞의 連用形+「て」, 形容詞, 形容動詞, 일부의 助動詞 「だ」 「らしい」 「たい」 등의 連用形 등의 뒤에 붙어〉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格助詞 「と」의 뒤에 붙어〉 불확실한, 또는 분명하게 지시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없이. 아니게.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否定의 뜻을 나타냄. …(스럽)지 않다.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動詞 및 動詞에 준하는 말의 未然形에 붙음. サ変動詞는 「し」에 붙으며, 動詞 「ある」에는 붙지 않음》;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てはなら~」 「…てはいけ~」의 꼴로〉 불허·금지를 나타냄. …는 안 되다; 〈「…なければなら~」 「なくてはいけ~」 등의 꼴로〉 당연·의무를 나타냄. (…지 않으면) 안 되다; 〈「なくてもよい」 「~でもいい」의 꼴로〉 허용을 나타냄. (…지) 않다; ⇒ ないで; 〈「…~か」 「…~かしら」의 꼴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나 (몰라); 〈문말(文末)에 쓰이어, 억양을 높여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 겠어? 〔참고〕 助動詞 「そう だ」, 接尾語 「過ぎる」가 이어질 때에는 語幹인 「な」 에 이어짐; ⇒ い . 〔참고〕 금지의 終助詞 「な」에 終助詞 「い」가 붙은 것
よう
나뭇잎·종이 등 얇은 것을 세는 말. 장; 용무. 볼일. 일. 〔동의어〕用事; 소용. 쓸모. 구실; 『문어』 드는 돈. 비용. 〔동의어〕費用·入り用; 대소변. 용변; 名詞 뒤에 붙어, 무엇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냄. …용; 『문어』; 요염함; 『역사』 용. 토용(土俑). ((옛날 중국에서, 순사자(殉死者) 대신에 죽은 사람과 함께 묻었던 토제(土製) 또는 목제의 인형)); 『문어』 양. 세계를 동서의 둘로 나눈 하나. 동양과 서양. 특히, 서양; 양. 넓은 바다; 요. 요점. 요령; 필요. 필요성; 『문어』 모습. 모양. 자태. 〔동의어〕姿·かたち; 《「益」의 변한말》 보람. 효과; 『역사』 용. 律令制 시대에 부역 대신에 바친 물건; 양. 〔반의어〕 陰; 표면; 역학(易學)에서 적극적인 성질을 가진 것. ((달에 대한 해, 여자에 대한 남자, 마이너스에 대한 플러스 등)); 『의학』 양성; 『문어』 용인. 고용인. 〔동의어〕傭人; 『의학』 양. 종기; 모양. 형태. 생김새. 〔동의어〕形·有様; 방법. 수단; 〈「…~に」의 꼴로〉 목적이나 기대를 나타냄. …도록;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모양;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위한) 방법. 방식. 수단. 〔참고〕 흔히 かな로 씀; 〈흔히 名詞에 붙어〉 형(型). 양식(樣式); 〈흔히 名詞에 붙어〉 …의 모양(을 한 것); 빛남; 일월(日月)과 오성(五星); 요. ((요일을 일컬음. 接尾語적으로 씀)); 『의학』 옹. ((목·등·배 등에 생기는 종기)); ⇒ よく . 〔참고〕 「よく」의 音便. 방언적인 말. 〔참고〕 현대어로는 주로 西日本에서 쓰임; 무간하게 남을 부르거나 인사할 때의 말. 야! 여!; 무엇을 조르거나 할 때 하는 말. 아이. 참. 제발; 술에 취하다. 술기가 돌다; 멀미하다; 도취하다. 황홀해지다. 〔동의어〕うっとりする; 《고어》 (어육 등에) 중독되다; 미혹(迷惑)되다. (나쁜 길에) 빠지다. 헤매다. 〔동의어〕迷う. 【가능동사】 よ·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아득히 멂. 깊숙하고 어두움; 묘연함. 사정을 잘 알 수 없음. {문어·タリ 활용}; 《上1段·下1段·カ変·サ変의 動詞의 未然形, 助動詞 「せる」 「させる」 「しめる」 「れる」 「られる」의 未然形에 붙음. 다만, サ変에는 「し」의 꼴에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나 결의를 나타냄. …하자; 상대에 대한 권유를 나타냄. …하자; 완곡한 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자; 추량(推量)이나 상상함의 뜻을 나타냄. …겠지;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리라;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ㄹ까보냐. …하겠나; 가정(假定)이나 가상(假想)의 상태를 나타냄. …건. …든지;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상태가 실현의 직전에 있음을 나타냄. …려고; 가능성을 나타냄. …할 수 있다; 『문어』 유. 어림. 어린 사람[아이]. 〔반의어〕 老
提案
정안; 결정된 의안; (마음속에) 정해 놓은 생각; 제안
し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のに
《用言의 連体形에 붙음. 形容動詞·助動詞 「だ」에서는 終止形에 붙는 수도 있음》; 일반적인 예상과는 반대 되는 사항이 일어남을 나타냄. …하는데도. …함에도 불구하고; 〈뒷말을 생략한 것으로, 終助詞적으로 씀〉 불만·원망·비난 등의 심정을 나타냄. …인데. …텐데. …련만; 《準体助詞 「の」에 格助詞 「に」가 붙은 것》; …을 하기 위해. …을 하는 데; …의 것으로; …것에
って、 寝てるじゃないの!
寝
서로 다른 의견. 서로 다른 견해; 이상함. 보통과 다름. 야릇함. 색다름. 기이함. 〔참고〕 현재는 「異な」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문어·ナリ 활용 }; 생각. 마음. 뜻. 기분. 관심; 의사. 의지; 말이나 행위가 나타내고 있는 내용. 의미. 뜻; 위. 〔반의어〕 経; 위도(緯度);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 疑問 또는 質問의 終助詞 「か」, 禁止의 終助詞 「な」, 다짐하는 終助詞 「ぞ」, 詠嘆 또는 感動의 終助詞 「わ」, 命令形의 活用語尾 「ろ」 등에 붙어》 친밀감을 담아 표현을 부드럽게 하는 말. ((남성이 동료·손아랫사람에 대해 허물없는 대화에서 씀. 단, 「だ」 「か」 「た」에 붙는 꼴은 노년의 여성도 씀)); 크고 훌륭함. 뛰어남. 위대함. {문어·ナリ 활용 }; 위; 지위. 자리; 등급·순번·위계 등을 나타냄; 자릿수; 망인(亡人)의 혼령을 세는 높임말; 『문어』 우물. 〔참고〕 옛날에는 샘이나 여울에서 물을 푸는 곳을 말했음; 해; 십이지(十二支)의 열두 번째. 〔동의어〕いのしし; 해시(亥時). 오후 10시. 또는 9시부터 11시까지의 2시간 동안. 〔동의어〕いのとき; 《속어》 돼지; 『문어』 담. 담낭. 쓸개. 〔동의어〕きも; 《고어》 멧돼지. 〔동의어〕いのしし; 《고어》 잠. 잠을 잠; 『문어』 거미줄. 거미집; 『식물·식물학』 골풀. 등심초. 〔동의어〕いぐさ·とうしんそう; 이. 「伊太利」의 준말. 〔참고〕 보통,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문어』 이. 특히, 동쪽 오랑캐. 〔동의어〕えびす; 『문어』 의. 옷. 의복. 의류. 〔동의어〕衣服; 『문어』 의; 병을 고침. 또는 의술; 의사. 〔동의어〕医師; ‘의사’의 뜻; 《「委員」 「委員会」의 준말. 接尾語적으로 씀》 위; 『문어』; 쉬움. 간단함. 용이함. 〔반의어〕 難; 안이함. 소홀함; 『문어』 위. 위력. 위광. 〔동의어〕威力·威光; 쟁(箏)의 열두째 현(絃) 이름; 위;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 서쪽에 위치함
ない
내. 안쪽의; 공식적이 아닌. 은밀한; 내. 범위 안;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등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너무 심함을 나타냄. (몹시) …하다. 【문어형】 な·し {ク 활용}; 없다; 존재하지 않다; 갖고[갖추어져] 있지 않다. 없다; (시간적·공간적·수량적으로) 넉넉하지 않다; 오지 않다. 없다; (경험한 적이) 없다; (죽어서) 이 세상에 없다. 〔참고〕 6.은 「亡い」로 쓰는 경우가 많음. 1.~5. 〔반의어〕 有る.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動詞의 連用形+「て」, 形容詞, 形容動詞, 일부의 助動詞 「だ」 「らしい」 「たい」 등의 連用形 등의 뒤에 붙어〉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格助詞 「と」의 뒤에 붙어〉 불확실한, 또는 분명하게 지시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없이. 아니게.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否定의 뜻을 나타냄. …(스럽)지 않다.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動詞 및 動詞에 준하는 말의 未然形에 붙음. サ変動詞는 「し」에 붙으며, 動詞 「ある」에는 붙지 않음》;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てはなら~」 「…てはいけ~」의 꼴로〉 불허·금지를 나타냄. …는 안 되다; 〈「…なければなら~」 「なくてはいけ~」 등의 꼴로〉 당연·의무를 나타냄. (…지 않으면) 안 되다; 〈「なくてもよい」 「~でもいい」의 꼴로〉 허용을 나타냄. (…지) 않다; ⇒ ないで; 〈「…~か」 「…~かしら」의 꼴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나 (몰라); 〈문말(文末)에 쓰이어, 억양을 높여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 겠어? 〔참고〕 助動詞 「そう だ」, 接尾語 「過ぎる」가 이어질 때에는 語幹인 「な」 에 이어짐; ⇒ い . 〔참고〕 금지의 終助詞 「な」에 終助詞 「い」가 붙은 것
古典的なボケで眠ってしまった巳之吉。
古典
고전; 옛 전적(典籍); 오랜 세월에 걸쳐서 많은 사람의 모범이 되고 애호되어 온 예술 작품. 클래식. 〔동의어〕クラシック; 《「個人展覧会」의 준말》 개인 전람회. 개인전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しばらくすると、 何やら変な気配を感じました。
しばらく
잠깐. 잠시. 〔동의어〕しばし; 얼마 동안. 당분간; 〈「~です」의 꼴로〉 오래간만. 오랜만
する
(판목이나 활판 등으로) 인쇄하다. 박다. 【가능동사】 す·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剃る」의 변한말》 깎다. 밀다. 〔참고〕 상인 사회에서는 「磨る」와 음이 같음을 꺼리어 「あたる」라 함. 【가능동사】 す·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소매치기하다. 【가능동사】 す·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지르다. 비비다. 갈다. 〔동의어〕こする. 〔참고〕 「擦る」 「摩る」를 많이 씀; 갈다. 〔참고〕 「磨る」 「摩る」를 많이 씀; 으깨다. 짓이기다. 〔동의어〕すりつぶす. 〔참고〕 「擂る」를 많이 씀; 쓿다. 〔참고〕 「磨る」를 많이 씀; 다 써 버리다. 〔동의어〕使い果たす. 〔참고〕 「磨る」 「摩る」를 많이 씀. 【가능동사】 す·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が~」의 꼴로〉 (어떤 현상이) 일어나다. 무엇이 느껴지다; 〈「…ようと~」 「…ように~」 「…事に~」의 꼴로〉 의지를 나타냄. …려고 하다. …기로 하다; 〈금액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값이 나가다; 〈시간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시간이 경과하다; 〈「…の~」 「…と~」의 꼴로〉 …할. …한. 【문어형】 す {サ 行 활용}; 〈「…を~」의 꼴로〉 (어떤 일·동작·역할을) 하다; 〈「…に~」의 꼴로〉 어떤 상태가 되게 하다. 【문어형】 す {サ 行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助詞 「は」 「も」 「や」 「さえ」 등을 수반하는 말에 붙어 그 動詞, 또는 그 動詞의 否定의 뜻을 강조함〉 하다; 〈「お+動詞의 連用形+~」의 꼴로〉 겸손의 뜻을 나타냄. 하다; 〈「…として」 「…としては」 「…とすれば」 「…にしたら」의 꼴로〉 …(으)로서. …(으)로서는. …고 하면. …면; 〈「…うと~」 「…ようと~」의 꼴로〉 …려 하다; 어떤 상태가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 〔참고〕 ㉠名詞 및 動詞·形容詞의 連用形이나 副詞에 붙어 サ変複合動詞를 만들 때가 많음. 「涙する」 「よくする」 「勝負する」 「害する」 「ジャンプする」 등. ㉡외자인 한자어와 복합될 때는 가끔 「ずる」가 됨. 「疎んずる」 「論ずる」 「感ずる」 등. 【문어형】 す {サ 行 활용}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何やら
무엇인가. 무엇인지. 어쩐지. 〔동의어〕なにかしら·なんだか
変
물건의 조각·토막, 꽃잎 등을 세는 말. 편. 조각. 토막. 잎. ((앞에 붙는 말에 따라서 「ぺん」으로도 됨)); 도수·횟수를 세는 말. 번. ((앞의 말에 따라서 「べん」 「ぺん」으로도 됨)); 〈形式名詞적으로 써서〉 근처. 근방. 언저리. 방면. 〔동의어〕あたり; 쯤. 정도; 『수학』 변. 다각형을 이루는 선분(線分); 『수학』 등호(等號)의 좌우에 있는 식. 변; 《전보에서, 「返事」의 준말》 회답; 횟수를 세는 말. 번. ((앞에 붙는 말에 따라 「べん」 「ぺん」으로도 됨)); 변; 『문어』 바뀜. 바꿈. 달라짐. 변화; 『문어』 돌연한 사태. 변고. 난(亂); 『음악』 반음 내림. 플랫. 기호 ♭. 〔반의어〕 嬰; 보통과 다름. 이상함; 예상 밖임. 엉뚱함. {문어·ナリ 활용 }; 『언어학』 좌우로 구성되는 한자의 왼쪽 부분. 변. ((「砂」의 「石」, 「和」의 「禾」 등)) 〔반의어〕 旁; 편; 수미(首尾)를 갖춘 시문(詩文); 책의 내용을 크게 나눈 각각의 부분; 편집; 편. ((앞에 붙는 말에 따라 「ぺん」으로도 됨)); 서적 분류를 세는 말; 시문을 세는 말. 〔참고〕 「編」은 ‘엮다’, 「篇」은 ‘엮은 것’의 뜻. < 1> 의 1.2., < 2> 의 1.2.는 본디 「篇」으로 썼음. < 의 3.은 「編」으로 씀; 남을 업신여기거나 남의 말을 무시할 때 내는 소리. 흥; 으스댈 때 내는 소리. 으흠. 에헴
気配
『경제』 (거래소에서) 시장의 경기 또는 시세. 〔동의어〕けはい; 『문어』 궤배. 무릎 꿇고 절함. 〔동의어〕拝跪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見たな!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私は雪女。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雪女
(눈이 많은 고장의 전설에서) 흰 옷을 입은 여자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하는 눈의 정령. 〔동의어〕雪娘·雪女郎
この凍てつく吐息をかけて、 こいつを殺したのだ。
この
이; 최근의. 요
吐息
한숨. 〔동의어〕ため息
こいつ
《속어》; 이놈. 이 자식. 이 녀석; 이것. 요것. 〔참고〕 「こやつ」의 변한말. 증오·경멸감 또는 친밀감 등 어느 경우에나 두루 씀
殺し
살인(殺人). 또는 살인 사건. 〔참고〕 원래는 경찰 용어
そんなことをしてると、 結婚できませんよ。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こと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し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結婚
혈흔. 핏자국; 결혼. 〔동의어〕婚姻
そうかい、 ならば、 お前は若いし、 見逃してやろう。
そう
《体言에 붙음》 총. 모든. 전체의; 장. ((여관·별장·아파트 등에 붙는 말)); 장. 장례식. 장의; 작은 배를 세는 말. 척; 쌍. 둘씩 짝을 이룬 것; 필적(匹敵)하는 것; 쌍으로 된 물건을 헤아리는 말. 쌍; 『문어』; 장함. 혈기 왕성함. 용감함. {문어·ナリ 활용 }; 한창 젊은 때. 장년; 근원. 근본; 조상·선조. 또는, 조상 중에서 뛰어난 이; 연주; 상; 형체. 모습. 양상; (인상·수상·골상 등의) 상. 길흉(吉凶)의 인상(人相); 초; 초서. 초체. 〔반의어〕 楷·行; 초잡은 글. 초고. 초안. 기초(起草); 치장; 외관(外觀); 〈接尾語적으로 쓰여〉 ‘장정(裝幀)’의 뜻을 나타냄; 『불교』 중. 승려. 〔반의어〕 尼; 상; 구상; 생각. 사상; 『불교』 상온(想蘊). 오온(五蘊)의 한 가지. 외계의 대상을 마음에 떠올리는 정신 작용; 층. 겹; 층; 지층; 계급. 계층; 포개진 물체를 세는 말; 『음악』 쟁. ((13줄의 거문고와 비슷한 현악기)) 〔참고〕 옛날에는 「箏の琴」라 하였으나 지금은 단순히 「琴」라고 함; 그렇게. 그리; (상대편의 말에) 긍정·놀라움·반신반의 ·감동 등을 나타내는 말. 그래. 정말; 연(沿)하다. 따르다; 좇다. 따르다. 【가능동사】 そ·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따르다. 붙어다니다; 부부가 되다. 부부가 되어 함께 살다; 「そえる」의 문어
若い
화해. 〔동의어〕仲直り; 화해; 『법률』 이혼 소송에서, 당사자가 혼인의 유지 또는 원만한 협의 이혼에 합의가 성립됨; 젊다; (나이가) 어리다. 손아래이다; (실제 나이보다) 젊게 보이다; 미숙하다. 설익다; (번호나 숫자가) 다른 것에 비하여 o에 가깝다. 수가 적다. わか·げ 【형용동사】 わか·さ 【명사】 【문어형】 わか·し {ク 활용}
し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でも、 今見たことを、 決して誰にも言ってはいけないよ。
でも
미숙. 덜 된. 엉터리. 〔참고〕 「あれでも…か(그것도…이냐)」, 또는 「…にでもなるか(…이라도 될까)」의 「でも」에서 나왔다고 함; ⇒ で ·も 【계(係)조사】. 〔참고〕 格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이어진 꼴; 《連語 「でも」가 변하여 하나로 된 말.체언 또는 체언에 준하는 말 및 格助詞에 붙음》; 극단적인 예를 들고 다른 것도 그렇다는 것을 유추시킴. …일지라도. …이라도; 「だけ」와 함께 써서 희망의 최소한을 나타냄. …이라도; 다른 적당한 것이 있으면 그것도 좋다는 뜻으로 씀. …이라도. …이나; 〈불특정물에 붙어〉 전면적인 긍정 또는 부정을 나타냄. …든지. …이라도; ⇒ ても . 〔참고〕 接続助詞 「ても」가 ガ·ナ·バ·マ行 五段動詞 뒤에 쓰인 꼴.< 4> 【연어】『문어』 《否定의 接続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붙은 것. 현대 문장어에서는 「言わでものこと(말하지 않아도 좋은 일)」와 같은 관용적인 어법밖에 없음》 …하지 않아도 (좋다).< 5> 【접속사】 《「それでも」의 준말》 그럴지라도. 그래도. 그러나. 하지만. 〔동의어〕けれども·だけど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こと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決して
⇒ けっして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ない
내. 안쪽의; 공식적이 아닌. 은밀한; 내. 범위 안;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등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너무 심함을 나타냄. (몹시) …하다. 【문어형】 な·し {ク 활용}; 없다; 존재하지 않다; 갖고[갖추어져] 있지 않다. 없다; (시간적·공간적·수량적으로) 넉넉하지 않다; 오지 않다. 없다; (경험한 적이) 없다; (죽어서) 이 세상에 없다. 〔참고〕 6.은 「亡い」로 쓰는 경우가 많음. 1.~5. 〔반의어〕 有る.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動詞의 連用形+「て」, 形容詞, 形容動詞, 일부의 助動詞 「だ」 「らしい」 「たい」 등의 連用形 등의 뒤에 붙어〉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格助詞 「と」의 뒤에 붙어〉 불확실한, 또는 분명하게 지시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없이. 아니게.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否定의 뜻을 나타냄. …(스럽)지 않다.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動詞 및 動詞에 준하는 말의 未然形에 붙음. サ変動詞는 「し」에 붙으며, 動詞 「ある」에는 붙지 않음》;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てはなら~」 「…てはいけ~」의 꼴로〉 불허·금지를 나타냄. …는 안 되다; 〈「…なければなら~」 「なくてはいけ~」 등의 꼴로〉 당연·의무를 나타냄. (…지 않으면) 안 되다; 〈「なくてもよい」 「~でもいい」의 꼴로〉 허용을 나타냄. (…지) 않다; ⇒ ないで; 〈「…~か」 「…~かしら」의 꼴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나 (몰라); 〈문말(文末)에 쓰이어, 억양을 높여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 겠어? 〔참고〕 助動詞 「そう だ」, 接尾語 「過ぎる」가 이어질 때에는 語幹인 「な」 에 이어짐; ⇒ い . 〔참고〕 금지의 終助詞 「な」에 終助詞 「い」가 붙은 것
もしも言ったら、 殺してやるからね。
もしも
《「若し」의 힘줌말》 만약. 만일. 혹시
殺し
살인(殺人). 또는 살인 사건. 〔참고〕 원래는 경찰 용어
やる
나아가게 하다. 몰다; 보내다; 옮기다. 치우다; 향하다. 돌리다; (기분 등을) 풀다; 주다; 하다. 행하다; 그럭저럭 생활해 나가다; 《속어》 위해(危害)를 가하다. 죽이다; 《속어》 성교하다. 〔참고〕 9.의 ‘죽이다’의 뜻으로는 「殺る」로도 씀. 【가능동사】 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흔히, 否定의 꼴로 씀〉 동작이 완료하는 뜻을 나타냄. 완전히 …하다; 멀리까지 미치는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주체의 어떤 영향이 다른 대상에 미치는 뜻을 나타냄》 공손히 말할 때는 「やってあげる」가 됨; 아랫사람을 위하여 무엇인가를 해 주다; 적극적으로 그렇게 해 보이겠다는 뜻을 나타냄. (여봐란 듯이) …할 테다. 【가능동사】 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의 주체에 대한 가벼운 경의나 때로는 친밀감을 나타냄
から
(속이) 빔; 아무것도 지니지 않음; 《名詞 앞에 붙어》;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아무것도 지니지 않은’의 뜻을 나타냄. 빈; ‘실질이 따르지 않는’ ‘진실이 담겨 있지 않은’ ‘겉으로만의’의 뜻을 나타냄. 헛된. 공(空); 껍데기. 껍질; (알맹이가 없는) 빈 껍질. 깍지. 〔동의어〕空き殻; (비유적으로) 자기나름의 세계; 외피(外皮). 허물. 〔동의어〕抜け殻; 비지. 〔동의어〕おから. 〔참고〕 콩깍지의 경우는 「幹」로도 씀; 《고어》; 줄기. 대. 〔동의어〕みき·くき; ⇒ 矢柄; 한국의 옛일컬음. 〔참고〕 「韓」로 씀; 중국의 옛일컬음. 〔참고〕 「唐」 「漢」로 씀; (변하여) 외국; 「唐織」의 준말; 중국이나 기타 외국에서 건너온 것임을 나타냄; (변하여) 진기한. 고급의; 《否定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름》 그 상태가 매우 심한 모양. 전혀. 온통. 아주. 극히. 정말. 몹시. 〔동의어〕からきし·まるっきり; 〈名詞·形容動詞에 붙음〉 전혀. 온통. 아주; 완전히. 모조리. 죄다;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동작·작용의 기점을 나타냄. …부터. …에서(부터); 경유하는 장소를 나타냄. …으로(부터); 원인·이유·근거를 나타냄. …으로. …으로부터. …이므로; 재료·구성 요소를 나타냄. …(으)로;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 정도로 많거나 그 이상임을 나타냄. …(이상)이나. 쯤; 셈 등의 시초를 가리킴. …내지. …부터; 여럿 중에서 선택하는 뜻을 나타냄. …에서; 처지를 나타냄. …에서; 〈흔히 「~が」 「~して」 「にして~が」의 꼴로〉 그 중의 두드러진 예를 들고 나머지는 말할 것도 없다는 뜻을 나타냄. …부터가;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앞의 일이 뒤의 일의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이)니까. …(이)므로; 〈終助詞적으로〉 상대편에 대하여 자기의 강한 결심을 나타냄. …터이니까; 〈「~に」의 꼴로 動詞의 連体形에 붙어〉 필연적으로 그 다음 사항을 알 수 있음을 나타냄. …만 해도; 『문어』 〈「~に」의 꼴로 動詞의 連体形에 붙어〉 …(하)자마자. …하기만 하면 곧; 〈「~(に)は」의 꼴로〉 …하는 한[이상]은. …바에는; 〈「~だ」 「~です」의 꼴로〉 결과를 앞에 말하고, 원인·이유를 뒤에 설명하는 데 씀. …하기 때문이다. …한 까닭이다; 〈흔히, 否定의 「ない」가 따름. 「~とて」 「~って」 「~といって」의 꼴로〉 …이라고 해서
ね
자; 십이지(十二支)의 첫째. 쥐; 자시(子時). 영시(零時). 또는 오후 11시부터 2시간 동안; 옛날의 방위명(方位名). 북쪽; 음. 소리. ((흔히, 아름다운 소리·목소리를 말함)); 『식물·식물학』 뿌리; (서 있거나 돋아난 것의) 밑동. 밑둥치; 부스럼 속의 단단한 망울. 근; (낚시에서) 바다 속의 암초; 화살촉. 〔동의어〕鏃; 근원. 기원; 본성. 천성; 마음속에 맺힌 응어리; 값. 가격. 〔동의어〕値段; 값어치. 가치. 〔동의어〕ねうち; 잠. 수면; 『문어』 산꼭대기. 산봉우리. 산정; 다정하게 말을 걸거나, 다짐하거나 할 때 하는 말. 네. 응; 《문말(文末)의 여러 가지 말에 붙음》; 가벼운 영탄·감동의 뜻을 나타냄. …구나. …군요. 〔참고〕 대개의 경우 「ねえ」의 꼴을 씀; 가벼운 주장을 나타냄. …데요; 다짐하는 뜻을 나타냄. …겠지(요); 상대의 동의나 대답을 바라는 뜻을 나타냄. …이지(요); 《문중(文中)에 쓰이어》 어세(語勢)를 돋우거나 어조를 고르거나 하는 뜻을 나타냄. …말이야. …말이거든; 『문어』 《완료의 助動詞 「ぬ」의 命令形》 …해 버려라
そう言うと女は、 戸を閉めずに出て行ってしまいました。
そう
《体言에 붙음》 총. 모든. 전체의; 장. ((여관·별장·아파트 등에 붙는 말)); 장. 장례식. 장의; 작은 배를 세는 말. 척; 쌍. 둘씩 짝을 이룬 것; 필적(匹敵)하는 것; 쌍으로 된 물건을 헤아리는 말. 쌍; 『문어』; 장함. 혈기 왕성함. 용감함. {문어·ナリ 활용 }; 한창 젊은 때. 장년; 근원. 근본; 조상·선조. 또는, 조상 중에서 뛰어난 이; 연주; 상; 형체. 모습. 양상; (인상·수상·골상 등의) 상. 길흉(吉凶)의 인상(人相); 초; 초서. 초체. 〔반의어〕 楷·行; 초잡은 글. 초고. 초안. 기초(起草); 치장; 외관(外觀); 〈接尾語적으로 쓰여〉 ‘장정(裝幀)’의 뜻을 나타냄; 『불교』 중. 승려. 〔반의어〕 尼; 상; 구상; 생각. 사상; 『불교』 상온(想蘊). 오온(五蘊)의 한 가지. 외계의 대상을 마음에 떠올리는 정신 작용; 층. 겹; 층; 지층; 계급. 계층; 포개진 물체를 세는 말; 『음악』 쟁. ((13줄의 거문고와 비슷한 현악기)) 〔참고〕 옛날에는 「箏の琴」라 하였으나 지금은 단순히 「琴」라고 함; 그렇게. 그리; (상대편의 말에) 긍정·놀라움·반신반의 ·감동 등을 나타내는 말. 그래. 정말; 연(沿)하다. 따르다; 좇다. 따르다. 【가능동사】 そ·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따르다. 붙어다니다; 부부가 되다. 부부가 되어 함께 살다; 「そえる」의 문어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女
『문어』 여자. 여인. 〔반의어〕 男
戸
《体言·形容詞 등의 앞에 붙음》; (모양이) 작은; (수량·정도가) 작은. 약간의. 잔; 깔보는 뜻을 나타냄; 근(近). 거의; 〈흔히 신체 부분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그 동작을 가볍게 하는 뜻을 나타냄; 어쩐지 그런 느낌이 든다는 뜻을 나타냄; 앞의 말과 같은 어감을 가진 말에 붙어 어조를 고름; 고. ‘옛날의’ ‘오래된’의 뜻을 나타냄; 고. 고인; 짙은; 〈擬声語·擬態語 등의 副詞에 붙어〉 그런 상태임을 나타냄;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일’의 뜻을 나타냄. …함; 〈흔히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 같은 동작을 함’ ‘서로 겨룸’의 뜻을 나타냄. 서로 겨룸; 별다른 뜻이 없이 여러 가지 말에 붙음; 『문어』 《상태를 나타내는 한어(漢語)에 붙어》 감동을 나타내거나 어조를 강하게 함. 호. …히; 고; 호; 자식. 〔반의어〕 親; 아이. 어린아이; 소녀. 젊은 여자. 〔참고〕 「娘」로도 씀; 새끼. 순(筍); 기생. 유녀(遊女). 〔참고〕 「妓」로도 씀; 이자(利子); (물고기의) 알; 여자의 이름을 구성하는 말;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 일을 하는 사람·물건의 뜻을 나타냄. 〔참고〕 가축(家畜)일 경우는 「仔」로도 씀; 나무; 가루. 분말; 〈「身を~にして」의 꼴로〉 (비유적으로) 몸을 아끼지 않고. 분골쇄신하여; 가루; 『문어』; 고아; 고독. 외로움; 호; 『수학』 원주(圓周) 또는 곡선의 일부분. 원호(圓弧); 개체. 개인; 물건을 세는 말. 개; 『문어』 누에. 〔동의어〕蚕; ⇒ はかま; (본디, 군대에서) 바지; 금속제의 불구(佛具)의 일종. 번뇌를 쳐부수고, 악마를 쫓는 뜻으로 손에 듦. 〔참고〕 본디, 인도의 무기였던 銛가 변한 것; 『문어』 북. 〔동의어〕太鼓; 「伏せ籠」의 준말
出
『문어』 그 곳·그 집안에서 태어남. 출신. 〔동의어〕で·出身
しまい
끝. 마지막; 끝냄. 마침; 끝장; 품절. 매진. 〔동의어〕売り切れ; (能楽에서) 주역이 가면이나 정식 의상을 갖추지 않고, 반주도 없이 노래만으로 혼자 추는 약식 춤; 자매; (여자의) 언니와 동생. 여자 형제; 〈흔히 다른 말의 앞에 붙어〉 같은 계통의 2개의 것
躾がなってないなあ。
躾
예의범절을 가르침; (농작물, 특히 벼의) 모내기. 〔참고〕 1.2.는 「躾」로도 씀; ⇒ 仕付け
ない
내. 안쪽의; 공식적이 아닌. 은밀한; 내. 범위 안;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등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너무 심함을 나타냄. (몹시) …하다. 【문어형】 な·し {ク 활용}; 없다; 존재하지 않다; 갖고[갖추어져] 있지 않다. 없다; (시간적·공간적·수량적으로) 넉넉하지 않다; 오지 않다. 없다; (경험한 적이) 없다; (죽어서) 이 세상에 없다. 〔참고〕 6.은 「亡い」로 쓰는 경우가 많음. 1.~5. 〔반의어〕 有る.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動詞의 連用形+「て」, 形容詞, 形容動詞, 일부의 助動詞 「だ」 「らしい」 「たい」 등의 連用形 등의 뒤에 붙어〉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格助詞 「と」의 뒤에 붙어〉 불확실한, 또는 분명하게 지시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없이. 아니게.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否定의 뜻을 나타냄. …(스럽)지 않다.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動詞 및 動詞에 준하는 말의 未然形에 붙음. サ変動詞는 「し」에 붙으며, 動詞 「ある」에는 붙지 않음》;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てはなら~」 「…てはいけ~」의 꼴로〉 불허·금지를 나타냄. …는 안 되다; 〈「…なければなら~」 「なくてはいけ~」 등의 꼴로〉 당연·의무를 나타냄. (…지 않으면) 안 되다; 〈「なくてもよい」 「~でもいい」의 꼴로〉 허용을 나타냄. (…지) 않다; ⇒ ないで; 〈「…~か」 「…~かしら」의 꼴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나 (몰라); 〈문말(文末)에 쓰이어, 억양을 높여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 겠어? 〔참고〕 助動詞 「そう だ」, 接尾語 「過ぎる」가 이어질 때에는 語幹인 「な」 에 이어짐; ⇒ い . 〔참고〕 금지의 終助詞 「な」에 終助詞 「い」가 붙은 것
いや、 そこ、 いいじゃろう。
そこ
바닥. 밑바닥; 끝. 한계; (깊은) 속; 실력. 역량; 《中称의 指示代名詞》; 거기. 그곳; 그때. 그 장면; 그것. 그 점
い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翌年の冬、 巳之吉はある若い娘に出会いました。
翌年
익년. 이듬해. 다음 해. 〔동의어〕よくねん
冬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ある
어느. 어떤; 있다; 사물이 존재하다;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어떤 상태에 있다; (…을) 가지고 있다. (어떤 것에) 딸려 존재하다; (어떤 특별한 일이) 일어나다. 벌어지다. 행해지다; (머물러) 있다;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만한 수량이 되다[나가다]; 〈「…に~」의 꼴로〉 …에 의해 결정되다. 달려 있다; 〈「…と~」의 꼴로〉 …이라고 적혀[되어] 있다; 시간이 지나다. 경과하다. 〔참고〕 < 1> 은 보통 ‘존재하다’의 뜻으로 「在る」, ‘소유하다’의 뜻으로는 「有る」로 갈라 쓰지만, 모두 かな로 쓰는 일이 많음. 【문어형】 あ·り {ラ 行 활용}; 〈「…て~」의 꼴로〉 동작이나 행위의 결과가 계속됨을 나타냄. …되어 있다. …하여 있다; 〈「…て~」의 꼴로〉 미리 준비되고 있음을 나타냄. 미리 …해 놓고 있다. 〔반의어〕 ない; 〈「…にして~」의 꼴로〉 하기로 되어 있음을 나타냄. …하기로 해 놓고 있다;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의 상태를 나타내다[띠다]’ ‘…의 성질을 지니다’의 뜻을 나타냄. …이다. …하다. ((「ある」 앞에 助詞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음)); 〈「名詞+で+~」의 꼴로〉 동등한 그러하다고 판단하는 뜻을 나타냄. …이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문어형】 あ·り {ラ 行 활용}
若い
화해. 〔동의어〕仲直り; 화해; 『법률』 이혼 소송에서, 당사자가 혼인의 유지 또는 원만한 협의 이혼에 합의가 성립됨; 젊다; (나이가) 어리다. 손아래이다; (실제 나이보다) 젊게 보이다; 미숙하다. 설익다; (번호나 숫자가) 다른 것에 비하여 o에 가깝다. 수가 적다. わか·げ 【형용동사】 わか·さ 【명사】 【문어형】 わか·し {ク 활용}
娘
《「産す女」의 뜻》; 딸. 〔반의어〕 息子; 처녀. 〔동의어〕乙女
出会い
해후. 마주침. 만남. 〔동의어〕巡りあい; (남녀의) 밀회. 〔동의어〕あいびき; (강 등의) 합류점; 채색(彩色)의 배합. 〔동의어〕色取り; 공동 작업; 『경제』 팔 사람과 살 사람이 값이 맞아서 거래가 이루어짐
娘は雪のような白い肌で、 名前もお雪と言いました。
娘
《「産す女」의 뜻》; 딸. 〔반의어〕 息子; 처녀. 〔동의어〕乙女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よう
나뭇잎·종이 등 얇은 것을 세는 말. 장; 용무. 볼일. 일. 〔동의어〕用事; 소용. 쓸모. 구실; 『문어』 드는 돈. 비용. 〔동의어〕費用·入り用; 대소변. 용변; 名詞 뒤에 붙어, 무엇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냄. …용; 『문어』; 요염함; 『역사』 용. 토용(土俑). ((옛날 중국에서, 순사자(殉死者) 대신에 죽은 사람과 함께 묻었던 토제(土製) 또는 목제의 인형)); 『문어』 양. 세계를 동서의 둘로 나눈 하나. 동양과 서양. 특히, 서양; 양. 넓은 바다; 요. 요점. 요령; 필요. 필요성; 『문어』 모습. 모양. 자태. 〔동의어〕姿·かたち; 《「益」의 변한말》 보람. 효과; 『역사』 용. 律令制 시대에 부역 대신에 바친 물건; 양. 〔반의어〕 陰; 표면; 역학(易學)에서 적극적인 성질을 가진 것. ((달에 대한 해, 여자에 대한 남자, 마이너스에 대한 플러스 등)); 『의학』 양성; 『문어』 용인. 고용인. 〔동의어〕傭人; 『의학』 양. 종기; 모양. 형태. 생김새. 〔동의어〕形·有様; 방법. 수단; 〈「…~に」의 꼴로〉 목적이나 기대를 나타냄. …도록;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모양;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위한) 방법. 방식. 수단. 〔참고〕 흔히 かな로 씀; 〈흔히 名詞에 붙어〉 형(型). 양식(樣式); 〈흔히 名詞에 붙어〉 …의 모양(을 한 것); 빛남; 일월(日月)과 오성(五星); 요. ((요일을 일컬음. 接尾語적으로 씀)); 『의학』 옹. ((목·등·배 등에 생기는 종기)); ⇒ よく . 〔참고〕 「よく」의 音便. 방언적인 말. 〔참고〕 현대어로는 주로 西日本에서 쓰임; 무간하게 남을 부르거나 인사할 때의 말. 야! 여!; 무엇을 조르거나 할 때 하는 말. 아이. 참. 제발; 술에 취하다. 술기가 돌다; 멀미하다; 도취하다. 황홀해지다. 〔동의어〕うっとりする; 《고어》 (어육 등에) 중독되다; 미혹(迷惑)되다. (나쁜 길에) 빠지다. 헤매다. 〔동의어〕迷う. 【가능동사】 よ·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아득히 멂. 깊숙하고 어두움; 묘연함. 사정을 잘 알 수 없음. {문어·タリ 활용}; 《上1段·下1段·カ変·サ変의 動詞의 未然形, 助動詞 「せる」 「させる」 「しめる」 「れる」 「られる」의 未然形에 붙음. 다만, サ変에는 「し」의 꼴에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나 결의를 나타냄. …하자; 상대에 대한 권유를 나타냄. …하자; 완곡한 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자; 추량(推量)이나 상상함의 뜻을 나타냄. …겠지;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리라;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ㄹ까보냐. …하겠나; 가정(假定)이나 가상(假想)의 상태를 나타냄. …건. …든지;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상태가 실현의 직전에 있음을 나타냄. …려고; 가능성을 나타냄. …할 수 있다; 『문어』 유. 어림. 어린 사람[아이]. 〔반의어〕 老
白い
희다; 결백하다. 무죄다. しろ·げ 【형용동사】 しろ·さ 【명사】 しろ·み 【명사】 【문어형】 しろ·し {ク 활용}
肌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名前
이름; 명칭; 성명. 성과 이름; (성을 뺀) 이름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えっ、 あれ、 さっきの雪女じゃ...
あれ
바람·비·파도 등이 거칢. 폭풍우. 풍파; 건물이나 물품이 상함; 어떤 일의 진행이나 시세 등이 심하게 변동함; 살갗이 거칠거칠해짐; 놀라거나 이상해하거나 할 때 내는 소리. 어. 아니. 어머나. 저런. 아이고머니나. 〔동의어〕あれえ·あら. 〔참고〕 代名詞 「彼」와 어원이 같음
さっき
《속어》 《「さき」의 促音 첨가. 副詞적으로도 씀》 아까. 조금 전. 〔동의어〕さきほど·先刻; 살기; 『문어』 한랭한 기운. 가을·겨울의 한기(寒氣); 『문어』 기구함. 〔동의어〕すうき; 독후의 의견·감상 등을 수시로 적어 놓은 것. 수상록(隨想錄)
雪女
(눈이 많은 고장의 전설에서) 흰 옷을 입은 여자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하는 눈의 정령. 〔동의어〕雪娘·雪女郎
二人は徐々に惹かれ合い、 やがて結婚。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やがて
이윽고. 머지않아. 얼마 안 있어; 이럭저럭. 대충; 『문어』 즉. 곧. 결국은; 『문어』 이어. 바로. 당장에. ((예스러운 말))
結婚
혈흔. 핏자국; 결혼. 〔동의어〕婚姻
十人もの子宝に恵まれました。
十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いやそれ、 随分産んだね。
それ
《中称의 指示代名詞》; 자기에게서 좀 떨어진 곳의 물건을 가리키는 말. 그것; 현재 화제에 오른 사물을 가리키는 말. 그 일; 자기와 상대편이 공통된 화제로 삼고 있는 어느 때를 가리키는 말. 그때; 앞에서 한 말을 되풀이할 때 대신 쓰는 말. 그것. 〔참고〕 번역조의 문장에 많음; 『문어』 〈接続詞적으로 씀〉 글의 첫머리에 써서 어조(語調)를 고르는 말. 무릇. 대저. 〔참고〕 흔히, 한문 훈독체의 문장에 쓰였음; 《代名詞 「それ」와 같은 어원(語源)》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할 때 내는 말. 저런. 야. 자. 이것 봐
随分
《「~と」의 꼴로도 씀》; 분에 어울리게; 보통 정도가 넘는 모양. 몹시. 아주. 대단히; 가능한 한. 부디. 아무쪼록. 〔참고〕 예스러운 표현. 작별 인사 때 씀; 《속어》 《「ずいぶんひどい」의 「ひどい」가 빠진 것》 매우 심함. 너무함
ね
자; 십이지(十二支)의 첫째. 쥐; 자시(子時). 영시(零時). 또는 오후 11시부터 2시간 동안; 옛날의 방위명(方位名). 북쪽; 음. 소리. ((흔히, 아름다운 소리·목소리를 말함)); 『식물·식물학』 뿌리; (서 있거나 돋아난 것의) 밑동. 밑둥치; 부스럼 속의 단단한 망울. 근; (낚시에서) 바다 속의 암초; 화살촉. 〔동의어〕鏃; 근원. 기원; 본성. 천성; 마음속에 맺힌 응어리; 값. 가격. 〔동의어〕値段; 값어치. 가치. 〔동의어〕ねうち; 잠. 수면; 『문어』 산꼭대기. 산봉우리. 산정; 다정하게 말을 걸거나, 다짐하거나 할 때 하는 말. 네. 응; 《문말(文末)의 여러 가지 말에 붙음》; 가벼운 영탄·감동의 뜻을 나타냄. …구나. …군요. 〔참고〕 대개의 경우 「ねえ」의 꼴을 씀; 가벼운 주장을 나타냄. …데요; 다짐하는 뜻을 나타냄. …겠지(요); 상대의 동의나 대답을 바라는 뜻을 나타냄. …이지(요); 《문중(文中)에 쓰이어》 어세(語勢)를 돋우거나 어조를 고르거나 하는 뜻을 나타냄. …말이야. …말이거든; 『문어』 《완료의 助動詞 「ぬ」의 命令形》 …해 버려라
でも不思議なのは、
でも
미숙. 덜 된. 엉터리. 〔참고〕 「あれでも…か(그것도…이냐)」, 또는 「…にでもなるか(…이라도 될까)」의 「でも」에서 나왔다고 함; ⇒ で ·も 【계(係)조사】. 〔참고〕 格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이어진 꼴; 《連語 「でも」가 변하여 하나로 된 말.체언 또는 체언에 준하는 말 및 格助詞에 붙음》; 극단적인 예를 들고 다른 것도 그렇다는 것을 유추시킴. …일지라도. …이라도; 「だけ」와 함께 써서 희망의 최소한을 나타냄. …이라도; 다른 적당한 것이 있으면 그것도 좋다는 뜻으로 씀. …이라도. …이나; 〈불특정물에 붙어〉 전면적인 긍정 또는 부정을 나타냄. …든지. …이라도; ⇒ ても . 〔참고〕 接続助詞 「ても」가 ガ·ナ·バ·マ行 五段動詞 뒤에 쓰인 꼴.< 4> 【연어】『문어』 《否定의 接続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붙은 것. 현대 문장어에서는 「言わでものこと(말하지 않아도 좋은 일)」와 같은 관용적인 어법밖에 없음》 …하지 않아도 (좋다).< 5> 【접속사】 《「それでも」의 준말》 그럴지라도. 그래도. 그러나. 하지만. 〔동의어〕けれども·だけど
不思議
불가사의(不可思議); 이상함. 희한함. 괴이함. ふ-しぎ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ふ-しぎ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そんなに子供も産んで、 結婚して何年も経つのに、
そんなに
그렇게. 그토록
子供
(어버이에 대하여) 자식. 아이. 〔반의어〕 親; (어른에 대하여) 아이. 〔반의어〕 大人; 언어·행동이 아직 유치함. 어린애; (짐승 등의) 새끼; 고용하고 있는 기녀·창녀
結婚
혈흔. 핏자국; 결혼. 〔동의어〕婚姻
し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経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のに
《用言의 連体形에 붙음. 形容動詞·助動詞 「だ」에서는 終止形에 붙는 수도 있음》; 일반적인 예상과는 반대 되는 사항이 일어남을 나타냄. …하는데도. …함에도 불구하고; 〈뒷말을 생략한 것으로, 終助詞적으로 씀〉 불만·원망·비난 등의 심정을 나타냄. …인데. …텐데. …련만; 《準体助詞 「の」에 格助詞 「に」가 붙은 것》; …을 하기 위해. …을 하는 데; …의 것으로; …것에
お雪は一向に年を取らないことでした。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ない
내. 안쪽의; 공식적이 아닌. 은밀한; 내. 범위 안;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등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너무 심함을 나타냄. (몹시) …하다. 【문어형】 な·し {ク 활용}; 없다; 존재하지 않다; 갖고[갖추어져] 있지 않다. 없다; (시간적·공간적·수량적으로) 넉넉하지 않다; 오지 않다. 없다; (경험한 적이) 없다; (죽어서) 이 세상에 없다. 〔참고〕 6.은 「亡い」로 쓰는 경우가 많음. 1.~5. 〔반의어〕 有る.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動詞의 連用形+「て」, 形容詞, 形容動詞, 일부의 助動詞 「だ」 「らしい」 「たい」 등의 連用形 등의 뒤에 붙어〉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格助詞 「と」의 뒤에 붙어〉 불확실한, 또는 분명하게 지시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없이. 아니게.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否定의 뜻을 나타냄. …(스럽)지 않다.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動詞 및 動詞에 준하는 말의 未然形에 붙음. サ変動詞는 「し」에 붙으며, 動詞 「ある」에는 붙지 않음》;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てはなら~」 「…てはいけ~」의 꼴로〉 불허·금지를 나타냄. …는 안 되다; 〈「…なければなら~」 「なくてはいけ~」 등의 꼴로〉 당연·의무를 나타냄. (…지 않으면) 안 되다; 〈「なくてもよい」 「~でもいい」의 꼴로〉 허용을 나타냄. (…지) 않다; ⇒ ないで; 〈「…~か」 「…~かしら」의 꼴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나 (몰라); 〈문말(文末)에 쓰이어, 억양을 높여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 겠어? 〔참고〕 助動詞 「そう だ」, 接尾語 「過ぎる」가 이어질 때에는 語幹인 「な」 에 이어짐; ⇒ い . 〔참고〕 금지의 終助詞 「な」에 終助詞 「い」가 붙은 것
こと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ひょっとすると、 お雪は、
ひょっと
뜻밖에. 어쩌다가. 우연히. 불쑥. 문득. 〔동의어〕ふと; 만약. 혹시. 〔동의어〕もしや
する
(판목이나 활판 등으로) 인쇄하다. 박다. 【가능동사】 す·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剃る」의 변한말》 깎다. 밀다. 〔참고〕 상인 사회에서는 「磨る」와 음이 같음을 꺼리어 「あたる」라 함. 【가능동사】 す·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소매치기하다. 【가능동사】 す·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지르다. 비비다. 갈다. 〔동의어〕こする. 〔참고〕 「擦る」 「摩る」를 많이 씀; 갈다. 〔참고〕 「磨る」 「摩る」를 많이 씀; 으깨다. 짓이기다. 〔동의어〕すりつぶす. 〔참고〕 「擂る」를 많이 씀; 쓿다. 〔참고〕 「磨る」를 많이 씀; 다 써 버리다. 〔동의어〕使い果たす. 〔참고〕 「磨る」 「摩る」를 많이 씀. 【가능동사】 す·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が~」의 꼴로〉 (어떤 현상이) 일어나다. 무엇이 느껴지다; 〈「…ようと~」 「…ように~」 「…事に~」의 꼴로〉 의지를 나타냄. …려고 하다. …기로 하다; 〈금액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값이 나가다; 〈시간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시간이 경과하다; 〈「…の~」 「…と~」의 꼴로〉 …할. …한. 【문어형】 す {サ 行 활용}; 〈「…を~」의 꼴로〉 (어떤 일·동작·역할을) 하다; 〈「…に~」의 꼴로〉 어떤 상태가 되게 하다. 【문어형】 す {サ 行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助詞 「は」 「も」 「や」 「さえ」 등을 수반하는 말에 붙어 그 動詞, 또는 그 動詞의 否定의 뜻을 강조함〉 하다; 〈「お+動詞의 連用形+~」의 꼴로〉 겸손의 뜻을 나타냄. 하다; 〈「…として」 「…としては」 「…とすれば」 「…にしたら」의 꼴로〉 …(으)로서. …(으)로서는. …고 하면. …면; 〈「…うと~」 「…ようと~」의 꼴로〉 …려 하다; 어떤 상태가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 〔참고〕 ㉠名詞 및 動詞·形容詞의 連用形이나 副詞에 붙어 サ変複合動詞를 만들 때가 많음. 「涙する」 「よくする」 「勝負する」 「害する」 「ジャンプする」 등. ㉡외자인 한자어와 복합될 때는 가끔 「ずる」가 됨. 「疎んずる」 「論ずる」 「感ずる」 등. 【문어형】 す {サ 行 활용}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雪女だって気付いちゃったの?
雪女
(눈이 많은 고장의 전설에서) 흰 옷을 입은 여자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하는 눈의 정령. 〔동의어〕雪娘·雪女郎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美魔女か!
美
생선을 세는 말. 마리. 〔동의어〕匹; 미; 아름다움. 좋음. 〔반의어〕 醜; 훌륭함. 칭찬할 만한 가치가 있음; 맛이 좋음; 『문어』; 희미함. 미미함; 작음. 미세함; 미. 작은. 미세한
魔女
마녀; 마법을 쓰는 여자. 여자 마법사; (변하여) 악마 같은 여자. 악녀
違うって!
違う
다르다. 틀리다. ((예스러운 말)); 「たがえる」의 문어
しかし、 その幸せも、 ついに終わりを迎えることになります。
しかし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동의어〕だが·そうではあるが·けれども
その
『러시아어』; 정원. 뜰. 또는 꽃·야채·과일나무 등을 가꾸는 구역. 〔동의어〕そのう; (딴 곳과 구별된 특정의) 장소; 상대와 멀지 않은 위치에 있는 사물을 가리키는 말. 그. 그것; 앞서 말한 것을 가리키는 말. 그; 말문이 막히거나 할 때 쓰는 군말. 저…. 그…. 〔참고〕 「そのう」라고 장음화할 때가 많음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ついに
마침내. 드디어. 결국. 〔동의어〕とうとう; 〈흔히, 否定의 말이 딸리어〉 끝끝내. 끝까지. 종내. 아직. 한 번도. 〔동의어〕いまだかつて
終わり
끝. 마지막. 종말. 〔동의어〕しまい·最後. 〔반의어〕 初め·はじまり; 일생의 최후. 임종;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 지금의 愛知현의 서북부 名古屋를 중심으로 하는 지방
迎える
(찾아온 사람, 다가온 시기 등을) 맞다. 맞이하다; (가족·동아리의 일원으로) 맞아들이다; 불러오다. 초청하다. 모시다; (어떤 상황에) 직면하다. 맞다; 영합하다; 적을 맞다. 맞아 싸우다. 요격하다. 〔참고〕 6.은 「邀える」로도 씀. 【문어형】 むか·ふ {하2단 활용}
こと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 お雪、 」 巳之吉は何気なく雪女の話をしてしまいます。
雪女
(눈이 많은 고장의 전설에서) 흰 옷을 입은 여자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하는 눈의 정령. 〔동의어〕雪娘·雪女郎
話
소곤대는 이야기. 밀담
し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しまい
끝. 마지막; 끝냄. 마침; 끝장; 품절. 매진. 〔동의어〕売り切れ; (能楽에서) 주역이 가면이나 정식 의상을 갖추지 않고, 반주도 없이 노래만으로 혼자 추는 약식 춤; 자매; (여자의) 언니와 동생. 여자 형제; 〈흔히 다른 말의 앞에 붙어〉 같은 계통의 2개의 것
するとどうでしょう。
すると
《動詞 「する」+接続詞 「と」》; 그랬더니. 그러자; 그러면. 그렇다면
どう
동. 같음; 동. (앞에 말한) 그; 동; 몸통. 동체. 〔동의어〕胴体; 몸의 중앙부. 복부(腹部); 물건의 중앙 부분. 동체; 북·三味線 등에서, 소리가 잘 울리도록 하기 위한, 속이 텅 빈 부분; (재래식 목조선의) 복부. 중배; 갑옷 또는 검도 방호구(防護具)의 가슴·배를 가리는 부분; (검도에서) 허리를 타격하는 수. 허리치기; 배짱; 동. 움직임. 〔반의어〕 静; 옛날, 영빈(迎賓)·예식 등을 위한 건물; 신불을 모신 건물; 집회(集會)를 위한 건물; 당. 옥호(屋號)·아호(雅號)·건물의 이름에 붙이는 말; 「北海道」의 준말; 동;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구리. 원소 기호 cu. 〔동의어〕あか·あかがね; 「銅メダル」의 준말; 당; 기를 단 창. 당극(幢戟).〔동의어〕はたほこ; 장막. 휘장; 어떻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함을 나타냄. 아무리(…해도); 〈「どうですか」의 준말〉 어때. 어때요; 마소를 멈추게 할 때 지르는, 달래는 소리. 우어. 워
「 それは、 この私じゃ! 」
それ
《中称의 指示代名詞》; 자기에게서 좀 떨어진 곳의 물건을 가리키는 말. 그것; 현재 화제에 오른 사물을 가리키는 말. 그 일; 자기와 상대편이 공통된 화제로 삼고 있는 어느 때를 가리키는 말. 그때; 앞에서 한 말을 되풀이할 때 대신 쓰는 말. 그것. 〔참고〕 번역조의 문장에 많음; 『문어』 〈接続詞적으로 씀〉 글의 첫머리에 써서 어조(語調)를 고르는 말. 무릇. 대저. 〔참고〕 흔히, 한문 훈독체의 문장에 쓰였음; 《代名詞 「それ」와 같은 어원(語源)》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할 때 내는 말. 저런. 야. 자. 이것 봐
この
이; 최근의. 요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まさか、 お雪が雪女だったとは!
まさか
당장. 눈앞. 목전(目前); 무슨 일이 눈앞에 닥쳐 있음. 긴급; 《보통, 否定語나 反語를 동반하여》 예기하지 않은 가정(假定)을 나타냄. 설마. 아무리 그렇더라도. 〔동의어〕まさかに·よもや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雪女
(눈이 많은 고장의 전설에서) 흰 옷을 입은 여자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하는 눈의 정령. 〔동의어〕雪娘·雪女郎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いや、 分かってたし!
し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 あれほど約束したのに、 なんで喋ってしまったの? 」
あれ
바람·비·파도 등이 거칢. 폭풍우. 풍파; 건물이나 물품이 상함; 어떤 일의 진행이나 시세 등이 심하게 변동함; 살갗이 거칠거칠해짐; 놀라거나 이상해하거나 할 때 내는 소리. 어. 아니. 어머나. 저런. 아이고머니나. 〔동의어〕あれえ·あら. 〔참고〕 代名詞 「彼」와 어원이 같음
ほど
사물·동작·상태의 정도나 한도. 또는 알맞은 정도; 대체적인 넓이. 면적; 대체적인 장소. (어디)께; 대체적인. 거리; 대체적인. 시간. 사이. 쯤. 무렵; 허용되는 범위 안의 정도. 분수; 〈‘정도’의 뜻이 助詞화된 것. 体言·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정도로. 쯤. 만큼; 否定의 뜻을 나타내는 말과 호응하여, 정도를 비교하는 기준을 나타냄. …만큼; 〈흔히, 「…ば…~」의 꼴로〉 한쪽의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쪽의 상태가 한층 높아지는 뜻을 나타냄. …(하)면 …(할)수록; 〈「…という~のこと」의 꼴로〉; 『문어』 보도. 보폭(步幅)이나 걸음걸이의 속도
約束
약속; 규칙. 규약. 규정; 운명. 숙명. 인연
し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のに
《用言의 連体形에 붙음. 形容動詞·助動詞 「だ」에서는 終止形에 붙는 수도 있음》; 일반적인 예상과는 반대 되는 사항이 일어남을 나타냄. …하는데도. …함에도 불구하고; 〈뒷말을 생략한 것으로, 終助詞적으로 씀〉 불만·원망·비난 등의 심정을 나타냄. …인데. …텐데. …련만; 《準体助詞 「の」에 格助詞 「に」가 붙은 것》; …을 하기 위해. …을 하는 데; …의 것으로; …것에
「 でも、 子供達のことを思うと、 お前の命を取ることはできぬ。 」
でも
미숙. 덜 된. 엉터리. 〔참고〕 「あれでも…か(그것도…이냐)」, 또는 「…にでもなるか(…이라도 될까)」의 「でも」에서 나왔다고 함; ⇒ で ·も 【계(係)조사】. 〔참고〕 格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이어진 꼴; 《連語 「でも」가 변하여 하나로 된 말.체언 또는 체언에 준하는 말 및 格助詞에 붙음》; 극단적인 예를 들고 다른 것도 그렇다는 것을 유추시킴. …일지라도. …이라도; 「だけ」와 함께 써서 희망의 최소한을 나타냄. …이라도; 다른 적당한 것이 있으면 그것도 좋다는 뜻으로 씀. …이라도. …이나; 〈불특정물에 붙어〉 전면적인 긍정 또는 부정을 나타냄. …든지. …이라도; ⇒ ても . 〔참고〕 接続助詞 「ても」가 ガ·ナ·バ·マ行 五段動詞 뒤에 쓰인 꼴.< 4> 【연어】『문어』 《否定의 接続助詞 「で」에 係助詞 「も」가 붙은 것. 현대 문장어에서는 「言わでものこと(말하지 않아도 좋은 일)」와 같은 관용적인 어법밖에 없음》 …하지 않아도 (좋다).< 5> 【접속사】 《「それでも」의 준말》 그럴지라도. 그래도. 그러나. 하지만. 〔동의어〕けれども·だけど
子供
(어버이에 대하여) 자식. 아이. 〔반의어〕 親; (어른에 대하여) 아이. 〔반의어〕 大人; 언어·행동이 아직 유치함. 어린애; (짐승 등의) 새끼; 고용하고 있는 기녀·창녀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こと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取る
손에 가지다. 집다. 들다. 쥐다. 잡다; 취하다; (작은 동물 등을) 잡다. (열매 등을) 따다; 받다; 벗다; 훔치다. 빼앗다; (사무 등을) 보다; (무엇을) 하다; (숙소 등을) 잡다; (공간을) 차지하다. (시간이) 걸리다; 예약하다. 잡아 두다; 채용하다. 쓰다. 두다; 맡다. (책임을) 지다; 〈「…に~·って」의 꼴로〉 …로서는. …에 있어서는; 해석하다. 이해하다. 받아들이다; 맞추다; (신문 등을) 구독하다. 보다; 맞다. 얻다. 두다; 죽이다; 주문하다; (자격 등을) 따다. 얻다; 뽑다. 없애다. 제거하다; 집어 옮기다. 나누어 담다; 공제하다. 빼다; 징수하다; 사사(師事)하다. 배우다; (기생·매춘부 등이) 손님을 받다; …를 만들다; (간격을) 두다. 유지하다; 간직하여 두다. 보존하다; 찍다. 뜨다; 지배하다. 차지하다; 몰수하다; 짚다. 재다. 세다; 뒤집어쓰다. 어떤 결과를 초래하다; (보기 등을) 들다; (이부자리 등을) 깔다. 펴다; 끌어들이다; 주장하다; 수확하다; 비유하다; 〈「~·り…」의 꼴로 다른 動詞에 연결되어〉 ‘손수 …하다’의 뜻을 곁들여 어조(語調)를 고르거나 강조하거나 하는 데 씀. 〔참고〕 1. 및 7.에서 ‘집필·집무’의 경우는 「執る」, 2.에서 ‘식사·영양’의 경우는 「摂る」, 3.에서 ‘포획’의 경우는 「捕る·獲る」, 6.은 「盗る」, 12. 및 38.에서 ‘채용·채취·채광’ 등의 경우 「採る」, 31.의 ‘사진’의 경우는 「撮る」로 씀. 14.는 흔히, かな로 씀. 【가능동사】 と·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こと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 こうなったからには、 せめて子供達を大事に育てておくれ」
こう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からには
《接続助詞 「から」+助詞 「に」 및 「は」》 …바에는. …한 이상은
せめて
공격자. 공격측. 공격군; 공격 방법[수단]. 〔동의어〕攻め口; 책망하는 사람. 책하는 쪽; 《文語動詞 「責む」의 連用形에 助詞 「て」가 붙어서 된 말》; 최소한의 소망을 나타냄. 최소한. 하다못해. 적으나마. 적어도. 그나마; 《고어》 몹시. 매우
子供
(어버이에 대하여) 자식. 아이. 〔반의어〕 親; (어른에 대하여) 아이. 〔반의어〕 大人; 언어·행동이 아직 유치함. 어린애; (짐승 등의) 새끼; 고용하고 있는 기녀·창녀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育て
양육(養育). 기름. 키움
それきり二度と現れなかったと言います。
それ
《中称의 指示代名詞》; 자기에게서 좀 떨어진 곳의 물건을 가리키는 말. 그것; 현재 화제에 오른 사물을 가리키는 말. 그 일; 자기와 상대편이 공통된 화제로 삼고 있는 어느 때를 가리키는 말. 그때; 앞에서 한 말을 되풀이할 때 대신 쓰는 말. 그것. 〔참고〕 번역조의 문장에 많음; 『문어』 〈接続詞적으로 씀〉 글의 첫머리에 써서 어조(語調)를 고르는 말. 무릇. 대저. 〔참고〕 흔히, 한문 훈독체의 문장에 쓰였음; 《代名詞 「それ」와 같은 어원(語源)》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할 때 내는 말. 저런. 야. 자. 이것 봐
現れ
나타남. 나타난 것. 발로(發露). 현상; 결과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 なんで話してしまったんだろう」 巳之吉はいつまでも後悔し続けるのでした。
いつ
5. 다섯. 〔동의어〕ご·いつつ;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언제. 어느 때; 평소. 여느 때; 『문어』; 부정을 씻었음. 신성함; 일. 하나. 〔동의어〕いち; 둘 중 하나. 한쪽. 〔동의어〕一方; 같음. 동일; 〈「~に」의 꼴로 副詞적으로 씀〉 오로지. 전적으로; (세속을 떠나) 편히 지냄
まで
《名詞, 活用語의 連体形, 일부 助詞 등에 붙음》; 동작이나 사항이 미치는 시간적·공간적인 한도·범위·도달점을 나타냄. 까지; 동작이나 사항이 미치는 정도를 나타냄. 까지; 극단적인 예를 들어, 다른 경우를 짐작하게 하는 뜻을 나타냄. …에게까지[조차]도. 〔동의어〕さえ(も); 〈「~も」의 꼴로〉 …할 필요는 없다. …할 것까지는 없다; 〈주로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의 표현을 동반한 「~も」의 꼴로〉 …하더라도. …할지언정; 〈「~だ」 「~のことだ」의 꼴로〉 동작이나 사항이 그 이상 미치지 않음을 나타냄. 만. 뿐. 따름. 〔동의어〕だけ; 終止形에 이어져 강조·감동·확인의 뜻을 나타냄
後悔
『문어』 공회; 공식 회의; 공개적인 모임; 국제 회의; 『법률』 공해. 〔반의어〕 領海; 공개; 《「きょうかい」라고도 함》; 성교(性交); 경개; 『법률』 채무 변경 계약; 『문어』 후회. 뒷날 다시 만남; 후회. 뉘우침; 항해; 『지리·지학·지명』 화산이 폭발하여 분화된 화산재가 땅에 내리는 일. 또는 그 재; 교활. 〔동의어〕狡猾. {문어·ナリ 활용 }
し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いやあ、 切ない話じゃったね。
切ない
(몸이) 괴롭다. (숨이 막힐 것 같아) 힘들다; (슬픔·외로움 등으로) 가슴이 옥죄는 듯하다. 안타깝다. 애절하다. 애달프다. せつ-な·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せつ-な·げ 【형용동사】 せつ-な·さ 【명사】 【문어형】 せつな·し {ク 활용}
話
소곤대는 이야기. 밀담
ね
자; 십이지(十二支)의 첫째. 쥐; 자시(子時). 영시(零時). 또는 오후 11시부터 2시간 동안; 옛날의 방위명(方位名). 북쪽; 음. 소리. ((흔히, 아름다운 소리·목소리를 말함)); 『식물·식물학』 뿌리; (서 있거나 돋아난 것의) 밑동. 밑둥치; 부스럼 속의 단단한 망울. 근; (낚시에서) 바다 속의 암초; 화살촉. 〔동의어〕鏃; 근원. 기원; 본성. 천성; 마음속에 맺힌 응어리; 값. 가격. 〔동의어〕値段; 값어치. 가치. 〔동의어〕ねうち; 잠. 수면; 『문어』 산꼭대기. 산봉우리. 산정; 다정하게 말을 걸거나, 다짐하거나 할 때 하는 말. 네. 응; 《문말(文末)의 여러 가지 말에 붙음》; 가벼운 영탄·감동의 뜻을 나타냄. …구나. …군요. 〔참고〕 대개의 경우 「ねえ」의 꼴을 씀; 가벼운 주장을 나타냄. …데요; 다짐하는 뜻을 나타냄. …겠지(요); 상대의 동의나 대답을 바라는 뜻을 나타냄. …이지(요); 《문중(文中)에 쓰이어》 어세(語勢)를 돋우거나 어조를 고르거나 하는 뜻을 나타냄. …말이야. …말이거든; 『문어』 《완료의 助動詞 「ぬ」의 命令形》 …해 버려라
しかも、 まさか二人が同一人物だったとは。
しかも
그 위에. 게다가. 그러고도; 그런데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まさか
당장. 눈앞. 목전(目前); 무슨 일이 눈앞에 닥쳐 있음. 긴급; 《보통, 否定語나 反語를 동반하여》 예기하지 않은 가정(假定)을 나타냄. 설마. 아무리 그렇더라도. 〔동의어〕まさかに·よもや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同
동. 같음; 동. (앞에 말한) 그; 동; 몸통. 동체. 〔동의어〕胴体; 몸의 중앙부. 복부(腹部); 물건의 중앙 부분. 동체; 북·三味線 등에서, 소리가 잘 울리도록 하기 위한, 속이 텅 빈 부분; (재래식 목조선의) 복부. 중배; 갑옷 또는 검도 방호구(防護具)의 가슴·배를 가리는 부분; (검도에서) 허리를 타격하는 수. 허리치기; 배짱; 동. 움직임. 〔반의어〕 静; 옛날, 영빈(迎賓)·예식 등을 위한 건물; 신불을 모신 건물; 집회(集會)를 위한 건물; 당. 옥호(屋號)·아호(雅號)·건물의 이름에 붙이는 말; 「北海道」의 준말; 동;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구리. 원소 기호 cu. 〔동의어〕あか·あかがね; 「銅メダル」의 준말; 당; 기를 단 창. 당극(幢戟).〔동의어〕はたほこ; 장막. 휘장; 어떻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함을 나타냄. 아무리(…해도); 〈「どうですか」의 준말〉 어때. 어때요; 마소를 멈추게 할 때 지르는, 달래는 소리. 우어. 워
一人物
한 인물. 한 사람.; 어엿한 인물. 일가견을 이룬 인물.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いや、 そんなのすぐ分かったし、 それに最後は分かれると思ってたよ。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すぐ
《「~と」 「~に」의 꼴로도 씀》; 곧. 즉시. 금방. 쉬이. 〔동의어〕直に; 바로. 아주 가까이; 곧음. 똑바름. ((예스러운 말)); 순진함. 정직함. {문어·ナリ 활용 }
し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それ
《中称의 指示代名詞》; 자기에게서 좀 떨어진 곳의 물건을 가리키는 말. 그것; 현재 화제에 오른 사물을 가리키는 말. 그 일; 자기와 상대편이 공통된 화제로 삼고 있는 어느 때를 가리키는 말. 그때; 앞에서 한 말을 되풀이할 때 대신 쓰는 말. 그것. 〔참고〕 번역조의 문장에 많음; 『문어』 〈接続詞적으로 씀〉 글의 첫머리에 써서 어조(語調)를 고르는 말. 무릇. 대저. 〔참고〕 흔히, 한문 훈독체의 문장에 쓰였음; 《代名詞 「それ」와 같은 어원(語源)》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할 때 내는 말. 저런. 야. 자. 이것 봐
最後
최후. 마지막. 맨 끝. 맨 뒤. 〔반의어〕 最初; 〈「…したら~」 「…たが~」의 꼴로〉 …하면 끝장. 일단 …하기만 하면 그만; 임종. (생의) 최후
分かれる
갈리다. 나누이다; 분리되다. 분열되다. 갈라지다; 구별되다. 【문어형】 わか·る {하2단 활용}; 헤어지다. 이별하다. 【문어형】 わか·る {하2단 활용}
と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えっ、 どうして分かったんですか。
どうして
어떻게. 어떠한 방법으로; 왜. 어째서. 〔동의어〕なぜ; (반어적으로) 웬걸. 천만에. 그러기는커녕. 오히려; 거참. 어허 참. 〔참고〕 < 2> 는 두 번 되풀이하여 쓸 때도 있음
そりゃあ、 君、 相手が雪だけに、 振られ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相手
상대; 무엇을 함께하는 사람. 〔동의어〕仲間; 경쟁자; 상대가 되는 사람. 짝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だけ
《名詞 「丈」의 변한말. 体言·活用語의 連体形 및 일부 格助詞에 붙음》; 한정·한도를 나타냄. …만. …뿐; 정도를 나타냄. …만큼. …까지; 한정된 분량을 나타냄. …만큼만. …씩. …만큼; 〈「~の…はある」 「~あって」 「~に」의 꼴로〉 어떤 상태에 상응하는 뜻을 나타냄. …답게. …한 만큼; 한쪽이 변하면 다른 쪽도 변함을 나타냄. …할수록. …함에 따라; 〈「あれ」 「これ」 「それ」 「どれ」에 붙어서〉 강조의 뜻을 나타냄. …토록. …만큼이나
コールド!
世界初!チキンナゲットが宇宙へ 88万個分の上空に(2020年10月15日)
Stand by U
Stand by U明治神宮創建100年 両陛下に続き上皇ご夫妻も参拝(2020年10月28日)
GoToイート予約558万人分「ややペース上がってる」(2020年10月20日)
新幹線内に乗客一時1400人取り残される 能登空港の滑走路に長さ10m超の「ひび」(2024年1月2日)
Lemon
中学生が集団避難 “祖父母が心配”残る生徒も(2024年1月18日)
新型コロナ 変異株「ニューデルタプラス」増加傾向(2021年10月22日)
日米韓「地域の安定と平和に不可欠」連携強化で一致(2022年2月13日)
I love you
I love you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