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角い窓の外秋深し
四角い窓の外秋深し
今年最初の霜が降る
チクタク鳴り響く部屋の中
日々を直向きに生きてます
坂道、高い空、蝉時雨
駈け出す私達が居た
波の音に夢を乗せて
遠い世界の旅に出よう
幾つもの出逢いと別れ路
続く物語
指折り数えた名残の空
蒼く澄んだビー玉のように
小さな迷いも溶かしてゆく
そんな晴れた思い出でした
暁、明けの空に三日月
吐き出す息白く夢の様
いつでも傍に希望を抱いて
駈け出す私達が居た
波の音に夢を乗せて
遠い世界の旅に出よう
幾つもの出逢いと別れ路
続く物語
立ち止まる日を乗り超えて
もう一度風を掴もう
幾つもの想い出を胸に寄せ
歩む物語
四角い窓の外秋深し
深い
불쾌함. ふ-かさ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병. 병환(病患); 『문어』 부회. 억지로 끌어다 댐. 무리하게 관련지음; 부회; 「府議会」의 준말. 〔참고〕 1.은 지방 자치법이 제정되기 전의 옛일컬음; 깊다. 얕지 아니하다; (감정·생각 등이) 깊다. 듬쑥하다; (정도가) 크다. 깊다; 관계가 밀접하다. 깊다; (색깔·농도가) 짙다; 밀생(密生)해 있다; (때·계절이) 깊다. 한창이다; 뚜렷하다; 〈「ぶかい」의 꼴로 体言에 붙어〉 복합어를 이룸. 1.~9.〔반의어〕 あさい. ふか·げ 【형용동사】 ふか·さ 【명사】 ふか·み 【명사】 【문어형】 ふか·し {ク 활용}
外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할 만한) 값어치. 보람; 외. 밖; 가; 아집(我執). 〔동의어〕我; 화의. 화취(畵趣). 그림의 의도; 해. 〔반의어〕 益; 해로움. 손해; 방해. 지장; 재앙; 『문어』하의. 축의(祝意). 〔반의어〕 弔意; 『문어』 그. 이. 당해(當該); 『문어』 (사람에게서 풍기는) 기상. 기세. 기개; 『불교』; 선심(善心)을 덮어 가리는 것, 즉 번뇌; 개. (법회에서) 도사(導師)의 보행(步行) 때, 그 위를 받치는 삿갓 모양의 것; 개. 불상이나 도사의 자리 위에 만들어 놓은 천개(天蓋); 삿갓이나 삿갓 모양의 물건을 세는 말. 개
秋
비어 있음. 공간(空間). 여백. 간격. 틈새기; 빈자리. 결원; 여가. 틈. 짬. 〔동의어〕ひま; 여분. 여벌. 사용하지 않고 있는 물건; 가을; 가을걷이. 추수; 싫증. 물림. 진력남; 『지리·지학·지명』 일본의 옛 지명. 지금의 広島현의 서부. 〔동의어〕芸州
窓
《体言에 붙음》 총. 모든. 전체의; 장. ((여관·별장·아파트 등에 붙는 말)); 장. 장례식. 장의; 작은 배를 세는 말. 척; 쌍. 둘씩 짝을 이룬 것; 필적(匹敵)하는 것; 쌍으로 된 물건을 헤아리는 말. 쌍; 『문어』; 장함. 혈기 왕성함. 용감함. {문어·ナリ 활용 }; 한창 젊은 때. 장년; 근원. 근본; 조상·선조. 또는, 조상 중에서 뛰어난 이; 연주; 상; 형체. 모습. 양상; (인상·수상·골상 등의) 상. 길흉(吉凶)의 인상(人相); 초; 초서. 초체. 〔반의어〕 楷·行; 초잡은 글. 초고. 초안. 기초(起草); 치장; 외관(外觀); 〈接尾語적으로 쓰여〉 ‘장정(裝幀)’의 뜻을 나타냄; 『불교』 중. 승려. 〔반의어〕 尼; 상; 구상; 생각. 사상; 『불교』 상온(想蘊). 오온(五蘊)의 한 가지. 외계의 대상을 마음에 떠올리는 정신 작용; 층. 겹; 층; 지층; 계급. 계층; 포개진 물체를 세는 말; 『음악』 쟁. ((13줄의 거문고와 비슷한 현악기)) 〔참고〕 옛날에는 「箏の琴」라 하였으나 지금은 단순히 「琴」라고 함; 그렇게. 그리; (상대편의 말에) 긍정·놀라움·반신반의 ·감동 등을 나타내는 말. 그래. 정말; 연(沿)하다. 따르다; 좇다. 따르다. 【가능동사】 そ·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따르다. 붙어다니다; 부부가 되다. 부부가 되어 함께 살다; 「そえる」의 문어
今年最初の霜が降る
最初
자세히 씀. 또는 그 글; 최초. 맨 처음. 〔반의어〕 最後·最終
霜
(강의) 아래쪽. 하류; (장소의) 아래; (몸의) 아랫도리. 특히, 음부; 대소변; 말석; (신분의) 아래; (도시에서) 먼 땅. 시골; (어느 기간의) 뒷부분; 문장의 뒷부분. 和歌의 후반의 두 구(句). 〔동의어〕下の句; 『기상』 서리; (비유적으로) 백발; 『문어』 《강조의 助詞인 「し」에 係助詞 「も」가 붙은 말》; 앞의 말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かならず~」의 꼴로 否定語가 따르며〉 반드시 …(것)은 아니다
今年
올해. 금년. 〔동의어〕こんねん·本年
降る
《「お~」의 꼴로》 고물. 퇴물림; 헌. 낡은; 이전의. 옛; 경험[연공]을 쌓은; (몸의 어떤 부위를) 움직이다. 흔들다; (어떤 물체의 일부를) 잡고 흔들다. 휘두르다; 뿌리다; 흔들어서 던지다; 잃다. 버리다. 날리다; 거절하다. 퇴짜놓다. 포기하다; 할당하다. 매기다. 〔동의어〕ふり当てる; 토를 달다; (어음·수표 등을) 발행하다. 떼다; 방향을 돌리다[틀다]; 「ふれる」의 문어; (비·눈 등이) 내리다. 오다. 떨어지다; 사물이 닥치다. 몰려오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헐어지다. 낡아지다. 쇠퇴해지다. 황폐해지다
チクタク鳴り響く部屋の中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部屋
방; 광. 곳간; 궁중에서 궁녀들이 거처하는 방. 〔동의어〕局; 하급 직책의 여성으로서 귀인의 첩이 되어 방을 차지한 여자; 은퇴한 씨름꾼이 제자를 양성하는 곳. ((연습용 씨름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씨름꾼은 어느 곳에든 소속되어 있어야 함))
鳴り響く
사방에 울리다. 울려 퍼지다; (명성이) 널리 퍼지다. 드날리다. 떨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日々を直向きに生きてます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直
『문어』; 자기 망상으로 말미암은 고민; 『문어』 자가; 자기 집. 〔반의어〕 他家; 자기. 자기 자신. 〔동의어〕自分·自己; 《「直」의 변한말》 직접; 『문어』 시하. 요사이. 요즈음. 〔참고〕 편지 서두에 副詞적으로 쓰는 말; 『문어』 제철에 피는 꽃; 시가; 『물리』 자화. 자성화. ((물질이 자석 성질을 띰)) 〔동의어〕帯磁
向き
방향; (특히 한정된) 방면; 어떤 경향·관심·사항·성질 등을 가지고 있음. 또는 그 사람; 〈接尾語적으로도 씀〉 적합함. 알맞음. 적격; 사소한 일에도 정색을 하고 대듦[화냄]. 〔참고〕 흔히, かな로 씀; 관계 당국; 『문학』 俳句에서, 「季語」가 들어 있지 않음; 무기. 일정한 기한이 없음. 〔반의어〕 有期; 『화학』 무기; 그 자체에 생활 기능이 없음. 〔반의어〕 有機; 「無機化学」의 준말
坂道、高い空、蝉時雨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高い
『문어』 타계; 『불교』 인간계 이외의 세계; 다른 세계; 죽음; 높다; (위치가) 위쪽이다; (키가) 크다; (신분·지위가) 상위이다; (능력이) 뛰어나다; (품위·품격이) 훌륭하다; (일정한 수준보다) 위이다. 우월하다; (정도가) 심하다. 수치(數値)가 크다; (목소리·소리가) 크다; 유명하다; (값이) 비싸다. 〔반의어〕 安い; 〈「お~」의 꼴로〉 잘난 체하다. 거드름 피우다; 〈「腰が~」의 꼴로〉 거만하다; 〈「頭が~」꼴로〉 머리를 숙일 줄 모르다. 무례하다. 오만하다; 〈「鼻が~」의 꼴로〉 우쭐하다. 자랑스럽다. 1.~8. 〔반의어〕 低い. たか·さ 【명사】 たか·み 【명사】 【문어형】 たか·し {ク 활용}
坂道
고갯길. 비탈길
駈け出す私達が居た
居る
들어가다. 들다. 〔동의어〕はいる. 〔반의어〕 出る; (어떤 경지에) 이르다; (해·별·달이) 지다; (어떤 환경에) 몸두다; (차차 변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다. 〔참고〕 현재는 보통 단독으로는 「はいる」가 쓰이고 「いる」는 「気に入る」「堂に入る」등 관용적인 표현에 쓰이는 것이 보통임; 「入れる」의 문어; 필요하다. 들다. 소용되다. 〔참고〕 「入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볶다; (달걀·두부 등을) 지지다. 【가능동사】 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 존재하다. 〔참고〕 옛날에는 물건에 대해서도 썼음; 근무하다; 앉다; 《고어》 (안개·구름 등이) 가만히 있다. 머물러 있다. {문어·하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동작·상태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반복을 나타냄; 현재의 상태를 나타냄; 과거에 있었던 동작·경험 등을 나타냄. 〔참고〕 「…ている」 「…ています」 「…ていた」는 상용어(常用語)에서 흔히 「…てる」 「…てます」 「…てた」의 꼴로 씀.{문어·하1단 활용}; 쏘다; (쏘아서) 맞히다; 쏘아보다; (자기 것을 만들려고) 노리다. 노려서 차지하다; (빛이 강렬하게) 비추다. 〔참고〕 근세 후기 부터 「矢を射った」와 같이 5[4]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볼 수 있음. {문어·상1단 활용}; 주조하다. (거푸집에) 부어 만들다. 지어 붓다. {문어·상1단 활용}
出す
(안에서 밖으로) 내다. 꺼내다. 내놓다; (앞으로) 내밀다; (분비물·액체를) 흘리다. 나오게 하다; (딴 곳으로) 보내다. 출발시키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소리·빛·열 등을) 내다; (편지·신호 등을) 보내다. 부치다; 내다. 제출하다; 내다. 발표하다. 출품하다; 발행하다. 출판하다; 내놓다. 제공하다; (값을) 치르다. 지급하다; 내보내다. 배출하다; 발생시키다. 내다; 발휘하다; (속력을) 올리다. 내다; 내보이다. 내걸다;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하다. 초래하다; (맛을) 우려내다; (가게를) 차리다. 개업하다; (과제·문제를) 과(課)하다. 【가능동사】 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밖으로 내놓다’의 뜻을 나타냄; ‘겉으로 나타나다’ ‘구체화하다’의 뜻을 나타냄; ‘…하기 시작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駈ける
『문어』 (하늘 높이) 날다. 비상(飛翔)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분이) 깨져 떨어지다. 귀떨어지다. 흠지다; 부족하다. 모자라다. 없다; 이지러지다. 〔반의어〕 満ちる; (있어야 할 것이) 빠지다. 결여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높은 곳에) 걸다. 늘어뜨리다. 치다; (말을) 붙이다. 건네다; 얹다. 올려놓다; 가설하다. 세우다. 치다. 놓다; 걸터앉다. 〔동의어〕すわる; (단추·자물쇠 등을) 채우다. 잠그다; 〈「鼻に~」의 꼴로〉 자랑삼다. 뽐내다. 내세우다; 개의하다. 마음을 쓰다; 끼얹다. 뿌리다. 치다. 〔동의어〕振りかける; 덮다. 몸에 걸치다; 씌우다. 입히다. 〔동의어〕かぶせる; 감다. 두르다. 묶다; (다른 것에) 기대어 놓다. 걸쳐 놓다; 잡다. 사로잡다. 속이다; (희망 등을) 걸다. 빌다; (폐나 영향을) 끼치다; (돈·시간·수고 등을) 들이다. 〔동의어〕費やす; (보험에) 들다. 가입하다; 곱셈하다. 곱하다; 교배(交配)시키다; 높게 (달아) 올리다; (마음이나 정 등을) 주다; (작용 등을) 가(加)하다. 작용시키다. 동작을 취하다; 도구나 기계 등을 움직여 작동시키다; 에누리하다; 〈「輪を~」의 꼴로〉 ㉠정도가 한층 더하다. ㉡과장하다; 부과하다; 올리다. 상정하다; 〈「口に~」의 꼴로〉 말하다. 입에 올리다; 내걸어 보이다; (저울에) 달다; (체로) 치다; 보이다; 손을 쓰다. 처치하다; 잘 돌보다; 〈「目を~」의 꼴로〉 귀여워하다. 돌보다. 눈여겨[주의하여] 보다; 〈「火を~」의 꼴로〉 불지르다; 짓밟다; 〈수사법(修辭法)에서 어떤 말과 음이 같은 다른 말을 암시하여〉 한 말이 두 가지 뜻을 가지게 하다; (기계에) 넣다. 올리다; 과정을 거치다[받다]; 퍼붓다; 섞다; 〈「(…から)…に~·けて」의 꼴로〉 (…에서)…에 걸쳐; 〈「…に~·けては」의 꼴로〉 …으로 말하면. …에 관하여는. …에 있어서는; (상금 등을) 걸다; 뾰족한 것이나 구부러진 것 등으로 걸다; 〈「鎌を~」의 꼴로〉 속을 떠보다. 깐보다;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시작하다. 중도까지 …하다; 〈앞 動詞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거의 실현될 듯하다’의 뜻. 사실은 실현되지 않음〉 …ㄹ 뻔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말 타고 달리다; 달리다. 뛰어가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걸다. 내기하다. 지르다; (실패하면 잃을 각오로) 걸다. 내걸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波の音に夢を乗せて
音
《「大御」가 변한 「おおん」의 준말》 명사에 붙어 존경의 뜻을 곁들임. 〔참고〕 「お」보다 강한 공손·존경의 뜻을 나타내며,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경우에 쓰임; 은혜; 《속어》 수컷. 〔동의어〕おす·お. 〔반의어〕 雌; 소리. 〔동의어〕おと; (언어의) 음. 발음; 중국식 발음을 바탕으로 한 한자(漢字)의 음. 자음(字音). 〔반의어〕 訓; 음색; 『문어』 따뜻한 모양. 온화한 모양
波
(칼붙이 등의) 날; 날개. 〔동의어〕はね; (화살의) 살깃; 새의 깃털. 〔동의어〕羽毛; 『식물·식물학』 잎. 잎사귀. 〔동의어〕はっぱ; 이; (기구·기계 등의) 가장자리에 나란히 나 있는 돌기물. 빗살. 톱니; (게다의) 굽; 끝. 가장자리. 〔동의어〕はし; 끝수. 우수리. 〔동의어〕はした; 「波斯」의 준말; 「波蘭」의 준말; 계속 일으키는 공세의 횟수를 세는 말. 파; 파. 한패. 동아리. 분파; 분파를 세는 말. 〔참고〕 一·三·四·六·八·十에 붙을 때에는 「ぱ」로 됨; 파의 이름에 붙는 말; 『음악』 (아악·能楽에서 序·破·急로 구성된) 악곡의 중간 부분. ((전개부(展開部)에 해당하며, 느린 속도로 연주됨)); 『문어』; 무력·권력으로 나라와 백성 위에 군림함. 패권. 패자; (경기 등에서의) 우승; 공손하게 대답할 때 하는 말. 예. 네; 공손하게 되물을 때 쓰는 말. 네? 예? ((말끝을 올림)); 웃는 소리. 하; 《발음은 「ワ」. 名詞 또는 名詞에 준하는 말, 活用語의 連用形에 붙음》; 서술의 주제를 나타냄. …는. …은; 특히 내세워 말하는 뜻을 나타냄. …은. …는; 비슷한 종류의 것을 대비적으로 나타냄. …은. …는; 서술의 부분을 강조함. …은. …는; 〈格助詞를 받음〉 …(에)는. …(로)는. …(보다)는; 〈인용의 格助詞 「と」를 받아〉 정의(定義)나 해설의 주제를 나타냄. 또는 뜻밖의 것을 평가하는 주제를 나타냄. …란. …라는. …라는 것은; 〈動詞의 連体形+格助詞 「に」를 받아〉 그 동작·작용을 목적으로 함을 드러내어 나타냄. …하려면. …하기에는; 〈接続助詞인 「から」를 받아〉 당연하고 부득이하다는 판단을 이끌어 내는 이유·원인을 나타냄. …한 이상에는; 〈接続助詞 「て」를 받아 「ては」 「では」의 꼴로〉 조건이 되풀이됨. 또는 부정적인 판단을 이끌어내는 조건을 나타냄
乗せる
타게 하다. 태우다. 싣다. 〔반의어〕 おろす; 위에 놓다. 얹다. 〔반의어〕 おろす; 글 등을 싣다. 게재하다. 기재하다; 계략을 쓰다. 속여 넘기다; 가락에 맞추다; 참가시키다. 가입시키다. 〔참고〕 1.은 사람의 경우 「乗せる」로, 화물의 경우 「載せる」. 2.3.은 「載せる」, 4.~6.은 「乗せる」로 씀. 【문어형】 の·す {하2단 활용}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遠い世界の旅に出よう
世界
지구상의 모든 나라. 만국(萬國); (지구를 중심으로 해서 본) 우주. 〔동의어〕天地; 세상. 인간 사회; 『불교』 중생(衆生)이 살고 있는 곳; 어느 특정한 것의 한정되는 범위
旅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出る
나가다. 나오다; 안에서 밖으로 나가다. 〔반의어〕 はいる; 팔리다; 출석하다. 출근하다. 참가하다. 출장(出場)·출연하다; 떠나다. 출발하다; 졸업하다; 다다르다. 이르다; 나서다; 나아가다; 출판되다. (출판물에) 실리다. 나다; 솟다. 솟아나오다; 일다. 일어나다; 태도를 보이다; 넘쳐 흐르다; 벗어나다. 초과하다. 넘다; 나타나다; 생기다. 비롯되다; 산출되다. 나다; 받다. 얻다; 우러나다. 〔참고〕 고형(古形)은 「いづ」. 【문어형】 づ {하2단 활용}
遠い
멀다; (공간적인)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시간적인) 간격이 많이 떨어져 있다; 추상적으로 차이가 크다; 혈연 관계가 멀다; 접촉 관계가 적다. 소원(疏遠)하다; (성질·내용이) 닮지 않다. 다르다; 친근하지 않다; 보거나 하거나 하는 일이 드물다; 관련이 별로 없다; 잘 들리지 않다; 〈「目が~」의 꼴로〉 노안(老眼)이다. 원시(遠視)이다; 〈「気が~·くなる」의 꼴로〉 의식이 혼미해지다. 정신이 아찔해지다. 1.~9.〔반의어〕 近い. とお·さ 【명사】 【문어형】 とほ·し {ク 활용}
幾つもの出逢いと別れ路
幾つ
몇. 몇 개. 얼마(만큼의 수); 몇 살; 〈「~も」 「~にも」의 꼴로 副詞적으로도 씀〉 몇이고. 여럿; 〈否定이나 疑問에도 씀〉 그다지
出逢う
《고어》 마주치다. 만나다
別れ路
『러시아어』 (변하여) 사람과 헤어짐
続く物語
続く
이어지다. 계속되다; (같은 일이) 잇따르다. 끊이지 않다; 뒤따르다; 버금가다. 다음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物語
(서로) 이야기함. 또는 그 내용; 전설. 설화; (平安 시대 이후의) 산문 형식의 문학 작품
指折り数えた名残の空
数える
(수를) 세다. 헤아리다. 계산하다; 초들어 말하다. 열거하다. 【문어형】 かぞ·ふ {하2단 활용}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名残
《「波残り」의 뜻》; 파도가 밀려간 뒤에 해변에 남은 바닷물이나 바닷말 등; 어떤 일이 지난 뒤에도 그것을 생각하게 하는 흔적·영향 등이 남아 있음. 여운. 자취. 흔적; 이별한 뒤에도 마음속에 그 모습이나 인상이 남아 있음. 추억; 석별(惜別). 석별의 정. 이별; 《고어》 남음. 남은 것; 「なごりの折」의 준말. 〔참고〕 본디 「余波」에서 비롯된 말
指折り
손꼽음; 손꼽힐 만큼 뛰어남. 굴지(屈指)
蒼く澄んだビー玉のように
澄む
살다. 거주하다. 〔동의어〕居住する; 서식하다. 깃들이다. 〔참고〕 2.는 「棲む」로 씀. 【가능동사】 す·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나다. 완료되다; 해결되다. 결말이 나다. 〔동의어〕かたがつく; 만족하다. (마음이) 풀리다; 이럭저럭 해결되다. 족하다. 〔동의어〕間に合う; 〈흔히, 否定語·反語가 따르며〉 도리를 다하다. 체면이 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맑다. 맑아지다. 〔반의어〕 濁る; 탁한 것이 없어지고 깨끗해지다; 소리가 잘 울리다; 잡념 등이 없어지다; 청음(淸音)이다. 청음으로 발음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蒼い
『식물·식물학』 아욱과의 닥풀·접시꽃·당아욱·족두리풀 등의 총칭; 『식물·식물학』 「ふたばあおい」의 딴이름; 가문(家紋)의 하나. 특히, 徳川氏의 가문; 푸르다. 파랗다. 청색이다; 초록색이다. 푸르다; (얼굴이) 창백하다. 파리하다. 핏기가 없다; 덜 익다. 풋되다. 미숙하다. あお·さ 【명사】 あお·み 【명사】 【문어형】 あを·し {ク 활용}
ビー玉
(아이들의 구슬치기용) 유리구슬. 〔동의어〕ガラスだま. 〔참고〕 「ビー」는 「ビードロ(포 vidro)」의 준말
小さな迷いも溶かしてゆく
溶かす
(머리 등을) 빗다. 〔동의어〕くしけずる; 녹이다. 〔참고〕 금속일 경우에는 「熔かす·鎔かす」로도 씀. 【가능동사】 とか·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小さな
작은. 〔반의어〕 大きな
迷い
(갈피를 잡지 못하여) 헤맴. 또는 그런 상태. 미혹; 성불(成佛)에 방해가 되는 죽은 이의 망집(妄執). 도를 깨닫지 못함; 머리나 직물의 씨실·날실이 헝클어짐
そんな晴れた思い出でした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思い出
추억. 추상. 회상
晴れる
날이 들다. 날씨가 개다. 〔반의어〕 曇る; 마음이 밝아지다. 혐의가 풀리다. 【문어형】 は·る {하2단 활용}; 붓다. 【문어형】 は·る {하2단 활용}
暁、明けの空に三日月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三日月
초승달 모양(의 것). 〔동의어〕三日月形
暁
새벽. 동틀 무렵. 〔동의어〕夜明け·明け方; 어떤 일이 마침내 실현되거나 성취된 때
明け
주홍. 붉은빛. 〔동의어〕朱; 날이 샘[밝음]. 새벽. 밝을 녘. 〔동의어〕夜明け. 〔반의어〕 暮れ; 〈接尾語적으로 씀〉 어떤 기간이 끝남. 또는 끝난 직후. 끝머리; 새해가 됨
吐き出す息白く夢の様
息
⇒ ゆき; 숨. 호흡; (두 사람 이상이 일할 때의) 호흡. 기분; 김. 증기; 목숨; (기질·태도·옷차림 등이) 때 벗음. 세련됨. 멋있음. 멋들어짐; 인정의 기미(機微) 또는 풍류를 이해함; 화류계의 사정에 밝음. 또는 화류계. 〔반의어〕 野暮; 『역사』 律令制에서, 서위(敍位)할 때 그 이유를 기록하여 본인에게 주는 문서. 〔동의어〕くらいがき·告身; 위기; 『법률』 (권리의) 포기; 지역; 범위. 정도. 단계. 경지; 계획하는 일. 의도(意圖). 기도(企圖); 의기. 기세. 기개; 유기. 버리고 돌보지 아니함; 문지방. 〔동의어〕しきい·しきみ; 『심리학』 역. 의식역(意識閾); 생. 삶; 싱싱함. 생기. 신선함; (교정에서) 생(生). 지운 것을 되살림. 부호는 「イキ」;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 日本海에 있는 섬으로 현재의 長崎현의 일부. ((현제도 같은 지명임)) 〔동의어〕壱州
様
(어떤 사물·사람의) 상태. 모양. 모습. 몰골; 방법. 수단; 이유. 사정; 《江戸 시대에 흔히 창녀가 쓰던 말》; (2인칭) 당신. 님; (3인칭) 저분. 그분; 〈名詞에 붙어〉 그 방향·방면의 뜻을 첨가함. 방향. 쪽. 향. 〔참고〕 ㉠「ざま」라고도 함. ㉡「方」로도 씀; 〈인명 또는 사람을 나타내는 名詞 등에 붙어〉 그 사람에 대한 존경을 나타냄. 님. 씨; 〈接頭語 「ご」 「お」가 붙은 名詞·形容動詞에 붙어〉 어떤 사실을 공손히 하는 말;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려 할 때. …과 동시에. …하자마자;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상태. …하는 방식[모양]. …하는 꼴. 〔참고〕 흔히, 「ざま」라고도 함; 성벽 등에 설치하여 밖을 보거나 활·총을 쏘는 창
白い
희다; 결백하다. 무죄다. しろ·げ 【형용동사】 しろ·さ 【명사】 しろ·み 【명사】 【문어형】 しろ·し {ク 활용}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吐き出す
토해 내다. 게우다. 내뱉다. 내쉬다; 토로하다. 털어놓다; 내뱉듯이 말하다; 안에서 밖으로 내보내다; (숨겨 놓은 것을) 내놓다. 게워 내다. 【가능동사】 はき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쓸어 내다. 【가능동사】 はき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いつでも傍に希望を抱いて
抱く
『문어』 안다. 껴안다. 〔동의어〕だく; (비유적으로) 둘러싸다. 에워싸다; (마음에) 품다. 〔참고〕 1.2.는 「擁く」, 3.은 「懐く」로도 씀. 【가능동사】 いだ·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希望
『문어』 기망. 일을 계획하여 이루어지기를 바람; 희망; 『문어』 귀모. 보통 사람이 생각 못할 뛰어난 계책; 『문어』 기망. 음력 16일 밤. 또는 그 밤의 달. 〔동의어〕十六夜. 〔참고〕 이미 「望(만월)」가 끝났다는 뜻; 『문어』 궤모. 남을 속이는 계책. 궤계(詭計)
傍
『문어』 절벽. 벼랑. 〔동의어〕そわ; 곁. 옆. 근처. 〔동의어〕かたわら; 〈「~から」의 꼴로, 動詞의 連体形을 받아〉 그 동작이 행해진 바로 뒤. 곧. 즉시; 袴의 양 옆구리를 튼 곳의 아귀. 〔동의어〕ももだち; 『식물·식물학』 〈옛이름 「そばむぎ」의 준말〉 메밀
駈け出す私達が居た
居る
들어가다. 들다. 〔동의어〕はいる. 〔반의어〕 出る; (어떤 경지에) 이르다; (해·별·달이) 지다; (어떤 환경에) 몸두다; (차차 변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다. 〔참고〕 현재는 보통 단독으로는 「はいる」가 쓰이고 「いる」는 「気に入る」「堂に入る」등 관용적인 표현에 쓰이는 것이 보통임; 「入れる」의 문어; 필요하다. 들다. 소용되다. 〔참고〕 「入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볶다; (달걀·두부 등을) 지지다. 【가능동사】 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 존재하다. 〔참고〕 옛날에는 물건에 대해서도 썼음; 근무하다; 앉다; 《고어》 (안개·구름 등이) 가만히 있다. 머물러 있다. {문어·하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동작·상태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반복을 나타냄; 현재의 상태를 나타냄; 과거에 있었던 동작·경험 등을 나타냄. 〔참고〕 「…ている」 「…ています」 「…ていた」는 상용어(常用語)에서 흔히 「…てる」 「…てます」 「…てた」의 꼴로 씀.{문어·하1단 활용}; 쏘다; (쏘아서) 맞히다; 쏘아보다; (자기 것을 만들려고) 노리다. 노려서 차지하다; (빛이 강렬하게) 비추다. 〔참고〕 근세 후기 부터 「矢を射った」와 같이 5[4]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볼 수 있음. {문어·상1단 활용}; 주조하다. (거푸집에) 부어 만들다. 지어 붓다. {문어·상1단 활용}
出す
(안에서 밖으로) 내다. 꺼내다. 내놓다; (앞으로) 내밀다; (분비물·액체를) 흘리다. 나오게 하다; (딴 곳으로) 보내다. 출발시키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소리·빛·열 등을) 내다; (편지·신호 등을) 보내다. 부치다; 내다. 제출하다; 내다. 발표하다. 출품하다; 발행하다. 출판하다; 내놓다. 제공하다; (값을) 치르다. 지급하다; 내보내다. 배출하다; 발생시키다. 내다; 발휘하다; (속력을) 올리다. 내다; 내보이다. 내걸다;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하다. 초래하다; (맛을) 우려내다; (가게를) 차리다. 개업하다; (과제·문제를) 과(課)하다. 【가능동사】 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밖으로 내놓다’의 뜻을 나타냄; ‘겉으로 나타나다’ ‘구체화하다’의 뜻을 나타냄; ‘…하기 시작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駈ける
『문어』 (하늘 높이) 날다. 비상(飛翔)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분이) 깨져 떨어지다. 귀떨어지다. 흠지다; 부족하다. 모자라다. 없다; 이지러지다. 〔반의어〕 満ちる; (있어야 할 것이) 빠지다. 결여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높은 곳에) 걸다. 늘어뜨리다. 치다; (말을) 붙이다. 건네다; 얹다. 올려놓다; 가설하다. 세우다. 치다. 놓다; 걸터앉다. 〔동의어〕すわる; (단추·자물쇠 등을) 채우다. 잠그다; 〈「鼻に~」의 꼴로〉 자랑삼다. 뽐내다. 내세우다; 개의하다. 마음을 쓰다; 끼얹다. 뿌리다. 치다. 〔동의어〕振りかける; 덮다. 몸에 걸치다; 씌우다. 입히다. 〔동의어〕かぶせる; 감다. 두르다. 묶다; (다른 것에) 기대어 놓다. 걸쳐 놓다; 잡다. 사로잡다. 속이다; (희망 등을) 걸다. 빌다; (폐나 영향을) 끼치다; (돈·시간·수고 등을) 들이다. 〔동의어〕費やす; (보험에) 들다. 가입하다; 곱셈하다. 곱하다; 교배(交配)시키다; 높게 (달아) 올리다; (마음이나 정 등을) 주다; (작용 등을) 가(加)하다. 작용시키다. 동작을 취하다; 도구나 기계 등을 움직여 작동시키다; 에누리하다; 〈「輪を~」의 꼴로〉 ㉠정도가 한층 더하다. ㉡과장하다; 부과하다; 올리다. 상정하다; 〈「口に~」의 꼴로〉 말하다. 입에 올리다; 내걸어 보이다; (저울에) 달다; (체로) 치다; 보이다; 손을 쓰다. 처치하다; 잘 돌보다; 〈「目を~」의 꼴로〉 귀여워하다. 돌보다. 눈여겨[주의하여] 보다; 〈「火を~」의 꼴로〉 불지르다; 짓밟다; 〈수사법(修辭法)에서 어떤 말과 음이 같은 다른 말을 암시하여〉 한 말이 두 가지 뜻을 가지게 하다; (기계에) 넣다. 올리다; 과정을 거치다[받다]; 퍼붓다; 섞다; 〈「(…から)…に~·けて」의 꼴로〉 (…에서)…에 걸쳐; 〈「…に~·けては」의 꼴로〉 …으로 말하면. …에 관하여는. …에 있어서는; (상금 등을) 걸다; 뾰족한 것이나 구부러진 것 등으로 걸다; 〈「鎌を~」의 꼴로〉 속을 떠보다. 깐보다;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시작하다. 중도까지 …하다; 〈앞 動詞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거의 실현될 듯하다’의 뜻. 사실은 실현되지 않음〉 …ㄹ 뻔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말 타고 달리다; 달리다. 뛰어가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걸다. 내기하다. 지르다; (실패하면 잃을 각오로) 걸다. 내걸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波の音に夢を乗せて
音
《「大御」가 변한 「おおん」의 준말》 명사에 붙어 존경의 뜻을 곁들임. 〔참고〕 「お」보다 강한 공손·존경의 뜻을 나타내며,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경우에 쓰임; 은혜; 《속어》 수컷. 〔동의어〕おす·お. 〔반의어〕 雌; 소리. 〔동의어〕おと; (언어의) 음. 발음; 중국식 발음을 바탕으로 한 한자(漢字)의 음. 자음(字音). 〔반의어〕 訓; 음색; 『문어』 따뜻한 모양. 온화한 모양
波
(칼붙이 등의) 날; 날개. 〔동의어〕はね; (화살의) 살깃; 새의 깃털. 〔동의어〕羽毛; 『식물·식물학』 잎. 잎사귀. 〔동의어〕はっぱ; 이; (기구·기계 등의) 가장자리에 나란히 나 있는 돌기물. 빗살. 톱니; (게다의) 굽; 끝. 가장자리. 〔동의어〕はし; 끝수. 우수리. 〔동의어〕はした; 「波斯」의 준말; 「波蘭」의 준말; 계속 일으키는 공세의 횟수를 세는 말. 파; 파. 한패. 동아리. 분파; 분파를 세는 말. 〔참고〕 一·三·四·六·八·十에 붙을 때에는 「ぱ」로 됨; 파의 이름에 붙는 말; 『음악』 (아악·能楽에서 序·破·急로 구성된) 악곡의 중간 부분. ((전개부(展開部)에 해당하며, 느린 속도로 연주됨)); 『문어』; 무력·권력으로 나라와 백성 위에 군림함. 패권. 패자; (경기 등에서의) 우승; 공손하게 대답할 때 하는 말. 예. 네; 공손하게 되물을 때 쓰는 말. 네? 예? ((말끝을 올림)); 웃는 소리. 하; 《발음은 「ワ」. 名詞 또는 名詞에 준하는 말, 活用語의 連用形에 붙음》; 서술의 주제를 나타냄. …는. …은; 특히 내세워 말하는 뜻을 나타냄. …은. …는; 비슷한 종류의 것을 대비적으로 나타냄. …은. …는; 서술의 부분을 강조함. …은. …는; 〈格助詞를 받음〉 …(에)는. …(로)는. …(보다)는; 〈인용의 格助詞 「と」를 받아〉 정의(定義)나 해설의 주제를 나타냄. 또는 뜻밖의 것을 평가하는 주제를 나타냄. …란. …라는. …라는 것은; 〈動詞의 連体形+格助詞 「に」를 받아〉 그 동작·작용을 목적으로 함을 드러내어 나타냄. …하려면. …하기에는; 〈接続助詞인 「から」를 받아〉 당연하고 부득이하다는 판단을 이끌어 내는 이유·원인을 나타냄. …한 이상에는; 〈接続助詞 「て」를 받아 「ては」 「では」의 꼴로〉 조건이 되풀이됨. 또는 부정적인 판단을 이끌어내는 조건을 나타냄
乗せる
타게 하다. 태우다. 싣다. 〔반의어〕 おろす; 위에 놓다. 얹다. 〔반의어〕 おろす; 글 등을 싣다. 게재하다. 기재하다; 계략을 쓰다. 속여 넘기다; 가락에 맞추다; 참가시키다. 가입시키다. 〔참고〕 1.은 사람의 경우 「乗せる」로, 화물의 경우 「載せる」. 2.3.은 「載せる」, 4.~6.은 「乗せる」로 씀. 【문어형】 の·す {하2단 활용}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遠い世界の旅に出よう
世界
지구상의 모든 나라. 만국(萬國); (지구를 중심으로 해서 본) 우주. 〔동의어〕天地; 세상. 인간 사회; 『불교』 중생(衆生)이 살고 있는 곳; 어느 특정한 것의 한정되는 범위
旅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出る
나가다. 나오다; 안에서 밖으로 나가다. 〔반의어〕 はいる; 팔리다; 출석하다. 출근하다. 참가하다. 출장(出場)·출연하다; 떠나다. 출발하다; 졸업하다; 다다르다. 이르다; 나서다; 나아가다; 출판되다. (출판물에) 실리다. 나다; 솟다. 솟아나오다; 일다. 일어나다; 태도를 보이다; 넘쳐 흐르다; 벗어나다. 초과하다. 넘다; 나타나다; 생기다. 비롯되다; 산출되다. 나다; 받다. 얻다; 우러나다. 〔참고〕 고형(古形)은 「いづ」. 【문어형】 づ {하2단 활용}
遠い
멀다; (공간적인)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시간적인) 간격이 많이 떨어져 있다; 추상적으로 차이가 크다; 혈연 관계가 멀다; 접촉 관계가 적다. 소원(疏遠)하다; (성질·내용이) 닮지 않다. 다르다; 친근하지 않다; 보거나 하거나 하는 일이 드물다; 관련이 별로 없다; 잘 들리지 않다; 〈「目が~」의 꼴로〉 노안(老眼)이다. 원시(遠視)이다; 〈「気が~·くなる」의 꼴로〉 의식이 혼미해지다. 정신이 아찔해지다. 1.~9.〔반의어〕 近い. とお·さ 【명사】 【문어형】 とほ·し {ク 활용}
幾つもの出逢いと別れ路
幾つ
몇. 몇 개. 얼마(만큼의 수); 몇 살; 〈「~も」 「~にも」의 꼴로 副詞적으로도 씀〉 몇이고. 여럿; 〈否定이나 疑問에도 씀〉 그다지
出逢う
《고어》 마주치다. 만나다
別れ路
『러시아어』 (변하여) 사람과 헤어짐
続く物語
続く
이어지다. 계속되다; (같은 일이) 잇따르다. 끊이지 않다; 뒤따르다; 버금가다. 다음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物語
(서로) 이야기함. 또는 그 내용; 전설. 설화; (平安 시대 이후의) 산문 형식의 문학 작품
立ち止まる日を乗り超えて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立ち止まる
멈추어 서다. 【가능동사】 たちどま·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乗る
(탈것에) 올라타다. 〔반의어〕 下りる; (위에) 오르다; 속다. 말려들다; 맞다. 어울리다; 실리다. 타다; 참여하다. 한몫 끼다. 응하다; 잘 먹다. 잘 묻다; (기름이) 오르다; 기회를 타다. 여세를 몰다; 마음이 내키다. 할 의욕이 생기다. 【가능동사】 の·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위에 놓이다. 얹히다; (물건을 선반 등에) 실을 수 있다. 얹을 수 있다; (신문 등에) 실리다. 게재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もう一度風を掴もう
風
바람; 감기. 〔참고〕 보통 「風邪」로 씀; 형세. 형편; 낌새. 눈치; (비유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의 관습·양식 등; 〈接尾語적으로 씀〉 상태. 태도. 티
幾つもの想い出を胸に寄せ
胸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幾つ
몇. 몇 개. 얼마(만큼의 수); 몇 살; 〈「~も」 「~にも」의 꼴로 副詞적으로도 씀〉 몇이고. 여럿; 〈否定이나 疑問에도 씀〉 그다지
寄せる
밀려오다. 접근하다. 다가오다. 【문어형】 よ·す {하2단 활용}; 가까이[옆에] 대다. 〔동의어〕近づける; (마음을) 기울이다. 사모하다; 의탁하다. 〔동의어〕ゆだねる·まかせる; 불러 모으다. 한데 모으다; (편지 등을) 보내다; 비유하다. 빗대다. 〔동의어〕かこつける·なぞらえる; 더하다. 보태다. 〔동의어〕加える; 오게 하다. 들르게 하다. 〔동의어〕よらせる. 【문어형】 よ·す {하2단 활용}
想い出
추억. 추상. 회상
歩む物語
物語
(서로) 이야기함. 또는 그 내용; 전설. 설화; (平安 시대 이후의) 산문 형식의 문학 작품
歩む
『문어』; 걷다. 〔동의어〕あるく; (비유적으로) 거쳐 오다. 지나다; (사물이) 나아가다. 【가능동사】 あゆ·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虹
日産 最終利益を1800億円に上方修正 収益性が増加(2021年11月10日)
隣国モルドバにも戦火拡大の不安・・・駐日大使が警戒(2022年3月15日)
恒例のディズニーシー成人式 ミッキーが新成人祝福(2022年1月10日)
走行中の列車が土石流に巻き込まれ脱線 乗客が捉えた事故の瞬間 中国(2022年6月6日)
“多摩川氾濫”想定で水防訓練 大水害から50年 市民の意識高揚狙う(2024年6月16日)
Forever Love
Forever Loveヨルダン皇太子の結婚式 世界各国の王族が参列(2023年6月2日)
さよなら
劇団四季:『マンマ・ミーア!』東京公演:最新舞台映像/お客様の感想コメント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
Copyright © 2018 Easyjapanese.net
Design by EUP | Privacy policy | Terms of use | Refu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