私の指は きっと
私の指は きっと
君の頬に そっと 触れるためだけにあって
触れるためだけにあって
輝く月は きっと
君と一緒に ずっと 見上げるためだけにあって
見上げるためだけにあったの
挫けそうな時に いつも隣にいて
笑ってくれた 君はもう いないんだ
ポロポロ手のひらから こぼれる悲しみ My Love
今夜この街で たぶん 私が一番 泣いている
君に愛されたから 私は私になれた
時を運ぶ風よ どうか あの日の永遠を 返して
Bye Bye Bye...
Why did you say bye bye...
あの頃二人 いつも 聞いてた曲が
ふと街角に 流れてる
イヤホン 片方ずつで
君が突然 強く ひっぱるからね
ちょっと 耳から 外れちゃって
私が怒ると ふざけて
ふいに君と目が合って 唇を重ねた
ずっと 私を守るって 言ったのに
ネイビーブルーの空 そっと 手を伸ばしてみる
張り裂けそうな胸 もう一度 ただ抱きしめて
あの時 素直になれば こんな事にならなかった
目覚めたら 全てが 夢であってよ
そしてまた ふざけて
Bye Bye Bye...
Why did you say bye bye...
道行く人をぼんやり見ていた
君と歩いた プラタナス並木
今度 パスタ作ってって
来年 旅行しようって
ずっと 私を守るって 言ったのに
ポロポロ手のひらから こぼれる悲しみ My Love
今夜この街で たぶん 私が一番 泣いている
君に愛されたから 私は私になれた
時を運ぶ風よ どうか あの日の永遠を
ネイビーブルーの空 そっと 手を伸ばしてみる
張り裂けそうな胸 もう一度 ただ抱きしめて
あの時 素直になれば こんな事にならなかった
目覚めたら 全てが 夢であってよ
そしてまた ふざけて
Bye Bye Bye...
Why did you say bye bye...
Bye Bye Bye...
Why did you say bye bye...
私の指は きっと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指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君の頬に そっと 触れるためだけにあって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そっと
솔토. 국토의 끝. 변경. 〔동의어〕そつど; 살그머니. 살짝. 조용히. 가만히. 몰래; 〈「~しておく」의 꼴로〉 (상대편의 기분을 거슬리지 않게) 가만히 그대로 두다
触れる
《속어》 미치다. 실성하다.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흔들리다; (어떤 방향으로) 쏠리다. 기울다. 치우치다; 〈「振る」의 可能形에서〉 (야구에서) 휘두른 방망이가 공을 잘 맞혀 멀리까지 날리다.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닿다. 스치다. 접촉하다. 〔동의어〕さわる; 눈에 띄다. 귀에 들리다; (어떤 시기나 사물을) 만나다; 언급하다; (규칙 등에) 저촉되다. 위반되다; 부딪히다. (심한) 타격을 입다; 거슬리다; 느끼다.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접촉하다. 대다. 만지다. 건드리다; 널리 일반에게 알리다. 〔동의어〕言いふらす.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触れるためだけにあって
触れる
《속어》 미치다. 실성하다.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흔들리다; (어떤 방향으로) 쏠리다. 기울다. 치우치다; 〈「振る」의 可能形에서〉 (야구에서) 휘두른 방망이가 공을 잘 맞혀 멀리까지 날리다.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닿다. 스치다. 접촉하다. 〔동의어〕さわる; 눈에 띄다. 귀에 들리다; (어떤 시기나 사물을) 만나다; 언급하다; (규칙 등에) 저촉되다. 위반되다; 부딪히다. (심한) 타격을 입다; 거슬리다; 느끼다.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접촉하다. 대다. 만지다. 건드리다; 널리 일반에게 알리다. 〔동의어〕言いふらす.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輝く月は きっと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輝く
《고어》 부끄러워하다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君と一緒に ずっと 見上げるためだけにあって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一緒
같은 곳; 일서; 한 통의 편지; 어떤 책. 한 책; 《「一所」의 변한말》; 하나로 모임[모음·됨]. 같이 섞임. 함께 어울림; 같음. 구별이 없음; 같이함. 함께함; 〈「ご~する」의 꼴로 같이 가다의 겸사말〉 동행하다; 동시에 함; 일서. 이름만 남고 내용·실물이 전해지지 않은 책
見上げる
우러러보다. 올려다보다. 쳐다보다. 〔반의어〕 見下ろす; 〈「~·げた」의 꼴로〉 훌륭하다고 감탄하다. 〔반의어〕 見さげる. 【문어형】 みあ·ぐ {하2단 활용}
見上げるためだけにあったの
見上げる
우러러보다. 올려다보다. 쳐다보다. 〔반의어〕 見下ろす; 〈「~·げた」의 꼴로〉 훌륭하다고 감탄하다. 〔반의어〕 見さげる. 【문어형】 みあ·ぐ {하2단 활용}
挫けそうな時に いつも隣にいて
いつも
언제나. 항상. 늘. 〔동의어〕常に; 평소. 평상시. 여느 때. 〔동의어〕平生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隣
이웃. 옆. 곁; 이웃집. 옆집
挫ける
접질리다; (기세가) 꺾이다. 좌절되다. 약해지다. 【문어형】 くじ·く {하2단 활용}
笑ってくれた 君はもう いないんだ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笑う
웃다. 〔반의어〕 泣く; (비유적으로) 꽃봉오리가 벌어지다. 열매가 익어서 터지다. 꽃이 피다; 꿰맨 곳이 타지다; 《속어》 웃기다. 가소롭다. 문제도 되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비웃다. 조소하다. 빈정대다. 우습게 여기다. 〔동의어〕あざ笑う·あざける. 〔참고〕 「嗤う」로도 씀. 【가능동사】 わ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ポロポロ手のひらから こぼれる悲しみ My Love
こぼれる
(물건의 일부가) 망가지다. 【문어형】 こぼ·る {하2단 활용}; 넘쳐 흐르다. 흘러내리다; (밖으로) 비치다. 새어 나오다; 흩어져 떨어지다; 감정 등이 밖으로 나타나다. 【문어형】 こぼ·る {하2단 활용}
悲しみ
슬픔. 비애
今夜この街で たぶん 私が一番 泣いている
今夜
금야. 오늘 밤. 오늘 저녁. 〔동의어〕今晩; 염색업자. 염색소. 〔동의어〕こうや
泣く
울다; 괴로운 꼴을 당하다. 시달리다; 할 수 없이 받아들이다[손해를 보다]; 명실상부하지 않다. 【가능동사】 な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새·벌레·짐승 등이) 울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否定의 助動詞 「ず」의 옛 未然形 「な」+接尾語 「く」의 꼴》 …이 아님. …않음
街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할 만한) 값어치. 보람; 외. 밖; 가; 아집(我執). 〔동의어〕我; 화의. 화취(畵趣). 그림의 의도; 해. 〔반의어〕 益; 해로움. 손해; 방해. 지장; 재앙; 『문어』하의. 축의(祝意). 〔반의어〕 弔意; 『문어』 그. 이. 당해(當該); 『문어』 (사람에게서 풍기는) 기상. 기세. 기개; 『불교』; 선심(善心)을 덮어 가리는 것, 즉 번뇌; 개. (법회에서) 도사(導師)의 보행(步行) 때, 그 위를 받치는 삿갓 모양의 것; 개. 불상이나 도사의 자리 위에 만들어 놓은 천개(天蓋); 삿갓이나 삿갓 모양의 물건을 세는 말. 개
一番
첫째. 맨 처음[먼저]; 일등. 제일. 으뜸; 최상. 상책; 한 쌍. 한 조(組). 〔동의어〕ひとつがい; (장기·바둑·씨름 등의) 한 판. 일 회. 한 번. 단판; 謡曲·能 등의 한 곡; (일반적으로 사물의) 한 번. 일 회. 〔동의어〕一度; 가장. 맨; 우선. 시험삼아. 한번. 큰마음 먹고. 〔참고〕 「一番」는 딴말임
たぶん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君に愛されたから 私は私になれ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愛す
「愛する」의 문어
時を運ぶ風よ どうか あの日の永遠を 返して
運ぶ
나르다. 옮기다. 운반하다; (일하는 손을) 놀리다; 발길을 옮기다. 걸어가다; (일을) 추진시키다. 【가능동사】 はこ·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진척되다. 【가능동사】 はこ·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永遠
영원(함). {문어·ナリ 활용 }
どうか
동화. 〔반의어〕 異化; 본디 질이 다른 것이 감화되어 같게 됨; 생물이 외부로 부터 섭취한 물질을 자기의 몸을 구성하는 성분과 같은 것으로 변화시키는 현상; 동가. 〔동의어〕等価; 도교를 받드는 사람. 1.2.〔동의어〕どうけ; 도덕적인 가르침을 알기 쉽게 노래한 교훈적인 短歌; 동화. 동전; 도화. 〔동의어〕みちび·口火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返す
(빌린 것을) 돌려주다;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다. 되돌려 놓다; (원위치로) 되돌려 놓다; (행동으로) 갚다. 되갚다; 뒤집다. 돌리다; (땅을) 갈다. 파 엎다. 【가능동사】 かえ·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파도 등이) 밀려가다. 밀려오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5段活用의 動詞를 만듦》; 되받다; 되풀이하다; 돌려보내다. 돌아가게[돌아오게] 하다. 【가능동사】 かえ·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알을) 까다. 부화하다. 【가능동사】 かえ·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風
바람; 감기. 〔참고〕 보통 「風邪」로 씀; 형세. 형편; 낌새. 눈치; (비유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의 관습·양식 등; 〈接尾語적으로 씀〉 상태. 태도. 티
Bye Bye Bye...
Why did you say bye bye...
あの頃二人 いつも 聞いてた曲が
いつも
언제나. 항상. 늘. 〔동의어〕常に; 평소. 평상시. 여느 때. 〔동의어〕平生
頃
굴림대; 가늘고 짤막한 장작. 나무토막; 〈「さいころ」의 준말〉 주사위; 작고 둥근 것을 나타내는 말; 『문어』 때. 계절. 시절; 무렵. 시절; (적절한) 시기. 기회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曲
『문어』 거구. 큰 몸집; 『문어』 바르지 않음. 부정. 〔동의어〕不正. 〔반의어〕 直; 음악. 악곡. 또는 그 가락. 〔동의어〕調べ·メロディー; 변화가 있는 재미. 흥미; 한시(漢詩)의 한 체. 곡; 관청·회사 등에서의 조직의 하나. 국; 우체국·방송국·전보국 등 ‘국’자가 붙는 곳의 준말. 국; 당면한 일 또는 사태; 사태의 끝. 종국; 국. 바둑·장기 등의 한 판; 극; 〈副詞적으로도 씀〉 끝. 한계점. 〔동의어〕極み; 천자(天子)의 자리; 『지리·지학·지명』 남극과 북극; 『물리』 (전지·자석의) s극과 n극. 자극(磁極). 전극(電極)
聞く
『문어』 ⇒ 危惧; 기구. 〔반의어〕 結句; 문장의 첫구; 『식물·식물학』 국화. 〔동의어〕長月花; 국화문(菊花紋); 『문어』 규구; 규준. 모범. 규칙; 효력이 있다. 듣다; 가능하다. 통하다; 능력[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다. 잘 움직이다. 〔참고〕 1.은 「効く」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口を~」의 꼴로》; 말을 하다; 주선해 주다. 거들어 주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말이나 소리를) 듣다. 〔참고〕 1.은 「聴く」로도 씀; (남의 말을) 받아들이다;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問う. 〔참고〕 3.은 「訊く」 「尋く」로도 씀; (냄새를) 맡다; (술 등의 맛을) 맛보다. 【가능동사】 き·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기구; (변하여) 인생 행로가 평탄치 못하고 고생이 많음. {문어·タリ 활용}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ふと街角に 流れてる
流れる
흐르다. 흘러 내리다; 흘러가다. 떠내려가다; 감돌다. 떠돌다. 풍기다; 물 흐르듯이 줄지어 이동하다; 경과하다. 흘러가다; 유창하다; 퍼지다. 유포되다; 흘러 나오다. 들려 오다; (방향이) 빗나가다. 벗어나다; 떠돌아다니다. 헤매다. 유랑하다. 〔동의어〕流離う; 치우치다. 쏠리다. 흐르다; 유질(流質)되다; 유회되다. 중지되다. 취소되다; 유산되다; (순조롭게) 진행되다. 【문어형】 なが·る {하2단 활용}
街角
거리의 모퉁이. 길모퉁이; 길거리. 가두(街頭)
イヤホン 片方ずつで
片方
『문어』; 옆. 곁. 〔동의어〕かたわら; 한쪽. 한편. 〔동의어〕かたほう; 곁에 있는 사람
君が突然 強く ひっぱるからね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突然
《副詞는 「~に」의 꼴로도 씀》 돌연. 갑자기. 〔동의어〕突如
強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ちょっと 耳から 外れちゃって
外れる
빠지다. 벗겨지다. 끌러지다; 벗어나다; (규칙에) 어긋나다; 빗나가다. 빗맞다; 제외되다. 누락되다. 【문어형】 はづ·る {하2단 활용}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耳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私が怒ると ふざけて
怒る
『조류』 고지새. 밀화부리. 〔동의어〕いかるが·まめころがし; 《「生けらる」의 뜻》 꽃이 꽂혀 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화내다. 성내다. 노하다. 〔동의어〕おこる; 모나다. 모지다. 〔동의어〕かどばる; 미친 듯이 날뛰다. 【가능동사】 いか·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埋けらる」의 뜻》 묻혀 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ふざける
희룽거리다. 농담하다. 장난치다; 깔보다. 놀리다; (남녀가) 시시덕거리다. 새롱거리다. 〔참고〕 「巫山戯る」는 차자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ふいに君と目が合って 唇を重ねた
合う
만나다. 대면하다; 서로 알게 되다. 사귀다; 우연히 마주치다. 〔참고〕 「会う」는 ‘어떤 곳에 모여서 대면하다’의 뜻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逢う」는 ‘약속하고 만난다’는 뜻으로 씀. 【가능동사】 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맞다. 일치하다. 합치(合致)하다; 어울리다. 알맞다. 조화되다; 〈흔히 「~·わない」의 꼴로 씀〉 수지맞다. 〔동의어〕引き合う;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른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하다. 주고받다; …하여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떤 일을) 만나다. 겪다. 당하다. 봉착(逢着)하다; 우연히 만나다. 마주치다. 〔참고〕 「会う」 「逢う」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唇
입술; 꽃잎. 〔동의어〕花びら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重ねる
겹치다. 포개다. 쌓아 올리다; 되풀이하다. 반복하다. 거듭하다. 〔동의어〕繰り返す. 【문어형】 かさ·ぬ {하2단 활용}
ずっと 私を守るって 言ったのに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守る
지키다. 막다. 수호하다. 방호하다. 〔반의어〕 攻める. 〔참고〕 「護る」로도 씀; 소중히 지키다. 어기지 않다. 잘 유지하며 따르다. 〔반의어〕 破る; (눈을 떼지 않고) 지켜보다. 주의해서 살펴보다. 【가능동사】 まも·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ネイビーブルーの空 そっと 手を伸ばしてみる
伸ばす
늘이다; 길게 기르다; (구김살이나 굽은 것을) 곧게 하다. 펴다. 〔반의어〕曲げる; 늘리다. 신장시키다. 〔참고〕 1.~3.은 「延ばす」로도 씀. 【가능동사】 のば·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시일 등을) 연장하다. 끌다. 〔반의어〕 縮める; (기일·기한을) 연기하다; (액체를) 묽게 하다; 《속어》 때려눕히다. 〔동의어〕のす. 〔참고〕 4.는 「伸ばす」로도 씀. 【가능동사】 のば·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そっと
솔토. 국토의 끝. 변경. 〔동의어〕そつど; 살그머니. 살짝. 조용히. 가만히. 몰래; 〈「~しておく」의 꼴로〉 (상대편의 기분을 거슬리지 않게) 가만히 그대로 두다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張り裂けそうな胸 もう一度 ただ抱きしめて
胸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張り裂ける
부풀어 터지다. 【문어형】 はりさ·く {하2단 활용}
あの時 素直になれば こんな事にならなかった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素直
순진함. 순박함. 솔직함. 질박함; 순순함. 온순함. 고분고분함; 곧음; (기예 등에) 구김살이 없음. 자연스러움. 얌전함. す-なお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目覚めたら 全てが 夢であってよ
全て
모두. 모조리. 통틀어; 대체로. 일반적으로; 전부. 일체. 모든 것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目覚める
잠에서 깨다; (본능 등이) 싹트다; 본심으로 돌아오다. 깨어나다. 각성하다. 깨닫다. 【문어형】 めざ·む {하2단 활용}
そしてまた ふざけて
そして
⇒ そうして
ふざける
희룽거리다. 농담하다. 장난치다; 깔보다. 놀리다; (남녀가) 시시덕거리다. 새롱거리다. 〔참고〕 「巫山戯る」는 차자
Bye Bye Bye...
Why did you say bye bye...
道行く人をぼんやり見ていた
ぼんやり
멍청함. 멍청이;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희미한 모양. 어렴풋이. 아련히; 맥빠진 모양. 우두커니. 망연히. 〔반의어〕 しっかり; 얼빠진 모양. 멍청히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君と歩いた プラタナス並木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並木
가로수
歩く
걷다. 걸어가다. 거닐다. 〔동의어〕あゆむ; (비유적으로) 거쳐오다. 지내다. 살아가다; 〈다른 動詞의 連用形을 받아〉 여기저기에서[여러 곳에서] …하다. …하며 다니다; 방문하다. 찾아보다. 【가능동사】 あ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プラタナス
『식물·식물학』 플라타너스. 〔동의어〕すずかけの木
今度 パスタ作ってって
今度
이번. 금번; 이 다음. 차회(次回)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パスタ
파스타; 풀. 〔동의어〕のり; 반죽한 것; 파스타. 마카로니, 스파케티 등 이탈리아 면류의 총칭
来年 旅行しようって
来年
내년. 명년. 〔동의어〕明年. 〔반의어〕 去年
旅行
여행. 〔동의어〕旅; 『문어』 여항. 마을. 민간
ずっと 私を守るって 言ったのに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守る
지키다. 막다. 수호하다. 방호하다. 〔반의어〕 攻める. 〔참고〕 「護る」로도 씀; 소중히 지키다. 어기지 않다. 잘 유지하며 따르다. 〔반의어〕 破る; (눈을 떼지 않고) 지켜보다. 주의해서 살펴보다. 【가능동사】 まも·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ポロポロ手のひらから こぼれる悲しみ My Love
こぼれる
(물건의 일부가) 망가지다. 【문어형】 こぼ·る {하2단 활용}; 넘쳐 흐르다. 흘러내리다; (밖으로) 비치다. 새어 나오다; 흩어져 떨어지다; 감정 등이 밖으로 나타나다. 【문어형】 こぼ·る {하2단 활용}
悲しみ
슬픔. 비애
今夜この街で たぶん 私が一番 泣いている
今夜
금야. 오늘 밤. 오늘 저녁. 〔동의어〕今晩; 염색업자. 염색소. 〔동의어〕こうや
泣く
울다; 괴로운 꼴을 당하다. 시달리다; 할 수 없이 받아들이다[손해를 보다]; 명실상부하지 않다. 【가능동사】 な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새·벌레·짐승 등이) 울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否定의 助動詞 「ず」의 옛 未然形 「な」+接尾語 「く」의 꼴》 …이 아님. …않음
街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할 만한) 값어치. 보람; 외. 밖; 가; 아집(我執). 〔동의어〕我; 화의. 화취(畵趣). 그림의 의도; 해. 〔반의어〕 益; 해로움. 손해; 방해. 지장; 재앙; 『문어』하의. 축의(祝意). 〔반의어〕 弔意; 『문어』 그. 이. 당해(當該); 『문어』 (사람에게서 풍기는) 기상. 기세. 기개; 『불교』; 선심(善心)을 덮어 가리는 것, 즉 번뇌; 개. (법회에서) 도사(導師)의 보행(步行) 때, 그 위를 받치는 삿갓 모양의 것; 개. 불상이나 도사의 자리 위에 만들어 놓은 천개(天蓋); 삿갓이나 삿갓 모양의 물건을 세는 말. 개
一番
첫째. 맨 처음[먼저]; 일등. 제일. 으뜸; 최상. 상책; 한 쌍. 한 조(組). 〔동의어〕ひとつがい; (장기·바둑·씨름 등의) 한 판. 일 회. 한 번. 단판; 謡曲·能 등의 한 곡; (일반적으로 사물의) 한 번. 일 회. 〔동의어〕一度; 가장. 맨; 우선. 시험삼아. 한번. 큰마음 먹고. 〔참고〕 「一番」는 딴말임
たぶん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君に愛されたから 私は私になれ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愛す
「愛する」의 문어
時を運ぶ風よ どうか あの日の永遠を
運ぶ
나르다. 옮기다. 운반하다; (일하는 손을) 놀리다; 발길을 옮기다. 걸어가다; (일을) 추진시키다. 【가능동사】 はこ·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진척되다. 【가능동사】 はこ·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永遠
영원(함). {문어·ナリ 활용 }
どうか
동화. 〔반의어〕 異化; 본디 질이 다른 것이 감화되어 같게 됨; 생물이 외부로 부터 섭취한 물질을 자기의 몸을 구성하는 성분과 같은 것으로 변화시키는 현상; 동가. 〔동의어〕等価; 도교를 받드는 사람. 1.2.〔동의어〕どうけ; 도덕적인 가르침을 알기 쉽게 노래한 교훈적인 短歌; 동화. 동전; 도화. 〔동의어〕みちび·口火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風
바람; 감기. 〔참고〕 보통 「風邪」로 씀; 형세. 형편; 낌새. 눈치; (비유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의 관습·양식 등; 〈接尾語적으로 씀〉 상태. 태도. 티
ネイビーブルーの空 そっと 手を伸ばしてみる
伸ばす
늘이다; 길게 기르다; (구김살이나 굽은 것을) 곧게 하다. 펴다. 〔반의어〕曲げる; 늘리다. 신장시키다. 〔참고〕 1.~3.은 「延ばす」로도 씀. 【가능동사】 のば·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시일 등을) 연장하다. 끌다. 〔반의어〕 縮める; (기일·기한을) 연기하다; (액체를) 묽게 하다; 《속어》 때려눕히다. 〔동의어〕のす. 〔참고〕 4.는 「伸ばす」로도 씀. 【가능동사】 のば·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そっと
솔토. 국토의 끝. 변경. 〔동의어〕そつど; 살그머니. 살짝. 조용히. 가만히. 몰래; 〈「~しておく」의 꼴로〉 (상대편의 기분을 거슬리지 않게) 가만히 그대로 두다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張り裂けそうな胸 もう一度 ただ抱きしめて
胸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張り裂ける
부풀어 터지다. 【문어형】 はりさ·く {하2단 활용}
あの時 素直になれば こんな事にならなかった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素直
순진함. 순박함. 솔직함. 질박함; 순순함. 온순함. 고분고분함; 곧음; (기예 등에) 구김살이 없음. 자연스러움. 얌전함. す-なお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目覚めたら 全てが 夢であってよ
全て
모두. 모조리. 통틀어; 대체로. 일반적으로; 전부. 일체. 모든 것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目覚める
잠에서 깨다; (본능 등이) 싹트다; 본심으로 돌아오다. 깨어나다. 각성하다. 깨닫다. 【문어형】 めざ·む {하2단 활용}
そしてまた ふざけて
そして
⇒ そうして
ふざける
희룽거리다. 농담하다. 장난치다; 깔보다. 놀리다; (남녀가) 시시덕거리다. 새롱거리다. 〔참고〕 「巫山戯る」는 차자
Bye Bye Bye...
Why did you say bye bye...
Bye Bye Bye...
Why did you say bye bye...
調布陥没受け施工管理強化 リニア工事の説明会開催(2021年6月9日)
皇居で「新年祝賀の儀」 愛子さまが初出席(2022年1月1日)
アマゾンボンバー「正義のヒーロー」漫才
佳子さま ギリシャを出発 きょう夕方に帰国(2024年6月1日)
ラオス「日本映画祭」 ゴーちゃん。も登場(20/02/09)
The outside is as important as the inside | Yuzo Hoshino | TEDxUTokyo
「入国禁止」は来月31日まで オミクロン株対策(2021年11月30日)
イオンが次世代スーパー AIとロボ駆使しお届け(19/11/29)
【なぜ?】“通り抜けられない改札” 北海道小樽市の無人駅(2023年3月21日)
アンブレラ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
Copyright © 2018 Easyjapanese.net
Design by EUP | Privacy policy | Terms of use | Refu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