パピヨンの「ばぼちゃん」。
"Wake up!" A dog "attacks" a hangover owner A cat fights with a cat stick (2022/07/21)
52 viewパピヨンの「ばぼちゃん」。
「起きてよ~」とベッドで眠っている飼い主の男性を前足と頭で攻撃します。
かまってほしい性格だという「ばぼちゃん」。
遠慮は全くない様子。
布団の中でわずかに反応する男性…。
前の日、5合ほどのお酒を飲んでそのままベッドに入り、つらい朝を迎えたそうです。
男性は、やりたい放題のばぼちゃんに成り代わって「二日酔いでもだえてる人間で遊んだよ」とこの動画を投稿しました。
「こんにゃろめ!」猫じゃらし相手に必死に格闘です。
戦っているのは1歳5カ月の雄の「ぐぅちゃん」です。
キラキラ光るものが大好きな「ぐぅちゃん」。
タイミングを見計らいながら右足を使って襲い掛かろうとしますが、なかなか仕留められません。
飼い主さんはその様子が可愛らしくて、思わず投稿したとのことです。
甘えん坊な「ぐぅちゃん」、ちょっぴり鈍臭いところが面白いそうです。
パピヨンの「ばぼちゃん」。
ちゃん
《名詞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호칭. ((さん보다 무간한 말)); 《속어》 아이들의 아버지에 대한 호칭. 아빠. ((江戸 시대 이후, 서민 사이에서 쓰였음)) 〔동의어〕父ちゃん
パピヨン
나비; 빠삐용(개 품종)
「起きてよ~」とベッドで眠っている飼い主の男性を前足と頭で攻撃します。
男性
『문어』 남학생. 남자 학생. 〔반의어〕 女生; (성악에서) 남성. 남자의 목소리. 〔반의어〕 女声; 남성. 〔반의어〕 女性; 『물리』 탄성
攻撃
공격. 〔반의어〕 守備; 적을 침; 비난함. 공박함; (경기 등에서) 득점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함
頭
머리. 두부(頭部). 〔동의어〕かしら·こうべ; 두뇌. 지능. 사고력. 생각; 머리카락. 머리털. 〔동의어〕髪の毛; 머릿수. 인원수. …당(當). 〔동의어〕頭数; 우두머리. 두령. 두목. 〔동의어〕かしら; (물건의) 꼭대기. 대가리; 처음. 시작. 선두; (이익금이나 건네주는 돈 등의) 몫. 일부. 구전. 구문. 〔동의어〕上前; 대인(對人) 자세; 《「ひとり」의 뒤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사람을 단위로 함을 나타냄. 〔동의어〕あたり
ベッド
베드; 침대; 『농학·농림·농업』 화단(花壇). 묘상(苗床); 선반(旋盤)의 주축대(主軸臺)·왕복대(往復臺) 등을 싣고 이동시키는 받침대
飼い主
사는 사람. 매주(買主). 〔동의어〕買手. 〔반의어〕売り主; 가축이나 애완 동물을 기르는 사람. 사육주
前足
(네발짐승의) 앞다리. 앞발. 〔반의어〕 後足·うしろあし
かまってほしい性格だという「ばぼちゃん」。
ちゃん
《名詞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호칭. ((さん보다 무간한 말)); 《속어》 아이들의 아버지에 대한 호칭. 아빠. ((江戸 시대 이후, 서민 사이에서 쓰였음)) 〔동의어〕父ちゃん
性格
정격. 〔반의어〕 変格; 「正格活用」의 준말; 정확. {문어·ナリ 활용 }; 성격; 『문어』 정객; 정확. 정밀하고 확실함. せい-か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제혁. 가죽을 가공함
ほ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遠慮は全くない様子。
遠慮
원려. 앞일을 헤아리는 깊은 생각; 조심함. 삼감. 사양함; 거리낌. 기탄(忌憚); 물러남; 《歴》 徳川 시대, 무사나 중에게 과하던 형벌. ((문을 걸어 잠그고 바깥 출입을 금했음))
全く
《「まったし」의 連用形에서》; 〈否定語와 함께 쓰이어〉 전혀; 완전히. 아주. 전적으로; 정말로. 참으로
様子
《「す(子)」는 唐音》; 사물의 상태나 상황. 형편; (사람의) 모습. 옷차림; 징조. 낌새. 기미; 눈치. 기색. 〔동의어〕けはい; 흔적; 특별한 사연·이유
布団の中でわずかに反応する男性…。
男性
『문어』 남학생. 남자 학생. 〔반의어〕 女生; (성악에서) 남성. 남자의 목소리. 〔반의어〕 女声; 남성. 〔반의어〕 女性; 『물리』 탄성
布団
부들방석. ((좌선(座禪) 등에 씀))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反応
⇒ はんのう
前の日、5合ほどのお酒を飲んでそのままベッドに入り、つらい朝を迎えたそうです。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迎え
맞이함. 마중 감. 또는 그 사람. 〔반의어〕 送り; 부르러 감
酒
술. ((술과 관계 있음을 나타내는 말)); 비탈(길). 경사지. 고갯길. 고개; 인생의 한 고비; 거꾸로임. 역. 반대(쪽). 〔동의어〕ぎゃく·さかさま; 《名詞·動詞 앞에 붙어서》 역. 거꾸로 됨. 반대로 됨; 다과. 차와 과자. 〔동의어〕ちゃか
そのまま
본래대로의 상태. 이제까지와 같은 상태. 〔동의어〕そのまんま; (지금) 그대로. 본디대로; (…하는) 즉시. …하자마자; 〈接尾語적으로 씀〉 거의 그대로. 아주 비슷하게. 1.~3.〔동의어〕そのまんま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ベッド
베드; 침대; 『농학·농림·농업』 화단(花壇). 묘상(苗床); 선반(旋盤)의 주축대(主軸臺)·왕복대(往復臺) 등을 싣고 이동시키는 받침대
入り
들어감. 듦; 수입. 〔반의어〕 出; 비용. 비발. 〔참고〕 「要り」로도 씀; 용적(容積). 들이; 들어오는 손의 수. 입장자의 수; 해·달이 짐. 또는 그 시각. 〔반의어〕 出; 어떤 절기의 첫날; 그 고장이나 그 장소에 들어가는 일; 〈흔히 名詞에 붙어〉 속에 들어 있음. 포함되어 있음
合
『문어』; 「豪州」의 준말; 호. 참호. 〔참고〕 물이 괴어 있는 것은 「濠(해자)」; 호. 아호. 〔동의어〕雅号·ペンネーム; (신문·잡지 등의) 호수(號數); 탈것·동물 등의 이름에 붙이는 말. 호; 숫자에 붙여 차례·크기 등을 나타내는 말. 호; 『철학』 (변증법에서) 합. 종합(綜合). 〔동의어〕ジンテーゼ; (척관법에서) 면적의 단위. 평(坪)의 10분의 1. 홉; (척관법에서) 용량의 단위. 되의 10분의 1. 홉; 〈「…合目」의 꼴로〉 등산로의 대강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정상까지를 10合으로 나눔; 뚜껑이 있는 그릇을 세는 말. 개; 경기·싸움 등의 횟수. 또는 칼싸움에서 칼을 맞부딪는 횟수를 세는 말. 회. 번; 힘이 셈. 굳건함. 〔반의어〕 柔; 『문어』 호. 가늘고 긴 털. 붓. 붓의 털끝; (변하여) 아주 조금임; 『문어』 향. 시골. 촌; 옛날의 행정 구역의 하나. ((「村」를 몇 개 합친 단위)); 『불교』 업. 선악의 행위; 『불교』 업보; 이성(理性)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마음의 작용; ⇒ こう1.
男性は、やりたい放題のばぼちゃんに成り代わって「二日酔いでもだえてる人間で遊んだよ」とこの動画を投稿しました。
男性
『문어』 남학생. 남자 학생. 〔반의어〕 女生; (성악에서) 남성. 남자의 목소리. 〔반의어〕 女声; 남성. 〔반의어〕 女性; 『물리』 탄성
ちゃん
《名詞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호칭. ((さん보다 무간한 말)); 《속어》 아이들의 아버지에 대한 호칭. 아빠. ((江戸 시대 이후, 서민 사이에서 쓰였음)) 〔동의어〕父ちゃん
人間
인환. 사람이 살고 있는 곳. 인간 세계. 세상; 『문어』 세상. 세간
動画
동화. 〔동의어〕アニメーション; 동화; 아동이 그린 그림. 〔동의어〕児童画
放題
《動詞의 連用形이나 助動詞 「たい」, 또는 어떤 종류의 形容動詞의 語幹에 붙어》 마음대로 함. 하고 싶은 대로 함. 제멋대로 함. 〔참고〕 名詞·形容動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포대
投稿
도공. 도장(刀匠). 〔동의어〕かたなかじ; 등광. 등불 빛; 투광. (렌즈나 반사경으로) 빛을 모아 비춤; 투항; 투고; 동행. (비행기 등으로) 동쪽으로 감. 〔반의어〕西行; 동교; 봄의 들판. 〔참고〕 고대 중국에서 도성의 동녘벌에서 봄 제사를 올렸던 데서; 등황; 등황색; 도공. 〔동의어〕焼物師; 오르내림. 승강(昇降). 〔동의어〕上り下り; 등교. 〔반의어〕 下校; 『문어』 등고. 높은 곳에 오름
二日酔い
숙취. 〔참고〕 「宿酔」로도 씀.
もだえ
괴로움. 번민. 고민.
「こんにゃろめ!」猫じゃらし相手に必死に格闘です。
必死
필사; 반드시 죽음; 죽음을 각오하고 함. 필사적. 〔동의어〕死にものぐるい. {문어·ナリ 활용 }; (장기에서) 단 한 수면 외통수가 되는 형세. 〔참고〕 3.은 「必至」라고도 씀; 『문어』 필지. 필연. 불가피.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필지. 지필(紙筆)
相手
상대; 무엇을 함께하는 사람. 〔동의어〕仲間; 경쟁자; 상대가 되는 사람. 짝
格闘
각등. 유리를 끼운 네모난 등. 〔동의어〕ランタン; 『수학』 ⇒ 角柱2.; 《副詞적으로도 씀》 객동. 지난 겨울; 격투; (비유적으로) 어떤 일을 달성하기 위하여 씨름함; 확답
猫じゃらし
『식물·식물학』 「えのころぐさ」의 속칭. 강아지풀. 구미초.
戦っているのは1歳5カ月の雄の「ぐぅちゃん」です。
雄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歳
《주로 한자어에 붙어》 재…. 재차. 다시 한 번; …제. 축제. 잔치; …재. ((방의 이름이나 아호(雅號) 등에 붙이는 말. 一刀~, 六無~ 등; 세. 나이; 재주. 재능; 처. 아내. 〔동의어〕つま·家内; 주사위. 〔동의어〕賽子; 채색(彩色). 배색(配色); (옛날, 대장이 싸움을 지휘할 때 쓰던) 采配. ((대가 짧은 총채 비슷한 도구)); 차이; 『문어』 미세함. 자세함; 채소; 『동물·동물학』 무소. 코뿔소; 채; 채권(債券); 때. 즈음. 기회. 〔동의어〕おり; 『문어』 으뜸감. 최상. 제일. {문어·タリ 활용}; 가장. 더할 나위 없는
キラキラ光るものが大好きな「ぐぅちゃん」。
光る
빛나다. 반짝이다. 번득이다. 반사하다; (색채 등이) 아름답게[산뜻하게] 빛나다; (용모·재능·인물 등이) 돋보이다. 한층 뛰어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大好き
아주 좋아하는 모양
タイミングを見計らいながら右足を使って襲い掛かろうとしますが、なかなか仕留められません。
なかなか
꽤. 상당히. 매우. 〔동의어〕かなり·ずいぶん; 〈흔히, 否定語가 따르며〉 그렇게 간단하게는. 쉽사리. 좀처럼; 《고어》 상대의 말에 맞장구를 칠 때 하는 말. 그렇소. 맞았소. 그렇고말고. 〔참고〕 狂言 등에서 자주 씀
タイミング
타이밍
ながら
《格助詞 「の」와 같은 뜻·용법을 지닌 상대(上代)의 助詞 「な」에, 体言인 「から」가 붙어 생긴 말이라 함. 名詞, 副詞,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形容詞의 連体形, 動詞 또는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 등에 붙음. ‘…한 대로의 상태에서’의 뜻을 지닌 連用修飾句를 만드는 데 씀》; …그대로. …채로;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대로 전부. 모두 다; 〈주로 계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動詞, 또는 受動·使役의 助動詞 「れる」 「られる」 「せる」 「させる」 등이 붙는 連用形에 붙어〉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이상의 동작이 병행·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냄. …면서; 한정 또는 전제를 나타냄. …나마. …인데; 〈주로 존재나 상태를 나타내는 動詞의 連用形,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내용이 모순되는 두 사항을 연결하는 뜻을 나타냄. …면서도. …지만. …데도. 〔참고〕 名詞·副詞 등에 붙는 「ながら」는 接尾語로 보는 견해도 있음
右足
『문어』 오른발. 〔반의어〕 左足; 『문어』 우측. 오른쪽. 〔동의어〕みぎがわ. 〔반의어〕 左側
飼い主さんはその様子が可愛らしくて、思わず投稿したとのことです。
様子
《「す(子)」는 唐音》; 사물의 상태나 상황. 형편; (사람의) 모습. 옷차림; 징조. 낌새. 기미; 눈치. 기색. 〔동의어〕けはい; 흔적; 특별한 사연·이유
思わず
무의식중에. 엉겁결에. 무심코 그만. 〔동의어〕うっかり
投稿
도공. 도장(刀匠). 〔동의어〕かたなかじ; 등광. 등불 빛; 투광. (렌즈나 반사경으로) 빛을 모아 비춤; 투항; 투고; 동행. (비행기 등으로) 동쪽으로 감. 〔반의어〕西行; 동교; 봄의 들판. 〔참고〕 고대 중국에서 도성의 동녘벌에서 봄 제사를 올렸던 데서; 등황; 등황색; 도공. 〔동의어〕焼物師; 오르내림. 승강(昇降). 〔동의어〕上り下り; 등교. 〔반의어〕 下校; 『문어』 등고. 높은 곳에 오름
飼い主
사는 사람. 매주(買主). 〔동의어〕買手. 〔반의어〕売り主; 가축이나 애완 동물을 기르는 사람. 사육주
甘えん坊な「ぐぅちゃん」、ちょっぴり鈍臭いところが面白いそうです。
臭い
구리다. 역한 냄새가 나다; 의심스럽다. 수상쩍다; …의 냄새가 나다; …같다. …처럼 느껴지다. …한 데가 있다; 정도가 심하다. くさ·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くさ·さ 【명사】 くさ·み 【명사】 【문어형】 くさ·し {ク 활용}
面白い
우습다; 재미있다. 흥겹다. 즐겁다; 흥미 있다. 마음이 끌리다; (예상대로 잘되어) 바람직스럽다. 좋다. ((否定形이 따를 때가 많음)) おもしろ·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もしろ·げ 【형용동사】 おもしろ·さ 【명사】 おもしろ·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ろ·し {ク 활용}
ちょっぴり
《속어》 《「~と」의 꼴로도 씀》 조금. 약간. 슬쩍
甘えん坊
응석받이. 응석꾸러기
鈍
《名詞에 붙어》 接頭語 「ど」를 더욱 강조하는 말.; 《「殿」의 변한말》 본디 상가(商家)에서 손아랫사람·하인·동료를 부를 때 쓰던 말.; 《「どんぶり」의 준말》 덮밥.; 《속어》 오포(午砲). (사이렌이 보급되기 전에) 정오를 알리던 공포(空砲).; 《흔히, 「~と」의 꼴로 씀》; 무거운 것이 부딪치거나 떨어지는 모양 또는 소리. 탕. 쿵.; 대포 등을 쏘는 소리. 펑.; (날붙이가) 무딤.; (머리·동작 등이) 굼뜸. 둔함. 〔반의어〕 鋭. {문어·ナリ 활용 }
はぁ~疲れた!そんなアナタをこのコたちが癒します
軽症・無症状者を民間へ 受け入れ施設公開 神戸市(20/04/10)
Why your job does not get done in time | Satoshi Nakajima | TEDxSapporo
ヤフーとLINE経営統合へ 世界の巨大ITに対抗目指す(2021年2月28日)
クルーズ船の対応で・・・ 横浜検疫所職員が感染(20/02/28)
簡単ハロウィーンメイク Easy Halloween Make-Up
ふるさと納税“過去最高”6725億円 巣ごもり需要で(2021年7月30日)
Simple Dialogs 2
東京都 256人の感染確認 2日連続で300人を下回る(20/08/22)
宇都宮ライトレール 来夏の開業目指し試運転(2022年11月17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