むかし、ある 国に シンデレラと いう なまえの うつくしい むすめが いました。
むかし、ある 国に シンデレラと いう なまえの うつくしい むすめが いました。
ははおやは、むすめが おさないころ びょうきで しんで しまい、
ちちおやと 二人で くらして いました。
ちちおやは、ほしいものは、 なんでも かってやり、
おいしいものを たべさせ、
むすめは、なにふじゆうなく、 くらして いました。
・・しかし、そんな くらしも ながく、 つづきませんでした。
ちちおやが、あたらしい おかあさんと けっこん する ことに なったからです。
この おかあさんは、シンデレラより 年上の 二人の むすめを つれて きました。
とても こころの みにくい いじわるな ねえさんたちでした。
とつぜん、ふこうが、おとずれました。
ちちおやが、かりの とちゅうで、 馬から おちて しんで しまったのです。
おとうさま! わたくし、どうしたら いいの?
シンデレラは、 おはかの まえで なきました。
ははおやは、じぶんの むすめには、 あたらしい ごうかな ふくを きせ、
シンデレラには、 ボロボロの よごれた ふくを きせました。
シンデレラ! パンと スープと フルーツを もって きて ちょうだい!
あたたかい ミルクもね!
はい! おかあさま! ただいま おもちします・・・
シンデレラ! これを ぜんぶ せんたくして ちょうだい!
はい、おかあさま。 ただいま とりに まいります。
シンデレラは、まるで、メイドのように、 一日中、こきつかわれました。
さぁ、手を やすめないで! そうじして、ニワトリの えさを やって!
にわの おちばも ぜんぶ ひろいなさい!
シンデレラの へやは、 ちちおやが しんだ つぎの日から、
やねうらの きたない そうこに かえられ、
わらの ベッドと 手かがみだけしか ありませんでした。
シンデレラの 手は、あかぎれだらけで、 まいにち ほこりまみれの まま ねむりました。
シンデレラ! ドレスの すそを つくろいなさい!
シーツも ネグリジェも せんたくしてよ!
いじわるな 二人の ねえさんたちは、 シンデレラの うつくしさを ねたんで
シンデレラに たいへんな しごと ばかり させました。
かみさま、たすけて ください!!
ある日、この 国の 王さまの おしろで、 ぶとうかいが ひらかれることに なりました。
それは、おうじさまの およめさんを きめる たいせつな パーティでした。
シンデレラの やしきにも おしろから しょうたいじょうが とどきました。
国中の 16才くらいの むすめたちは、
みな、パーティに でる ようにと かいて あるわ!
ははおやが しょうたいじょうを よみあげると、しまいは おおはしゃぎ、
さぁ、どの ドレスを きて いこうかしら! わくわくするわねぇ〜〜!!
と、たくさんの ごうかな ドレスの 中から えらび はじめました。
あの・・・おかあさま・・・・ わたくしも、パーティに いきたいわ。
なんだい?! シンデレラ!
おまえは、おるすばんだよ。
にわの しばを かるのよ! しごとは、たくさん あるからね!
おかあさま、 なんでも、いう とおりに しますから。
シンデレラは、どうしても いきたくて しょうが ありません。
なんど、いったら わかるんだい! しつこいね!
ははおやは、シンデレラを パーティには、 いかせない つもりです。
ぶとうかいの 日が やって きました。
それじゃ、シンデレラ! るすばんを たのんだよ!
はい、おかあさま、おねえさま・・・
ははおやは、シンデレラが かわいくて うつくしいので・・・
王子さまに みそめられる ことは、 わかっていました。
そのため、 わざと るすばんを させたのです。
シンデレラは、 いまの ははおやの クローゼットの 中に、
ほんとうの ははおやが いきて いた ころに きていた かたみの ドレスを みつけました。
この すてきな ドレスを パーティに きて いきましょう!!
シンデレラは、 いそいで きがえましたが、
すべて 大きい サイズに なおして ありました。
まぁ! なんてこと!
シンデレラが パーティに でられない ように するため、
あねたちの クローゼットには かぎが かかって いました。
もう、しんで しまいたい!
天国の おとうさま、 おかあさまの ところへ いきたい・・・
すると そこへ 森の ようせい が あらわれました。
どうしたのですか?
ようせいが、たずねると、 シンデレラは わけを はなしました。
ようせいは シンデレラの ことを かわいそうに おもいました。
わたしが、まほうで たすけましょう!
でも、かならず よなかの 12じまでに もどるのですよ。
まほうが とけますから・・・。それッ!!
ようせいが、まほうの ステッキを ふると、
ルビーや エメラルドが ちりばめられた ごうかな ドレスが でて きました。
まぁ、なんて すてきな ドレスでしょう!
小さな 足には、 ひかり かがやく 金の くつ!
・・・・どうも、ありがとう・・・ ようせいさん・・・・
さぁ、これに のって、 たのしんで おいで!
おしろでは、ちょうど、 パーティーが はじまった ところです。
シンデレラは、だれよりも うつくしく ひかり かがやいて いました。
王子さまは、シンデレラを みて、 こころが ときめきました。
おじょうさん。 わたしと おどって いただけますか?
はい、よろこんで・・・・
王子さまとシンデレラは、 なかよく いつまでも おどりつづけました。
二人は じかんを わすれて おどり つづけたので、
あっと いうまに じかんが すぎて しまいました
王子さま、 もう、かえらなければ、なりません。
シンデレラは、名前も つけずに、 おしろの かいだんを かけおりて いきました。
いそがないと、 まほうが とけて しまうからです。
王子さまが、おいかけて くると、
かいだんに 金の くつの かたほうだけが のこされて いました。
この 金の くつを はいて いた むすめが わたしの はなよめと なる!
この くつを はいて いた むすめを さがせ!
つぎの日、おしろから つかいの ものが やって きました。
王さまの めいれいで しろから まいった。
この 金の くつの もちぬしを さがして いる。
どうぞ おはいり くださいませ
まぁ、これは、わたしの くつで ございます。
二人の ねえさんたちは じしんありげに くつを ためして みました。
王子さまの およめさんに なる ためです
ところが 二人の あねたちは、 足が おおきすぎて、
くつは はいりませんでした。
むりに はこうと したので 足から ちが ながれて しまいました。
そこで、こんどは シンデレラが ためして みました。
わたくしも、ためして みます。
これは わたくしの くつですから・・・
すると、どうでしょう!
金の くつは シンデレラの 足に ぴったりでした。
シンデレラは、もって いた 金の くつの もう かたほうを はきました。
町中の かねが なり、シンデレラは、 おしろに まねかれました。
おしろの おおひろまで 二人の けっこんしきが はじまりました。
ようせいの しゅくふくで かねが なります。
おうさまも、おきさきさまも、 おおよろこびです。
ははおやと 二人の あねたちも いままでの ことを ふかく はんせいして
シンデレラの けっこんを こころから しゅくふくしました。
シンデレラの うつくしさは、 国中に しれわたり
だれもが、 シンデレラの けっこんを しゅくふくし、
えいえんの しあわせを いのりました。
むかし、ある 国に シンデレラと いう なまえの うつくしい むすめが いました。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ははおやは、むすめが おさないころ びょうきで しんで しまい、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ちちおやと 二人で くらして いました。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ちちおやは、ほしいものは、 なんでも かってやり、
ほ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おいしいものを たべさせ、
おいしい
《文語의 形容詞 「いし(맛있다)」에 接頭語 「お」가 붙은 꼴》 (음식이) 맛있다. 맛좋다. 〔동의어〕うまい. 〔반의어〕 まずい. 〔참고〕 「うまい」보다 점잖은 느낌이 있어 여성들이 즐겨 씀. おい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いし·さ 【명사】
させる
『문어』 《흔히, 否定語가 따르며》 이렇다 할. 별다른. 〔동의어〕さしたる; 《上一段·下一段 및 カ変 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사역의 뜻을 나타냄. …하게 하다; 어떤 상태·작용을 일으키게 함을 나타냄. …되게 하다; 어떤 동작에 대한 불간섭·허용·방임을 나타냄. …하게 내버려 두다; 〈다른 높임말과 함께 써서〉 동작하는 사람에 대한 존경을 나타냄. …하시다. 【문어형】 さす; 《サ変動詞의 未然形 「さ」+使役의 助動詞 「せる」》; 시키다; 하게 내버려 두다. 〔참고〕 본디, サ変動詞의 未然形 「せ」에 助動詞 「さす」가 붙은 「せさす」가 줄어서 「さす」의 꼴로 되었다가 「させる」로 口語화한 것임
むすめは、なにふじゆうなく、 くらして いました。
・・しかし、そんな くらしも ながく、 つづきませんでした。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しかし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동의어〕だが·そうではあるが·けれども
ちちおやが、あたらしい おかあさんと けっこん する ことに なったからです。
この おかあさんは、シンデレラより 年上の 二人の むすめを つれて きました。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年上
손위. 연상. 연장(年長). 〔반의어〕年下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とても こころの みにくい いじわるな ねえさんたちでした。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とつぜん、ふこうが、おとずれました。
ちちおやが、かりの とちゅうで、 馬から おちて しんで しまったのです。
馬
오; 십이지(十二支)의 일곱째; 방위로는 남쪽. 오방(午方); 《속어》 말; 『동물·동물학』 말; 접사다리. 〔동의어〕脚立; (일본 장기에서) 장기짝의 「桂馬」 「竜馬」의 약칭; 〈「付け馬」의 준말〉 요릿집·술집 같은 데서 음식값·술값을 받아내기 위해 손에게 딸려 보내는 사람. 〔동의어〕つけうま·つきうま; 목마(木馬)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とちる
《속어》; 무대 등에서, 배우가 대사나 연기를 틀리게 하다; 실수를 하다
おとうさま! わたくし、どうしたら いいの?
シンデレラは、 おはかの まえで なきました。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ははおやは、じぶんの むすめには、 あたらしい ごうかな ふくを きせ、
シンデレラには、 ボロボロの よごれた ふくを きせました。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シンデレラ! パンと スープと フルーツを もって きて ちょうだい!
スープ
수프
ちょうだい
『문어』 장대(함); (성장하여) 어른이 됨. 나이가 듦. ちょう-だ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머리 위에 받들어 든다는 뜻에서) ‘받음’‘얻음’의 겸사말; ‘받아서 먹다[마시다]’의 겸사말; 〈문말(文末)에서 動詞나 補助動詞의 命令形처럼 쓰이어〉 상대에게 어떤 것을 달라거나 해 주도록 다정하게 부탁하는 말. ((흔히, 여성과 어린이가 씀)) …(해) 주세요. (해) 주시오. 〔동의어〕下さい
フルーツ
프루트. 과일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あたたかい ミルクもね!
ミルク
밀크; 「コンデンスミルク」의 준말
はい! おかあさま! ただいま おもちします・・・
シンデレラ! これを ぜんぶ せんたくして ちょうだい!
ちょうだい
『문어』 장대(함); (성장하여) 어른이 됨. 나이가 듦. ちょう-だ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머리 위에 받들어 든다는 뜻에서) ‘받음’‘얻음’의 겸사말; ‘받아서 먹다[마시다]’의 겸사말; 〈문말(文末)에서 動詞나 補助動詞의 命令形처럼 쓰이어〉 상대에게 어떤 것을 달라거나 해 주도록 다정하게 부탁하는 말. ((흔히, 여성과 어린이가 씀)) …(해) 주세요. (해) 주시오. 〔동의어〕下さい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はい、おかあさま。 ただいま とりに まいります。
シンデレラは、まるで、メイドのように、 一日中、こきつかわれ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まるで
〈否定語가 따름〉 전혀. 전연. 〔동의어〕全く·全然; 마치. 꼭. 흡사. 〔동의어〕ちょうど·さながら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さぁ、手を やすめないで! そうじして、ニワトリの えさを やって!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にわの おちばも ぜんぶ ひろいなさい!
なさる
《「なす」 「する」의 높임말》 하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される」의 문어
シンデレラの へやは、 ちちおやが しんだ つぎの日から、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やねうらの きたない そうこに かえられ、
わらの ベッドと 手かがみだけしか ありませんでした。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ベッド
베드; 침대; 『농학·농림·농업』 화단(花壇). 묘상(苗床); 선반(旋盤)의 주축대(主軸臺)·왕복대(往復臺) 등을 싣고 이동시키는 받침대
シンデレラの 手は、あかぎれだらけで、 まいにち ほこりまみれの まま ねむりました。
だらけ
《名詞에 붙어》 …투성이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シンデレラ! ドレスの すそを つくろいなさい!
なさる
《「なす」 「する」의 높임말》 하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される」의 문어
ドレス
드레스. 여성복. 여자 예복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シーツも ネグリジェも せんたくしてよ!
シーツ
시트. 〔동의어〕敷布
ネグリジェ
네글리제. 원피스 모양의 헐렁한 부인용 잠옷
いじわるな 二人の ねえさんたちは、 シンデレラの うつくしさを ねたんで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シンデレラに たいへんな しごと ばかり させました。
たいへん
『문어』 큰일. 큰 변고. 대사건 〔동의어〕一大事; 대단함. 굉장함. 엄청남. 중대함; 힘듦. 고생스러움. たい-へん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매우. 몹시. 무척. 대단히. 굉장히; 『수학』 대변. 맞변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かみさま、たすけて ください!!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ある日、この 国の 王さまの おしろで、 ぶとうかいが ひらかれることに なり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それは、おうじさまの およめさんを きめる たいせつな パーティでした。
シンデレラの やしきにも おしろから しょうたいじょうが とどきました。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国中の 16才くらいの むすめたちは、
くらい
《「座居」의 뜻》; 국왕의 지위; 지위. 계급; 예술 작품 등의 품위. 품격. 관록; (사물의) 등급. 우열(優劣); 『수학』 (십진법의) 자릿수; 《名詞 「位」에서 변한말. 「ぐらい」로도 씀》 만큼. 정도. 가량. 쯤; 어떤 사물을 예시하고 대강 그 정도임을 나타냄; 정도가 낮은 한도를 나타냄; 비교의 기준을 나타냄;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대강의 수량을 나타냄; 어둡다. 〔반의어〕 あかるい; 밝지 않다. 캄캄하다. 침침하다; (색깔 등이) 칙칙하다; (사람됨이나 행실 등이) 떳떳하지 못하다; (전망 등이) 암담하다. 희망이 없다; (마음이나 표정 등이) 우울하다. 침울하다. 음침하다; (세상 물정 등에) 밝지 못하다. 캄캄하다. くら·さ 【명사】 【문어형】 くら·し {ク 활용}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才
『문어』 재능. 재기(才氣); 모난 귀퉁이. 모서리; 모퉁이; 구석. 〔동의어〕隅; 성질이 모남; 문. 〔동의어〕もん; 문간. 집 앞. 문 앞; 집안. 가족; 까닭. 이유. 점(點); 《東北(동북)방언》 「にしん」의 딴이름; 『문어』 하토. 하계(下界). 대지. 〔반의어〕上天; 과도(함). 정도가 지나침. 〔반의어〕 適度. {문어·ナリ 활용 }
みな、パーティに でる ようにと かいて あるわ!
ははおやが しょうたいじょうを よみあげると、しまいは おおはしゃぎ、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はしゃぐ
들떠서[신이 나서] 떠들다; 마르다. 건조하다. 【가능동사】 はしゃ·げ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よみあげる
소리 내어 읽다. 낭독하다; 다 읽다. 읽어 내다. 독파(讀破)하다. 【문어형】 よみあ·ぐ {하2단 활용}
さぁ、どの ドレスを きて いこうかしら! わくわくするわねぇ〜〜!!
ドレス
드레스. 여성복. 여자 예복
わくわく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기쁨·기대·걱정 등으로 마음이 설레는 모양. 두근두근. 울렁울렁
かしら
머리. 두부. 〔동의어〕あたま; 두발. 머리털; 우두머리. 두목. 수령; 직공·장인(匠人)의 우두머리; 맨 위나 첫째에 있음. 또는 그런 것; 인형의 머리; 能楽에서 분장에 쓰이는 가발. ((뒷머리는 바닥에 닿을 만큼 긺)); 《「かしらぬ」가 변한 「かしらん」의 「ん」이 준 형태》; 의문의 뜻을 나타냄. …일지[인지] 몰라. …을까. …일까; 〈否定의 助動詞 「ない」 「ん(ぬ)」의 뒤에 붙어〉 희망하거나 부탁하는 뜻을 나타냄. …지 않으려나. 〔참고〕 1.2.모두 주로 여성이 씀; 《「誰」 「何·」 「どこ」 등에 붙음》 부정(不定)의 것을 이르는 뜻을 나타냄. …ㄴ가. …인가
と、たくさんの ごうかな ドレスの 中から えらび はじめました。
ドレス
드레스. 여성복. 여자 예복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あの・・・おかあさま・・・・ わたくしも、パーティに いきたいわ。
なんだい?! シンデレラ!
おまえは、おるすばんだよ。
にわの しばを かるのよ! しごとは、たくさん あるからね!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おかあさま、 なんでも、いう とおりに しますから。
シンデレラは、どうしても いきたくて しょうが ありません。
どうしても
어떤 일이 있어도. 반드시. 꼭. 〔동의어〕是非とも; 〈뒤에 否定의 말이 따름〉 아무리 해도; 〈단정적으로 강조하여〉 아무래도. 뭐니뭐니해도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なんど、いったら わかるんだい! しつこいね!
しつこい
(맛·빛깔·냄새 등이 너무 짙어) 개운하지[산뜻하지] 않다. 칙칙하다; 집요하다. 치근치근하다. 끈덕지다. 〔동의어〕しつっこい. しつこ·さ 【명사】 【문어형】 しつこ·し {ク 활용}
ははおやは、シンデレラを パーティには、 いかせない つもりです。
つもり
(미리 품고 있는) 생각. 작정. 의도;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나) 그렇게 된 것으로 가정하는 마음. …한 셈; 속셈. 예상. 〔동의어〕見積もり; 〈「お~」의 꼴로〉 술 좌석에서의 마지막 잔. 〔참고〕 1.~3.은 「心算」으로도 씀. 또 1.2.는 최근 대개 かな로 씀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ぶとうかいの 日が やって き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それじゃ、シンデレラ! るすばんを たのんだよ!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はい、おかあさま、おねえさま・・・
ははおやは、シンデレラが かわいくて うつくしいので・・・
かわいい
《「かわゆい」의 변한말》; 귀엽다. 사랑스럽다; 예쁘장스럽다. 작아서 예쁘다. かわい·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かわい·げ 【형용동사】 かわい·さ 【명사】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王子さまに みそめられる ことは、 わかっていまし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そのため、 わざと るすばんを させたのです。
わざと
일부러. 고의로. 짐짓; 특히. 특별히; 조금만. 명색뿐인
シンデレラは、 いまの ははおやの クローゼットの 中に、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ほんとうの ははおやが いきて いた ころに きていた かたみの ドレスを みつけました。
ドレス
드레스. 여성복. 여자 예복
ほんとう
사실. 진실. 정말임; 올바름. 참됨. 진짜임; 제대로임. 정상임; 〈「~に」의 꼴로〉 정말로. 굉장히. {문어·ナリ 활용 }; 본도; 『문어』 이 섬; 『문어』 분등. 맹렬한 기세로 치솟음
この すてきな ドレスを パーティに きて いきましょう!!
ドレス
드레스. 여성복. 여자 예복
すてき
매우 근사함. 매우 훌륭함. 아주 멋짐. ((주로 여성이 씀)); 굉장함. 대단함. 〔참고〕 1.2. 모두 「素的」 「素適」 등으로도 씀. {문어·ナリ 활용 }
シンデレラは、 いそいで きがえましたが、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すべて 大きい サイズに なおして ありました。
大きい
크다. 〔반의어〕 小さい; (용적·면적·형체가) 크다; (수량·음량이) 많다; (규모가) 크다; (정도가) 심하다; 크다. 컸다. 또는 연장(年長)이다; 허세부리다. 과장하다. 잘난 체하다; 중대[중요]하다. 값어치가 있다; (사람의) 마음이 넓다. 포용력이 있다. おおき·さ【명사】
サイズ
사이즈. 크기. 치수. 〔동의어〕寸法
まぁ! なんてこと!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シンデレラが パーティに でられない ように するため、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あねたちの クローゼットには かぎが かかって いました。
かかる
『문어』 이러한. 이와 같은; 관계되다; (어떤 사람의 행위에) 의하다. 힘입다; 『언어학』 (뒤의 어구·문절을) 수식하다. 〔반의어〕 うける. 【가능동사】 かか·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걸리다. 매달리다. 〔참고〕 「懸る」로도 씀; 회부되다. 상정되다; 얹히다. 걸쳐지다; 〈「手に~」 「人手に~」의 꼴로〉살해되다; 걸려들다. 빠지다; 내걸리다; 찔리다; 마음에 걸리다; 소요되다; 의존하다. 의탁하다; 치료[진찰] 받다; 끼치다. (폐 등을) 입다. 받다; 튀다; 〈「かさに~」의 꼴로〉 위압적인 태도로 나오다; 끼다; (말 등이) 걸려오다; 덤벼들다. 공격하다; (스위치 등의 작용이) 가해지다. 작동[가동]하다; 가설되다. (걸치어) 놓이다. 걸리다. 〔참고〕 흔히 「架かる」로 씀; (연극·영화 등이) 상연[상영]하다; 잠기다. 채워지다; 저울에 달리다. 무게가 나가다; 우승이나 현상 등이 걸리다. 좌우되다. 〔참고〕 흔히, 「懸る」로 씀; 교미하다. 붙다; (끈 등이) 동여지다. 묶이다; 이르다. 접어들다; 메다; 부과되다. 매겨지다; 기대다; …하기 시작하다. 착수하다; 〈흔히,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처음부터 그런 생각에서, 또는 그렇게 굳게 믿고 일에 대처하는 뜻을 나타냄; 임시로 마련하다; 정박(碇泊)하다. 〔참고〕 「懸る」로도 씀; 〈「お目に~」의 꼴로〉 만나뵙다. 【가능동사】 かか·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마침 …하다; 바야흐로 …하게 되다. …하려 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병에) 걸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もう、しんで しまいたい!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天国の おとうさま、 おかあさまの ところへ いきたい・・・
天国
천국. 〔반의어〕 地獄; 『기독교』 천당; (비유적으로) 이상향. 낙원; 전옥. 「刑務所長」의 옛이름
すると そこへ 森の ようせい が あらわれました。
すると
《動詞 「する」+接続詞 「と」》; 그랬더니. 그러자; 그러면. 그렇다면
森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どうしたのですか?
ようせいが、たずねると、 シンデレラは わけを はなしました。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ようせいは シンデレラの ことを かわいそうに おもいました。
かわいそう
가엾음. 불쌍함. 〔참고〕 「可哀相」 「可哀想」는 차자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わたしが、まほうで たすけましょう!
でも、かならず よなかの 12じまでに もどるのですよ。
まほうが とけますから・・・。それッ!!
ようせいが、まほうの ステッキを ふると、
ステッキ
스틱. 지팡이
ルビーや エメラルドが ちりばめられた ごうかな ドレスが でて きました。
ドレス
드레스. 여성복. 여자 예복
ルビー
『광물』 루비. 홍옥. 홍보석. 〔동의어〕紅玉
エメラルド
『광물』 에메랄드. 〔동의어〕エメロード; 에메랄드 빛깔. 선명한 연둣빛
まぁ、なんて すてきな ドレスでしょう!
ドレス
드레스. 여성복. 여자 예복
すてき
매우 근사함. 매우 훌륭함. 아주 멋짐. ((주로 여성이 씀)); 굉장함. 대단함. 〔참고〕 1.2. 모두 「素的」 「素適」 등으로도 씀. {문어·ナリ 활용 }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小さな 足には、 ひかり かがやく 金の くつ!
ひかり
『물리』 (태양·별·달·전등 등의) 빛. 불빛.; 희망. 광명.; 광. 윤.; (어버이·군주 등의) 위광(威光). 위세.; 영예. 영광.; ⇒ ひかりもの3..
金
‘쇠붙이의’의 뜻; ‘철의’의 뜻; ‘돈의’ ‘금전의’의 뜻; 《고어》 대패. 〔동의어〕かんな; 『언어학』 한자의 일부를 빌려 그 음훈(音訓)을 이용해서 만들어낸 일본의 표음 문자. 「片仮名」와 「平仮名」의 총칭. 옛날에는 「万葉仮名」가 있었음. 〔반의어〕 真名. 〔참고〕 「仮名」는 딴말임; 『문어』 《係助詞 「か」에 영탄(詠嘆)의 終助詞 「な」가 붙어 한 말이 된 것. 体言이나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감동·영탄의 뜻을 나타냄. …어라. …로다. …구나. …도다. 〔참고〕 ㉠구어에서는 「惜しい」 「悲しい」 등 유감의 뜻을 나타내는 몇몇 형용사에 붙어, 관용구적 副詞句를 만드는 데 쓰일 뿐임. ㉡「哉」는 차자; 《자문(自問)을 나타내는 助詞 「か」에 영탄(詠嘆)을 나타내는 助詞 「な」가 붙은 꼴》; 가벼운 영탄을 담아 의문을 나타냄. …가?; 자기 자신에게 묻는 기분을 나타냄. …까?; 〈「…ない~(あ)」의 꼴로〉 소망을 나타냄. …려나
足
『식물·식물학』 갈대. 〔동의어〕よし; 『문어』 나쁘다. 좋지 않다. 〔동의어〕悪い. 〔참고〕 현재는 「よし」와 함께 대구적(對句的)으로 쓰이거나, 하나의 단어화된 파생어나 복합어 안에서 쓰임; 다리. 〔동의어〕下肢. 〔반의어〕手. 〔참고〕 사람에 대해서는 「脚」도 쓰나, 「足」로 많이 씀. 흔히, 포유 동물에 대해서는 「肢」, 곤충은 「脚」로 쓰기도 함; 발. 〔반의어〕手; 발길. 발걸음. 걸음걸이; 〈「その~で」의 꼴로〉 내친걸음에. 그 길로; 방문(訪問). 발걸음; (비·구름·바람 등의) 움직여 가는 상태.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에 붙어 받치는 부분. 다리. 발. 굽.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 밑부분; 교통 기관. 탈것; (범인 등의) 도주로. 발자취. 〔동의어〕足どり; (떡·반죽 등의) 찰기. 끈기. 〔동의어〕ねばり·こし; 한자(漢字)의 구성을 아래위로 가를 때의 아래쪽 부분.((「烈」의 「灬(불화발)」, 「盒」의 「皿(그릇명)」 등)); 〈앞에 「お」가 붙어〉 돈.((다리가 있는 듯 잘 돌아다니므로)) 〔동의어〕お金
小さな
작은. 〔반의어〕 大きな
・・・・どうも、ありがとう・・・ ようせいさん・・・・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どうも
〈뒤에 否定語가 따름〉 아무리 해도. 〔동의어〕どうしても; 어쩐지. 어딘지. 〔동의어〕なんだか·どことなく; 아무리 생각해도. 아무래도; 정말. 참말로. 대단히. ((감사·사과 등을 표시하는 인사말 앞에 써서 그 뜻을 강조함)) 〔참고〕 뒤따르는 인사말은 생략하기도 하며 「どうもどうも」라고 겹쳐 쓰기도 함
さぁ、これに のって、 たのしんで おいで!
おしろでは、ちょうど、 パーティーが はじまった ところです。
ちょうど
『문어』 궁시(弓矢). 활과 화살; 수량·크기·시각 등이 기준·목적에 합치되는 모양. 꼭. 정확히. 〔동의어〕きっちり·ぴったり·きっかり; 예상·기대·목적에 합치하는 모양. 마침. 알맞게. 꼭. 〔동의어〕折よく·具合よく·都合よく; 꼭 닮은 모양. 마치. 흡사. 꼭. 〔동의어〕まるで·さながら; 방금. 바로. 막.〔동의어〕まさに·たった今
パーティー
파티; 서양식 연회·회합; 단체. 정당; (등산 등의) 일행
シンデレラは、だれよりも うつくしく ひかり かがやいて いました。
ひかり
『물리』 (태양·별·달·전등 등의) 빛. 불빛.; 희망. 광명.; 광. 윤.; (어버이·군주 등의) 위광(威光). 위세.; 영예. 영광.; ⇒ ひかりもの3..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王子さまは、シンデレラを みて、 こころが ときめきまし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ときめく
(기쁨·기대 등으로) 가슴이 설레다. 가슴이 두근거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시류를 타고 위세를 떨치다. 한창 들날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おじょうさん。 わたしと おどって いただけますか?
いただける
《「頂く」의 可能形》; 얻을[받을] 수 있다; 〈「飲める」 「食える」 등의 겸사말〉 먹을[마실·들] 수 있다; 《속어》 〈흔히, 否定의 말이 따름〉 충분히 먹고 마실 만하다. 꽤 쓸 만하다. 제법 좋다
はい、よろこんで・・・・
王子さまとシンデレラは、 なかよく いつまでも おどりつづけました。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二人は じかんを わすれて おどり つづけたので、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あっと いうまに じかんが すぎて しまいました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王子さま、 もう、かえらなければ、なりません。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シンデレラは、名前も つけずに、 おしろの かいだんを かけおりて いきました。
かける
『문어』 (하늘 높이) 날다. 비상(飛翔)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분이) 깨져 떨어지다. 귀떨어지다. 흠지다; 부족하다. 모자라다. 없다; 이지러지다. 〔반의어〕 満ちる; (있어야 할 것이) 빠지다. 결여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높은 곳에) 걸다. 늘어뜨리다. 치다; (말을) 붙이다. 건네다; 얹다. 올려놓다; 가설하다. 세우다. 치다. 놓다; 걸터앉다. 〔동의어〕すわる; (단추·자물쇠 등을) 채우다. 잠그다; 〈「鼻に~」의 꼴로〉 자랑삼다. 뽐내다. 내세우다; 개의하다. 마음을 쓰다; 끼얹다. 뿌리다. 치다. 〔동의어〕振りかける; 덮다. 몸에 걸치다; 씌우다. 입히다. 〔동의어〕かぶせる; 감다. 두르다. 묶다; (다른 것에) 기대어 놓다. 걸쳐 놓다; 잡다. 사로잡다. 속이다; (희망 등을) 걸다. 빌다; (폐나 영향을) 끼치다; (돈·시간·수고 등을) 들이다. 〔동의어〕費やす; (보험에) 들다. 가입하다; 곱셈하다. 곱하다; 교배(交配)시키다; 높게 (달아) 올리다; (마음이나 정 등을) 주다; (작용 등을) 가(加)하다. 작용시키다. 동작을 취하다; 도구나 기계 등을 움직여 작동시키다; 에누리하다; 〈「輪を~」의 꼴로〉 ㉠정도가 한층 더하다. ㉡과장하다; 부과하다; 올리다. 상정하다; 〈「口に~」의 꼴로〉 말하다. 입에 올리다; 내걸어 보이다; (저울에) 달다; (체로) 치다; 보이다; 손을 쓰다. 처치하다; 잘 돌보다; 〈「目を~」의 꼴로〉 귀여워하다. 돌보다. 눈여겨[주의하여] 보다; 〈「火を~」의 꼴로〉 불지르다; 짓밟다; 〈수사법(修辭法)에서 어떤 말과 음이 같은 다른 말을 암시하여〉 한 말이 두 가지 뜻을 가지게 하다; (기계에) 넣다. 올리다; 과정을 거치다[받다]; 퍼붓다; 섞다; 〈「(…から)…に~·けて」의 꼴로〉 (…에서)…에 걸쳐; 〈「…に~·けては」의 꼴로〉 …으로 말하면. …에 관하여는. …에 있어서는; (상금 등을) 걸다; 뾰족한 것이나 구부러진 것 등으로 걸다; 〈「鎌を~」의 꼴로〉 속을 떠보다. 깐보다;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시작하다. 중도까지 …하다; 〈앞 動詞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거의 실현될 듯하다’의 뜻. 사실은 실현되지 않음〉 …ㄹ 뻔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말 타고 달리다; 달리다. 뛰어가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걸다. 내기하다. 지르다; (실패하면 잃을 각오로) 걸다. 내걸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つける
붙이다; 접촉시키다. 접합시키다. 대다. 〔동의어〕くっつける; 부착시키다. 달다; 바르다. 묻히다. 칠하다; 표를 하다. 자국을 남기다[내다]; (색이나 향기 등을) 첨가하다. 내다; 기입하다. 쓰다; 착용하다. 입다. 신다. 〔참고〕 의복·장신구 등의 경우에는 「着ける」로 씀; (連歌·俳諧에서) 앞의 구에 연결되는 구를 짓다; 딸리다; 곁들이다. 덧붙이다; 뒤쫓다. 미행하다; 주목하다. 조심하다; 한패로 만들다; 북돋우다. 첨가시키다; (불을) 붙이다. 켜다. 점화하다. 〔참고〕 「点ける」로도 씀; 명명(命名)하다; 취하다; 매기다; 어떤 조건을 달다; 마무르다. 결말짓다; 술을 알맞게 데우다; 그릇 등에 담다; 설치하다. 마련하다. 내다; 익히다. 어떤 성질이나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하다; (편지를) 보내다; 싣다; 할당하다. 배역하다; (가까이) 대다; 〈「…に~·け(て)」의 꼴로〉 …에 관련하여[관련시켜]; 판단하다. 짐작하다; 구분[구별]을 짓다. 차이를 내다; 버릇을 들이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하다. …해 버릇하다; 동작이 격렬함을 나타냄.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담그다; 잠그다. 적시다. 〔동의어〕浸す; (채소 등으로) 절임을 만들다. 〔참고〕 「漬ける」로 씀.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자리·지위 등에) 앉히다. 〔참고〕 즉위(卽位)의 경우는 「即ける」로 씀; 종사시키다; 지도를 받게 하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名前
이름; 명칭; 성명. 성과 이름; (성을 뺀) 이름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いそがないと、 まほうが とけて しまうからです。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王子さまが、おいかけて くると、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かいだんに 金の くつの かたほうだけが のこされて いました。
金
‘쇠붙이의’의 뜻; ‘철의’의 뜻; ‘돈의’ ‘금전의’의 뜻; 《고어》 대패. 〔동의어〕かんな; 『언어학』 한자의 일부를 빌려 그 음훈(音訓)을 이용해서 만들어낸 일본의 표음 문자. 「片仮名」와 「平仮名」의 총칭. 옛날에는 「万葉仮名」가 있었음. 〔반의어〕 真名. 〔참고〕 「仮名」는 딴말임; 『문어』 《係助詞 「か」에 영탄(詠嘆)의 終助詞 「な」가 붙어 한 말이 된 것. 体言이나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감동·영탄의 뜻을 나타냄. …어라. …로다. …구나. …도다. 〔참고〕 ㉠구어에서는 「惜しい」 「悲しい」 등 유감의 뜻을 나타내는 몇몇 형용사에 붙어, 관용구적 副詞句를 만드는 데 쓰일 뿐임. ㉡「哉」는 차자; 《자문(自問)을 나타내는 助詞 「か」에 영탄(詠嘆)을 나타내는 助詞 「な」가 붙은 꼴》; 가벼운 영탄을 담아 의문을 나타냄. …가?; 자기 자신에게 묻는 기분을 나타냄. …까?; 〈「…ない~(あ)」의 꼴로〉 소망을 나타냄. …려나
この 金の くつを はいて いた むすめが わたしの はなよめと なる!
金
‘쇠붙이의’의 뜻; ‘철의’의 뜻; ‘돈의’ ‘금전의’의 뜻; 《고어》 대패. 〔동의어〕かんな; 『언어학』 한자의 일부를 빌려 그 음훈(音訓)을 이용해서 만들어낸 일본의 표음 문자. 「片仮名」와 「平仮名」의 총칭. 옛날에는 「万葉仮名」가 있었음. 〔반의어〕 真名. 〔참고〕 「仮名」는 딴말임; 『문어』 《係助詞 「か」에 영탄(詠嘆)의 終助詞 「な」가 붙어 한 말이 된 것. 体言이나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감동·영탄의 뜻을 나타냄. …어라. …로다. …구나. …도다. 〔참고〕 ㉠구어에서는 「惜しい」 「悲しい」 등 유감의 뜻을 나타내는 몇몇 형용사에 붙어, 관용구적 副詞句를 만드는 데 쓰일 뿐임. ㉡「哉」는 차자; 《자문(自問)을 나타내는 助詞 「か」에 영탄(詠嘆)을 나타내는 助詞 「な」가 붙은 꼴》; 가벼운 영탄을 담아 의문을 나타냄. …가?; 자기 자신에게 묻는 기분을 나타냄. …까?; 〈「…ない~(あ)」의 꼴로〉 소망을 나타냄. …려나
この くつを はいて いた むすめを さがせ!
つぎの日、おしろから つかいの ものが やって き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王さまの めいれいで しろから まいった。
この 金の くつの もちぬしを さがして いる。
金
‘쇠붙이의’의 뜻; ‘철의’의 뜻; ‘돈의’ ‘금전의’의 뜻; 《고어》 대패. 〔동의어〕かんな; 『언어학』 한자의 일부를 빌려 그 음훈(音訓)을 이용해서 만들어낸 일본의 표음 문자. 「片仮名」와 「平仮名」의 총칭. 옛날에는 「万葉仮名」가 있었음. 〔반의어〕 真名. 〔참고〕 「仮名」는 딴말임; 『문어』 《係助詞 「か」에 영탄(詠嘆)의 終助詞 「な」가 붙어 한 말이 된 것. 体言이나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감동·영탄의 뜻을 나타냄. …어라. …로다. …구나. …도다. 〔참고〕 ㉠구어에서는 「惜しい」 「悲しい」 등 유감의 뜻을 나타내는 몇몇 형용사에 붙어, 관용구적 副詞句를 만드는 데 쓰일 뿐임. ㉡「哉」는 차자; 《자문(自問)을 나타내는 助詞 「か」에 영탄(詠嘆)을 나타내는 助詞 「な」가 붙은 꼴》; 가벼운 영탄을 담아 의문을 나타냄. …가?; 자기 자신에게 묻는 기분을 나타냄. …까?; 〈「…ない~(あ)」의 꼴로〉 소망을 나타냄. …려나
どうぞ おはいり くださいませ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どうぞ
상대편에게 무엇을 허락하거나 권하거나 할 때 쓰는 말. ((공손한 표현)); 부탁이나 희망의 뜻을 나타내는 말. 아무쪼록. 제발. 부디. 〔동의어〕なにとぞ·どうか; 어떻게든. 〔동의어〕なんとか·どうにか
まぁ、これは、わたしの くつで ございます。
二人の ねえさんたちは じしんありげに くつを ためして みました。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王子さまの およめさんに なる ためです
王子
왕자. 〔반의어〕 王女; 황족인 남자; 왕사; 왕실에 관한 일; 제왕의 사업; 『문어』 왕사. 옛일. 과거지사; 『문어』 왕시. 옛날. 지난날. 〔동의어〕むかし. 〔반의어〕 近時; 유럽 문자. 특히, 로마자; 황자. 천황의 아들. 〔동의어〕みこ. 〔반의어〕 皇女·
ところが 二人の あねたちは、 足が おおきすぎて、
ところが
그런데. 그러나; 『문어』 《完了의 助動詞 「た」의 終止形에 붙음》; …했으나. …했던 바. 〔참고〕 흔히, 「が」가 생략된 「ところ」의 꼴로도 씀; …했더니; …했댔자. …해 보았자. 〔동의어〕ところで; 〈動詞의 終止形에 붙음〉 …할 터인데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足
『식물·식물학』 갈대. 〔동의어〕よし; 『문어』 나쁘다. 좋지 않다. 〔동의어〕悪い. 〔참고〕 현재는 「よし」와 함께 대구적(對句的)으로 쓰이거나, 하나의 단어화된 파생어나 복합어 안에서 쓰임; 다리. 〔동의어〕下肢. 〔반의어〕手. 〔참고〕 사람에 대해서는 「脚」도 쓰나, 「足」로 많이 씀. 흔히, 포유 동물에 대해서는 「肢」, 곤충은 「脚」로 쓰기도 함; 발. 〔반의어〕手; 발길. 발걸음. 걸음걸이; 〈「その~で」의 꼴로〉 내친걸음에. 그 길로; 방문(訪問). 발걸음; (비·구름·바람 등의) 움직여 가는 상태.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에 붙어 받치는 부분. 다리. 발. 굽.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 밑부분; 교통 기관. 탈것; (범인 등의) 도주로. 발자취. 〔동의어〕足どり; (떡·반죽 등의) 찰기. 끈기. 〔동의어〕ねばり·こし; 한자(漢字)의 구성을 아래위로 가를 때의 아래쪽 부분.((「烈」의 「灬(불화발)」, 「盒」의 「皿(그릇명)」 등)); 〈앞에 「お」가 붙어〉 돈.((다리가 있는 듯 잘 돌아다니므로)) 〔동의어〕お金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くつは はいりませんでした。
むりに はこうと したので 足から ちが ながれて しまいました。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足
『식물·식물학』 갈대. 〔동의어〕よし; 『문어』 나쁘다. 좋지 않다. 〔동의어〕悪い. 〔참고〕 현재는 「よし」와 함께 대구적(對句的)으로 쓰이거나, 하나의 단어화된 파생어나 복합어 안에서 쓰임; 다리. 〔동의어〕下肢. 〔반의어〕手. 〔참고〕 사람에 대해서는 「脚」도 쓰나, 「足」로 많이 씀. 흔히, 포유 동물에 대해서는 「肢」, 곤충은 「脚」로 쓰기도 함; 발. 〔반의어〕手; 발길. 발걸음. 걸음걸이; 〈「その~で」의 꼴로〉 내친걸음에. 그 길로; 방문(訪問). 발걸음; (비·구름·바람 등의) 움직여 가는 상태.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에 붙어 받치는 부분. 다리. 발. 굽.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 밑부분; 교통 기관. 탈것; (범인 등의) 도주로. 발자취. 〔동의어〕足どり; (떡·반죽 등의) 찰기. 끈기. 〔동의어〕ねばり·こし; 한자(漢字)의 구성을 아래위로 가를 때의 아래쪽 부분.((「烈」의 「灬(불화발)」, 「盒」의 「皿(그릇명)」 등)); 〈앞에 「お」가 붙어〉 돈.((다리가 있는 듯 잘 돌아다니므로)) 〔동의어〕お金
そこで、こんどは シンデレラが ためして みました。
そこで
(앞의 말을 받아서) 그래서. 그런 까닭으로; (화제를 바꾸거나 되돌려 놓을 때) 그런데. 그러면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わたくしも、ためして みます。
これは わたくしの くつですから・・・
すると、どうでしょう!
すると
《動詞 「する」+接続詞 「と」》; 그랬더니. 그러자; 그러면. 그렇다면
金の くつは シンデレラの 足に ぴったりでした。
ぴったり
《「~と」의 꼴로도 씀》; (문 등이) 어긋나거나 틈이 없이 잘 맞는 모양. 꼭. 꽉. 딱. 〔동의어〕ぴたり; 빈틈없이 달라붙는 모양. 착. 딱. 바짝. 〔동의어〕ぴたり; 썩 잘 어울리는 모양. 꼭 맞음. 딱 맞음; (계속되던 것이) 갑자기 멈추는 모양. 딱. 뚝. 〔동의어〕ぴたり
金
‘쇠붙이의’의 뜻; ‘철의’의 뜻; ‘돈의’ ‘금전의’의 뜻; 《고어》 대패. 〔동의어〕かんな; 『언어학』 한자의 일부를 빌려 그 음훈(音訓)을 이용해서 만들어낸 일본의 표음 문자. 「片仮名」와 「平仮名」의 총칭. 옛날에는 「万葉仮名」가 있었음. 〔반의어〕 真名. 〔참고〕 「仮名」는 딴말임; 『문어』 《係助詞 「か」에 영탄(詠嘆)의 終助詞 「な」가 붙어 한 말이 된 것. 体言이나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감동·영탄의 뜻을 나타냄. …어라. …로다. …구나. …도다. 〔참고〕 ㉠구어에서는 「惜しい」 「悲しい」 등 유감의 뜻을 나타내는 몇몇 형용사에 붙어, 관용구적 副詞句를 만드는 데 쓰일 뿐임. ㉡「哉」는 차자; 《자문(自問)을 나타내는 助詞 「か」에 영탄(詠嘆)을 나타내는 助詞 「な」가 붙은 꼴》; 가벼운 영탄을 담아 의문을 나타냄. …가?; 자기 자신에게 묻는 기분을 나타냄. …까?; 〈「…ない~(あ)」의 꼴로〉 소망을 나타냄. …려나
足
『식물·식물학』 갈대. 〔동의어〕よし; 『문어』 나쁘다. 좋지 않다. 〔동의어〕悪い. 〔참고〕 현재는 「よし」와 함께 대구적(對句的)으로 쓰이거나, 하나의 단어화된 파생어나 복합어 안에서 쓰임; 다리. 〔동의어〕下肢. 〔반의어〕手. 〔참고〕 사람에 대해서는 「脚」도 쓰나, 「足」로 많이 씀. 흔히, 포유 동물에 대해서는 「肢」, 곤충은 「脚」로 쓰기도 함; 발. 〔반의어〕手; 발길. 발걸음. 걸음걸이; 〈「その~で」의 꼴로〉 내친걸음에. 그 길로; 방문(訪問). 발걸음; (비·구름·바람 등의) 움직여 가는 상태.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에 붙어 받치는 부분. 다리. 발. 굽.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 밑부분; 교통 기관. 탈것; (범인 등의) 도주로. 발자취. 〔동의어〕足どり; (떡·반죽 등의) 찰기. 끈기. 〔동의어〕ねばり·こし; 한자(漢字)의 구성을 아래위로 가를 때의 아래쪽 부분.((「烈」의 「灬(불화발)」, 「盒」의 「皿(그릇명)」 등)); 〈앞에 「お」가 붙어〉 돈.((다리가 있는 듯 잘 돌아다니므로)) 〔동의어〕お金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シンデレラは、もって いた 金の くつの もう かたほうを はきました。
金
‘쇠붙이의’의 뜻; ‘철의’의 뜻; ‘돈의’ ‘금전의’의 뜻; 《고어》 대패. 〔동의어〕かんな; 『언어학』 한자의 일부를 빌려 그 음훈(音訓)을 이용해서 만들어낸 일본의 표음 문자. 「片仮名」와 「平仮名」의 총칭. 옛날에는 「万葉仮名」가 있었음. 〔반의어〕 真名. 〔참고〕 「仮名」는 딴말임; 『문어』 《係助詞 「か」에 영탄(詠嘆)의 終助詞 「な」가 붙어 한 말이 된 것. 体言이나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감동·영탄의 뜻을 나타냄. …어라. …로다. …구나. …도다. 〔참고〕 ㉠구어에서는 「惜しい」 「悲しい」 등 유감의 뜻을 나타내는 몇몇 형용사에 붙어, 관용구적 副詞句를 만드는 데 쓰일 뿐임. ㉡「哉」는 차자; 《자문(自問)을 나타내는 助詞 「か」에 영탄(詠嘆)을 나타내는 助詞 「な」가 붙은 꼴》; 가벼운 영탄을 담아 의문을 나타냄. …가?; 자기 자신에게 묻는 기분을 나타냄. …까?; 〈「…ない~(あ)」의 꼴로〉 소망을 나타냄. …려나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町中の かねが なり、シンデレラは、 おしろに まねかれました。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町中
시내. 시중. 번화가
おしろの おおひろまで 二人の けっこんしきが はじまりました。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ようせいの しゅくふくで かねが なります。
おうさまも、おきさきさまも、 おおよろこびです。
ははおやと 二人の あねたちも いままでの ことを ふかく はんせいして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シンデレラの けっこんを こころから しゅくふくしました。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シンデレラの うつくしさは、 国中に しれわたり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だれもが、 シンデレラの けっこんを しゅくふくし、
シンデレラ
신데렐라; 유럽 동화의 여주인공. 또는 그 책 제목; 갑자기 행운을 잡은 사람. ((주로, 여자의 경우를 이르나 남자의 경우에도 적용됨))
えいえんの しあわせを いのりました。
しあわ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GReeeeN – beautiful days
ふるさと納税“過去最高”6725億円 巣ごもり需要で(2021年7月30日)
明日への手紙
ペットボトル→ペットボトル リサイクル率50%へ(2021年4月20日)
秋篠宮さま 54歳の誕生日 上皇ご夫妻にあいさつ(19/11/30)
英 開発中の“コロナ”ワクチン「強い免疫反応」(20/07/21)
【MV】絶滅黒髪少女 / NMB48 [公式]
映画『ストレイヤーズ・クロニクル』60秒予告【HD】2015年6月27日公開
さくら~あなたに出会えてよかった~
日越首脳が中国を念頭に「深刻な懸念」を表明(2021年11月25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